아버지의 사과 편지 - 성폭력 생존자이자 《버자이너 모놀로그》 작가 이브 엔슬러의 마지막 고발
이브 엔슬러 지음, 김은령 옮김 / 심심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나라에는 친척이나 친아버지, 이웃, 직장, 새 아버지에 의해 성추행을 당하거나 성폭행을 당하는 사람들이 많다.

부끄럽고 창피해 입밖으로조차 끄집어 내지 못하고 삼켜야 하는 여성들....

난 이 책을 읽어 내려가면서 분노를 느꼈다.

아버지라는 사람이 사람의 탈을 쓰고서 다섯살 난 아이에게 행했던 더럽고 추잡한 행동들. 그리고 의심을 하면서도 방조했던 어머니라는 여성에게 파멸이 무엇인지 느끼게 해주고 싶은 충동을 느꼈다.

정신과 몸에 상처와 트라우마를 겪었던 저자는 신경증적인 증상까지 나타났었다.

미치지 않고서는 견딜수 없었을것이고, 술에 그리고 약에 매달리지 않으면 견딜수 없었을 것이다

 

1598062054091.jpg

딸아 미안하다

그건 강간이었다.

이브 엔슬러의 마지막 고발

아버지의 죽음 31년

작가는 아버지로부터 그 어떤 사과도 받지를 못했다.

이 책은 아버지가 딸에게 쓴 사과 편지가 아니다.

아버지는 딸에게 사과편지 쓰기를 의도하지 않았다.

작가가 아버지로부터 받고 싶은 사과를 아버지라는 인물을 소환해, 자신이 듣고 싶어했던 사과를 아버지라는 인물을 통해 저자 마음의 이야기를 써 내려갔다,

먼저 아버지의 어린시절과 아버지의 가정 환경을 통해 아버지가 왜 그렇게 행동하게 되었는지 아버지의 변명을 통해서 듣고 이해하는 과정이 나와 있고,

아버지가 작가를 어떻게 성학대 했으며, 아버지의 정신적으로 그를 어떻게 학대했는지가 나와있다.

또한 이 글속에 작가가 아버지를 통해 당했던 성폭행과 학대는 자신이 직접 당했던 이야기를 써 내려갔다.

피해자로써 당했던 정신 세계는 읽다가 안타까운 마음마저 들게 했다.

5세라는 유아기에 작가는 아버지에게 끔찍한 일을 당했다. . 10살때에는 폭력적인 주먹질로 아무것도 아닌 존재가 되고 엄마라는 작자는 방조했다.

어머니는 작가가 끔찍한 일을 당했을때 아버지라는 사람을 의심했지만 어떠한 조치도 취해지지 않는 무심한 사람이었다는 것을 아버지의 편지를 통해서 볼수가 있다.

아버지의 폭언과 잔인한 폭행은 작가의 자아를 완전히 뭉개버렸다.

딸은 아버지에 의해 타락한 소녀가 되어버렸고, 스스로를 경멸하며 지내야 했다.

식욕도잃고 말라갔으며, 반항도 할수가 없었다. 자신의 죄가 탄로날까봐 무참히 딸의 정신 세게를 지배하려 했던 아버지의 폭언은 날이 갈수록 심해졌고, 딸을 멍청이로 만들어 버렸다.

딸은 아버지가 시키는대로 행동해야 했고, 그러지 않으면 규율과 처벌을 받아야 했다.

손과 주먹에 의해 폭행당했고, 벨트로 채찍을 당하고, 때론 패널을 두른 벽에 아버지라는 작자는 딸의 머리를 무참히 박아버렸다.

엄마에게는 부엌칼을 가지고와 아버지가 딸을 위협하기도 했으며 가스라이터로 해를 입혔다.

성인이 된 딸의 속옷을 내리게 해 탁구채로 딸의 엉덩이를 때려 걸을수 없을 정도로 기운이 빠지게 만드는 악마같은 짓을 서슴치 않고 저지르기도 했다.

딸은 무기력한 사람이 되었고, 약물과 술로 자신을 지탱했다.       

때론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성인이 되어서는 아버지에게 반항을 했지만 아버지는 그런 딸을 용납하지 않았다.

성인이 되어 예술가와 작가가 되고 싶어했던 꿈마저 아버지는 부유한 가정 환경임에도지원을 해주지 않았다.

아버지는 딸을 소유하려 했고, 자신의 손아귀에서 딸을 놓아주려 하지 않았다.

1598262647241.jpg

해마다 재조명 되는 자녀에 대한 폭행 뉴스를 언론을 통해서 본다.

언론에 나오지는 않지만 여자 아이들이 아이티를 벗고 여성의 모습을 보이면서 아버지라는 작자들이 딸을 성추행한다는 이야기들을 아이들의 입을 통해서 듣기도 한다.

아버지에게 유린 당하는 아이들은 정상적인 생활을 하지 못한다. 그래서 난 이 책의 소개를 처음 보았을때 읽는 계기가 되었다.

이 책의 저자가 그랬던 것처럼 성폭력 피해자의 아이들은 또래의 아이처럼 정상적인 생활을 하지 못하고, 많은 우울함과 자신에 대한 경멸감과 창녀같다는 생각을 한다.....우리는 이들에 대한 이해와 공감이 필요하다.

이책은 솜털같이 여린 다섯날 난 아이가 겪어야 했던 충격과 성인이 되어서도 받아야 했던 모멸감과 자아의 파괴가 그대로 드러났다.

그들이 받는 고통을 이해할수가 있었으며 고통받는 어린 여자 미성년자들에 대한 관심을 가져 주어야 한다는 것을 이 책을 통해 절실히 느낄수가 있었다.

세상을 바라보는 여성들에 대한 잣대는 바뀌어야 한다.

보호받지 못하고 무참히 짓밟히는 아이들...

이들은 성인이 되어서도 자신을 스스로 보호하는 방어 능력을 상실하고 살것이다.

나 또한 이 책을 읽기 전에는 자신을 지키지 못한것은 그들의 행동때문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이 책을 읽음으로 여성들의 잘못이 아니었다고 말하고 싶다.

30페이지 사과는 겸허함이야. 잘못을 인정하고 무릎을 꿇는 일. 엄청난 자기 이해와 통찰이 요구되는 친밀함과 연결의 행위이기도 하지.

179페이지 나는 네 사랑의 미래에 저주를 걸었다. 나는 다섯 살 때 너의 몸을 가졌다. 네가 주지 않았는데도, 나는 너의 달콤함을 오염시켰다. 나는 너의 정원에 딸린 황금의 방호문을 망가뜨렸다. 나는 너의 신뢰를 배신했다.

181페이지 네것이 무엇인지, 언제 "NO"라고 말하고 어떻게 "그만둬"라고 말해야 할지 알지 못하도록 너의 경계를 파헤쳐버렸다. 너의 몸에 자리 잡은 질의 연약한 벽을 허물어버렸고, 온갖 병과 감염에 취약하게 만들고 말았다.

너의 몸은 "에스"라고 말하지 않았고 그럴 수도 없었지, 모두 내가 스스로 편하자고 나 자신에게 한 거짓말이야.

202페이지 이 책에는 성폭력 피해 생존자들이 그토록 갈망하던 이야기, 왜 너는 가해자고 나는 피해자인가에 대한 고백이 들어 있다. 고통을 직면하는 법을 보여주는 용기의 교본이고, 기억의 감옥에서 한 발짝 나아가는데 영감을 주는 귀한 독본이 될 것이 분명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