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을 미워하는 가장 다정한 방식
문보영 지음 / 쌤앤파커스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문보영은 시인이다. 매니큐어가 다 마를 때까지 기다리지 못하는 약간은 급한 성격인 것일까?

나도 손톱 매니큐어가 다 마르기 전에 일어서고 만다.

시보다 피자를 더 좋아하는 여자, 피자보다 일기를 더 좋아하고, 일기보다 친구를 더 좋아하는 여자이다.

책을 내면서 소개하는 글부터 재밌다.

시를 쓸 때면 삽질하는 기분이 든다. 그런데 나는 삽질이 좋다. 열심히 땅을 파다 보면 뭔가 나온다. 가령 새로운 삽, 나보다 삽질한 사람의 흔적을 발견하며 연대감을 느낄 수도 있다.

왠지 모를 편안함을 시인에게서 느낀다. 꾸미지 않은 순수함을 느끼면서 책을 넘기며 계속 읽어 나간다.

"그럼 시는 구원할 수 있나요"

어떤 독자가 물었다.

"아뇨 저는 대부의 시간을 절벽에 매달려 있어요. 간헐적으로 돌부리 같은 게 생겨서 거기에 발을 얹은 채 매달리거나, 아니면 한 뼘 크기의 바닥이 생겨서 거기에 발을 올려놓기도 하는데, 시가 그 돌부리나 바닥 같은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건 구원이 아니고, 죽기 직전 상태가 지속되도록, 그러니까 주지만 않도록 생명을 보전해줘요. 딱 그 정도만,"

어딘가 엉뚱한 듯, 동문서답을 하는듯하다가, 제 자리로 돌아온다. 그래서 이 책이 재미도 있고, 신선하다. 어딘가 모르게 우리를 들었다 놨다 하는 뭔가가 있다.

시인 이보영이 어떤 사람인지 알고 싶게 만드는 소개부터가 별종 같아서 더 좋다.

이 책은 12리터짜리 항아리 안에 든 눈물을 비우던 나날의 작가의 일기들이다, 즐거운 일기든 아픈 일기든, 일기는 나로 하여금 시간을 건너게 한다. 앞으로도 그러할 것이란 예감이 들었다.

1부 사람을 미워하는 가장 다정한 방식

미치겠다.

너무 웃긴다. 미친 사람처럼 웃었다. 아들이 왜 그러냐고 물어본다. 우리 아들에게도 이 책을 보라고 했다. 너무 재밌다고.... 애인은 있어도 없는 것이고 업어도 없는 거라서 가져본 적이 없고, 그래서 나는 모태 솔로고, 시집 제목은 '모태솔로'라고 할 것이며, 첫머리에 실을 시 제목은 '각자 애인'이라고 말해주었다.

이 친구가 나를 어떻게 이해했는지는 모르지만 딱 봐도 '아, 저런 누나랑 결혼은 못 하겠구나.'라는 결론을 내린 것 같았다.

주말 아침 일찍 인디언 주름의 집에 놀러 갔다. 집에서 영화를 봤다. 회사에 일이 생겨 인디언주름은 나를 놔두고 나갔다.~~그냥 여기사 살까? 나는 훔칠 만한 것이 없나, 하고 둘러보았다.

솔직해서 좋다. 가끔 나도 친구 집에 가면 친구가 없는 사이 작가처럼 친구 집을 탐사한 적이 있었다.

2부나는 서른 전에 ---이혼하고 싶다.

그럴 때가 있다. 먼저 하게 될 것 같다는 예감. 없는 애인과 헤어지고 싶다는 느낌. 왜 그런 느낌이 찾아오는지 말 모르겠다. 나는 결혼은 못 해도 이혼은 잘하지 않을까?

처치실? 제가 처치 곤란입니다. 제가 바로 처치 곤란한 사람입니다. 이 문장에서 한참을 헤맸다. 이젠 나도 이해력이 떨어지는가 보다. 맞는 말이었다. 내가 바로 처치 곤란한 사람이었다.

1퍼센트의 인생과 99퍼센의트 쓰레기

생각해보면 그림도 마찬가지다. 팔레트는 검은색 물감을 잘 짜지 않는다. 검은색은 만들어 써야 좋기 때문이다. 검은색 물감을 쓰면 그림이 무서워진다고 그림 선생님이 그랬다. 대신, 다른 색을 석어서 검은색을 만들면 그림이 어두워진다고. '무서운 거랑 어두운 거는 다른 거구나.' 그대 생각했다

천진난만한 표현 같은 글을 쓴 거 같지만 작가의 글에는 뜻이 담겨 있다. 오히려 다른 글들과는 신선하면서도 깊다.

노총각 히스테리라는 말은 들어본 적이 없는데 노처녀 히스테리라는 말은 많이 쓰이는 것도 이상하다. 결혼을 안 한 늙은 여자는 성격적 결함이나 인성에 어떤 문제가 있다는 딱지가 붙는 것이다. 태어나서부터 죽을 깨까지 일관되게 성격이 나쁠 예정인 나 같은 인간은 결혼을 못 해서 성격이 나쁜 게 아니라 그냥 나쁜 건데.

맞는 말만 한다. 성격이 원래 나쁜 건데... 왜 노처녀 히스테리라는 말이 생긴 것인지 이해가 안된다. 내가 화가 나고 원래 성질이 더러워서 화내는 건데 ... 노처녀 히스테리라는 말이 왜 붙는 거지...

3부, 사랑하는 것을 너무 미워하지 않으며

나는, 천재라는 말을 듣고 싶어서 노력을 덜 하는 척하는 경향이 있다고 별로 좋지 않은 습관인 것 같다. 그런데 노력을 덜 하는 척하는 이유는, 노력을 많이 해서 왕따를 당했기 때문이다. 학창 시절에 그런 경험이 있다. 그래서 열심히 공부하지 않는 양아치인 척했다. 그러다가 정말 공부를 안 해서 성적이 떨어졌다

"엄마, 나 수학 38점~."

"저런, 우리 딸은 예술가구나,"

자가가 솔직해서 좋다. 가끔은 나도 천재라는 소리를 듣고 싶었다. 운동하는 에어로빅에서 한 언니가 너 머리 좋다고 할 때 기분이 우쭐해진다. 하지만 난 작품을 다 외우지 못한다. 그리고 나 또한 작가처럼 연습하지 않은척한다.

사람의 심리를 재미있게 표현해서 읽기에도 좋다.

오늘 문자를 받았다. "자제해주실 것을 부탁드립니다."

"뭘요"

체육센터는 침묵했다.

몇 분 뒤, 또 한 통의 문자가 왔다.

"태풍 솔릭으로 인하여 서울시 법령 지침에 따라 24일(금)에 프로그램 참여를 가급적."

문자의 수서가 바뀐 것이다. 이어서 읽으니, 날씨 때문에 프로그램 참여를 가급적 자제하라는 내용이었다. 오해를 풀지 않았다면 '나에 대해 어디까지 아시나요?라는 문자를 보낼 뻔했다.

또 엉뚱한 작가의 제치가 나온다.

이런 글은 처음 읽어 본다. 아이디어도 좋고 툭툭 던지는 말투들이 더더욱 좋다. 이런 글들도 있다는 것을 처음 보고

나는 왕따가 아닌 것이다.

내 휴대폰도 함께 울려서 소속감이 느꼈다는 이 말은 왠지 마음이 좀 서글퍼지게 한다.

작가는 베트남 여행지에서의 일도 재미있게 썼다.

인력거와의 여행은 어찌 보면 웃을만한 일은 아니지만 읽으면서 웃고 또 웃었다.

엉덩이에 시를 쓴다던 작가.

마직막으로 작가는 끝이라는 시로 책을 마무리했다.

단숨에 책을 읽어 나갔다. 재미있었고 신선했다. 머리도 식혔다.

가끔은 작가처럼 이런 생각들을 써 보고 싶다.

가식적이지 않는 솔직함을 그대로 옮겨 적었고. 이런 식으로도 글을 쓸 수 있다는 게 재미있었다. 천재가 아닌척하는 작가가..

참 멋있는 사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