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들의 매미 같은 여름 푸른도서관 51
한결 지음 / 푸른책들 / 201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7살 청소년의 현주소, 우리들의 매미같은 여름

 

17살 고등학교 1학년이라는 나이는 참 힘들것 같다. 난 어찌했었나를 더듬어보니 나 또한 고민이 참 많았던 듯  앞으로의 진로에 대해 방황하고 뜻대로 되어주지 않는 현실이 버거웠고, 문학사이에서도 갈팡질팡, 친구 관계또한 뭐 하나 쉬웠던 게 없었던  것 같으니~

 

기분이 좋기보단 우울하고, 자신감은 바닥이요, 누군가와 늘상 부딪히고 혼자만의 고뇌속에 파묻혀버렸던 듯, 그때보다 더 복잡해지고 각박해진 세상이니 아이들의 고민의 무게감은 더 늘어났으리라.

 

하루가 멀다하고 들려오는 학교폭력과 자살은 그것이 먼 이야기만이 아니라는 현실을 자주 직시하게 만드는 사건들로 인해  내 아이는 어떤 생각으로 이 세상을 살아가고 있는걸까  걱정되기도 한다.

 

' 우리들의 매미같은 여름' 은 그렇게 힘겨운 세상속에서 힘들게 살아가는 17살 청소년들의 적나라한 현실이었다.

 

그 이야기를 통해 아이들은 내마음이 어떠할것이라는 것을 알아주는 것만으로 , 매우 공감되는 감정을 가지게 된다라는 것만으로도 위안이 될 수 있고, 더불어 똑같은 고민과 똑같은 상황에 처해있다라는 동질감을 느끼며  내가 하고자 하는 방황의 끝에 무엇이 있을것이라는 구체적인 현실 그리고 때로는 필요한 용기까지 엿 볼 수 있었지 않았나 싶다

 

 

엄마를 마녀라고 부르는 딸,

  

 

 

 

 

 

이제 막 17살 고등학교 1학년이 된 민희는 엄마를 마녀라고 부른다. 민희와 고등학교때부터 단짝인 조앤은  몇년전 자신과 가족을 버리고 집을 나가버린 엄마로 인해 알콜 중독자가 되어버린 아빠와 단 둘이 살고있다. 

 

두딸의  모든것을 자기마음대로 조정하려 들던 엄마는 언니의 실패로 더욱 더 민희를 조여오는데 몸에 좋다라는 음식만으로 호텔 조식과도 같은 식탁을 차리면서 정작 본인은 폭식증을 앓고 있는 엄마, 우아하고 지적인 모습으로 가장한 본 모습을 알고보터 엄마라는 호칭은 마녀로 바뀌었다. 그에반해 아빠는 가족을 위한다는 명목으로 일에 빠져서는 항상 무관심으로 일관한다. 그러다 무슨일이 생기면 버럭버럭 소리만 질런댄다 

 

그에반해 조앤의 형편은 더욱 나쁘다, 딸이 학교에 갔는지, 언제 왔는지 도통 관심이 없고, 집에 먹을것이 있는지 조차도 무감각해진 알콜중독자만 있을뿐이니 ~~`

 

그것이 바로 설탕으로 만든 집 ~

 

 

 

 

그들에게 서로를 이해하려는 마음은 없다. 그냥 싫을 뿐이다. 무엇을 하든 어떤 행동을 하든 어떤 관심을 보이든 무얼 해주든 무조건 싫을 뿐이다. 그와는 반대로 나에게 아무것도 해주지 않는 아빠도 싫다.

 

무슨 생각을 하고 고민을 하는지 들여다 보기보단, 보여지는 대로 판단하고 이해하기보단 무조건 반대하고 억압하려 드는것 처럼만 보일 뿐이니까.

 

그러한 고등학교 1학년들에겐 학교생활조차 만만치 않다. 학교성적만이 모든 평가의 잣대, 거기애 외모와 가정환경등 약점이라도 잡히면 더욱 고달파지는 삶이었으니까.

 

그들에게도 돌파구는 필요했는데 그 조차도 이해하고 이해 받기엔 너무도 멀어보이기만한다

또한 아무리 절친이라해도 이해할 수 있는것과 이해할 수 없는 것이 있었으며  한낱 투정으로만 보이는 부러움이 있었는가하면 나와는 다른 환경이라는 분면한 한계선도 작용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 둘은 고등학교 여름방학에  가출을 단행했는데  무조건 떠나고 싶었던 집으로부터, 떠날수 밖에 없었던 집으로부터의 탈출이었습니다. 하지만 가출후의 미래 또한 어둡기는 마찬가지였다.

 

17살 미성년자는 그 어디에서도 받아주지 않는게  현실이었으니까.

언젠가 읽었던 ' 집 떠나면 개고생' 이라는 여행서의 제목이 딱 어울리는 시간만 더디게 흘러가고 있었던 것이다.  

 

그렇게 책은 어찌보면 내내 어둡기만 하다. 폭식증, 거식증, 대입실패, 남자친구, 이성교재, 담배, 술, 가출,성폭력에 오토바이족까지 청소년기 범할수도 있는 모든 악재들이 등장하고 있었으니 말이다.

 

 

 

 

 

헌데 그것이 현실인것 어찌할까 . 어두운 골목길에서 나란히 앉아 담배를 피우고 있는 남녀 고등학생을 보면서 내 아이는 절대 저럴일이 없다라고 단정지을수 없는데..

 

 

' 당신한테 초등학생 아들이 있더군요. 아들에게 부끄러지 않게 행동하세요.'  라는 문구가 가장 큰 약발을 받았듯, 받을것이라는것을 알고 있었던 만큼 부모에게 있어 가장 두려운 상대는 자식이다. 어떠한 일을 하든 미워할 수 없는 존재요.  나의 잘못을 반성하게 만들고 끝까지 품게 되는 ,  그렇다면 자식에게 있어 부모는 가장 많이 미워하는 대상인 동시에 결국에는 찾게되고 찾아드는 품이 아닐런지.

 

 

 

 

 

 

스무살만 돼 봐라,유치원 시절에는 초등학생 언니 오빠들이 부럽고, 초등학생때는 중학생들이 폼나보인다, 하지만 중학생들에게 고등학생도 그럴게 보일까, 입시지옥이란 현실이 가로막고 있기에 그건 절대 불가, 그 시절을 뛰어넘어 바로 스무살  어른이 되고 싶을 뿐이다.

 

죽자고 공부만하고 고민만 하다 끝내버리는게 인생일까 ?

그 아이들에게 다른 아이들도 나와 별반 다르지 않다라는 모습을 보게되는 것 만큼 위안이 될까 ?

감추려 하기보단 모든것을 드러내놓고 공감하며 그 아픔을 치유해 갈 힘을 갖게하는 것,

그것을 문학의 힘에서 찾아보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