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켈란젤로 미술의 비밀 - 시스티나 성당 천장화의 해부학 연구
마르셀로 G.지 올리베이라 외 지음, 유영석 옮김 / 문학수첩 / 2008년 5월
평점 :
절판


 
양장의 고급스런 책을 마주했을대의 기쁨도 잠시 미술책이라기 보단 인체해부도를 연상시키는 내용들에 당혹감이 몰려오고있었다. 미켈란젤로 하면 레오나르도다빈치와 함께 르네상스 시대를 여러간 양대산맥으로 인식하고있기는 하지만  천재라 불리며 다방면에서 두각을 보였던 레어나르도 다빈치에 반해 조금은 그의 그늘에 가려진듯 위대한 조각가 쯤으로만 생각했었다.

 

처음 내용을 마주하면서 느꼇던 나의 당혹감을 대변하기라도 하듯 이 책의 저자는 예술평론가가 아닌 외과의사이며 화학연구소 교수였다. 예술을 순수하게 사랑하는 사람들로서 그들의 직업정신의 발로에 의해 찾아낸 미켈란젤로 천장화속의 비밀들을 하나하나 풀어주고 있음이었다.

 

미끈하고 당당한 모습의 다비드상으로 대표되는 그의 작품세계에서 볼수 있듯 바쿠스,피에타, 모세상등 그가 기억나는 작품들은 거의 조각상들이었다. 거기에 더불어 그의 업적중 놓칠수 없는것이 있었으니 그건 바로 시스티나 대성당의 천장화였다

교황과의 불화로 힘들었던 시기 강한 거부의 반응도 할수없었기에 기존에 경험도 없었던 회화그림에 대한 부담감은 가중되어오고 금전적 어려움과 고통에 가까웠던 중노동의 작업으로 완성해나가면서 그에게 위안을 주었던것은 자신의 숨겨진 지식들을 풀어놓는 통로가 되었던 일이 아닐까 싶어진다.  

 

인체 해부도로 지금까지 인정받고 있는것은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드로잉으로 표현된 인체황금비율의 표본이었다. 그렇기에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전유물 정도로 생각했었는데 미켈란젤로가 해부학에 박식했다는 사실만으로도 내겐 신선한 충격이었다. 미켈란젤로는 10대시절 자신의 재능을 인정해주었던 메디치가의 궁전에 출입하면서 처음 인체해부에 눈을 뜨기 시작 그후 직접적인 인체해부 실습에  참여하면서 많은 지식과 노하우를 축적하게 된다.

 

하지만 그렇게 축적된 인체 해부에 관한 많은 지식들을 담아낼 책 출간이 몇번의 시도와 항상 시간에 쫓기던 생활로 무산되고 그 아쉬움을 그냥 묻어둘수 없었던지

시스티나 대성당의 천장화속에 숨겨놓게 놓고 이렇게 500년이 지난 지금 그 비밀을 밝혀낸 외과의사들에 의해 우리가 접하고 있었던 것이다.

 

천장화속의 부분부분과 인체 세부구조를 비교 분석해 놓은 모습을 보니 어떻게 아름다운 그림속에 이토록 많은 비밀을 숨겨놓았을가 도대체 그의 해박한 지식은 어디까지였을까 감히 감음해보지 못할지경이다. 그의 미술속에 숨겨놓았던 비밀은 아직 더 존재하고 있는듯 한 예술가의 작품세계에 깃들여있던 정신세계가 너무도 위대해 보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