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 책을 읽은 건 아닙니다..

책 읽어주는 팟캐스트에서 들었지요.

서간문인줄 몰랐습니다.. 김영하가 서간문 소설이라니 뭔가 어울리지 않네 하는 것이 첫 생각이었습니다. 어딘가 신경숙의 <풍금이 있는 자리>를 닮았고 김애란의 <서른>이 떠올랐습니다.

여성분이 낭독해서인지 아니면 주인공 화자가 여성이어서인지 여성적이라고 느꼈습니다.

 

세상에 흥미로운 부녀지간이구나 하며 듣고 있는데 자꾸 이상하다는 느낌이 드는 겁니다.

물론 정상이라고 볼 수 없는 관계이긴 하지만 그냥 정상이 아닌 독특한 경우라고 하기엔 뭔가 불편하고 유쾌하지 않았습니다. 관계가 답답하고 소극적이어서인가 했는데 그것때문만은 아닌거 같더군요.

뭐랄까 화자는 딸이고 딸이 자신의 입장에서 아버지와의 관계 가족의 이야기  살아가는 이야기를 하는데, 분명히 딸이 자신의 이야기를 하는데 도데체 그 딸의 모습이 잡히지 않는 겁니다

아버지는 차라리 뚜렷하게 보였습니다.

자신만만하고 이기적이고 여성편력도 있고 그러면서 어린아이같은 면도 있는  한마디로 대책없는 유형이구나 하는 게 딱 왔어요. 젊어서 자기가 원하는대로 살고 나이 먹어서도 철들지 않은 영원한 피터팬처럼 살면서 보여지고 보여줄 수 있는 것에 집착하는 사람이구나..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정작 그 딸은 보이지 않았습니다.

왜 정작 말하고 있는 사람은 보이지도 않고 잡히지도 않는걸까?

남이야기를 하고 있는 것도 아니고 자신의 이야기를 하고 있는대도 말입니다.

자기를 드러내지 않은 건 드러내고 싶지 않아서? 아니면 드러내는 법을 몰라서

아니 어쩌면 자기가 어쩐 사람인지 어떤 존재인지를 몰라서가 아닐까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 딸은 그냥 아버지의 딸 그 이외의  존재감은 없었으니까요

그렇다면  왜 그렇게 아버지에게 벗어나질 못했지?

다른 가족이 하나 둘 아버지 곁을 떠나고 아버지가 다른 평범한 아버지와 다르고 자기와의 관계조차 평범한 건 아니라는 걸 알면서도 왜 그렇게 복종하고 따랐을까 의문이었습니다

배울만큼 배웠고 알만한 건 다 알고 있을  성인인데 말입니다.

 내 입장에선  한없이 어리석고  미련하고 어떤 면에서는 무책임해보였습니다.

어떻게 저렇게 완벽하게 아버지에게 길들여질 수 있을까?

딸은 아버지와 둘이 떠난 유럽 여행에서도 아버지의 기이함을 느낍니다.

혼자서 거리를 걸어보고 싶다는 말에 화를 내던 아버지 . 이국의 역에서 만난 한국 대학생들과 이야기를 나눴다는 걸로 냉담해지는 아버지는 분명 정상은 아닙니다.아직은 어린 딸을 걱정하는 마음은 알겠지만 그런 식으로 표현하지는 않지요. 그렇다고 그 아버지가 딸을 이성으로 좋아하는 건 아니었습니다. 그냥 내 딸이라는 인식이 '내 것'이라는 소유와 일치외면서 모든 것을 내가 원하는 방향으로 따라주길 바라고 있는 것이라 보였습니다.

그 지점도 편하질 않은데 어떤 저항도 없이 그대로 따르는 딸이 더 불편했습니다.

자유로운 대학생활을 동경하지도 않았나? 이성에 대한 호기심도 없었나?

물론 아버지와의 테이트 외식등이 더 고급지고 더 편리하다는 걸 알지만

그 또래 딸이라면 아버지가 주는 물질적 풍요로움도 이용하면서 한편으로는 나의 자유도 갈망하고 달콤한 사랑도 꿈꾸지 않을까요?

딸의 모든 기준은 아버지이고 아버지와의 생활이 삶의 중심입니다.

물른 짐작하다시파 사회관계는 점점 좁아지고 사람들이 멀어지고 가족마저 모두 떠나고 혼자 아버지와 남게되죠. 그 아버지 역시 딸에게만 집중하진 않습니다.

끊임없이 다른 여성을 만나고 추문을 만들고 딸은 자기의 성공한 하나의 장식정도로만 여기는 걸 뻔히 알지만 딸은 오히려 아버지의 기대에 못미친다는 것에 죄책감마저 느끼고 미안해합니다.

중간에 아버지로부터 벗어나야겠다고 동생과 엄마가 있는 미국으로 달아나지만 결국 다시 돌아와 아버지의 임종을 홀로 맞이합니다. 결국 죽음으로 아버지와 분리되는 거죠

누군가는 스무살에 누군가는 더 늦더라도 살아서 해내는 일을 그 딸은 죽음이 와서야 비로소 독립아닌 독립이 되고 성장 아닌 성장을  시.작. 하.려.합.니.다.

 

어린 왕자의 <길들여진다>는 건 참 매혹적이고 따뜻한 의미였습니다.

서로가 관계를 맻고 의미가 되며 그래서 세상이 더 넓어지고 풍요로워지는 것이지요

그러나 <오직 두 사람>에서의 길들여짐은 조금 끔찍합니다. 서로가 겹치며 확장되는 것이 아니라 한 사람이 다른 한 사람에거 포함되어져서 그러니까 먹혀서 비로소 하나가 되어버리는 의존적이고 식민지의 형태로 길들여집니다.

아버지가 정한 전공과 아버지가 정해주는 진로를 따라가지만 자기의 것이 아니니 늘 남의 옷처럼 어색하고 엉뚱한 별에 떨어진듯 적응할 수 없습니다. 누

딸은 아버지를 통해 세상을 보고 사람들을 만나고 자기의 꿈과 가치관을 결정합니다. 스스로 할 수 없는 것인지 하지 않은것인지 자꾸 혼돈스럽지만 어쩌면 하지 않은게 더 편해서 하지 않음을 선택했다는 생각마저 듭니다.

서서히 온도가 올라가는 냄비속이 편하다면 개구리는 굳이 밖으로 나갈 이유가 없지요. 그 냄비속의  개구리처럼 딸은 조금씩 조금씩 아버지에게 젖어가고 익숙해지고 그 바깥의 세상은 알지 못하게 됩니다.

인질이 자기를 잡고 있는 자에게 동화되는 스톡홀롬 신드롬처럼 보일 뿐입니다

제가 이해할 수 없는 건 그 여행 이전에도 그 딸은 아버지에게 이미 길들여졌던 걸까요? 아니면 여행을 통해 어떤 전환점이 되고 아버지에게 종속도어버린걸까요?

아버지는 아내나 다른 가족은 (또 하나의 딸이 더 있는데)  관심이 없었을까요?

다른 가족은 아버지가 이상하다는 걸 알면서 왜 그 딸을 그냥 두었을까요?

다 듣고 나니 (읽은 책이 아니니) 여행전 엄마의 말이 참 섬뜩합니다.

지금 여행을 가지 말고 나중에 동생 수험생활이 끝나면 그때 함께 가는게 어떠냐고 딸에게 말을 하던 엄마에게 딸이 지금 여행을 가겠다고 말했을때 엄마가 그러죠

정확한 워딩은 아니지만

 " 이건 니가 선택한거야" 라고..

아직 미성년자이고 미숙한 딸에게 선택을 묻고 책임을 지워버리는 말 참 무서웠습니다.

그 말 이후 딸은 선택을 하지 않음을 선택해버린걸까요 그리고  다른 가족은 두 사람으로부터 등을 돌리는 선택을 해버린거구요

 

소설의 첫머리에 아무도 모르고 오직 두 사람만이 알고 있는 언어에 대한 이야기가 나옵니다.

더 이상 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이 없고 그 언어를 배운 사람이 없이  그 언어를 오직 두 사람만 알고 서로만 사용합니다. 오직 두 사람만이 관계를 맺고 서로가 서로의 모든 세상이며 의지처입니다. 무심하게 듣기 시작했던 그 부분이 마지막에 다시 반복되면서 이것역시 끔찍해졌습니다.

왜 그들은 세상 다른 타인의 언어를 배우려고 하지 않을까?

두 사람의 언어로 두 사람이 대화하는 것도 하면서 동시에 조금 더 세상을 넓혀보려고 하지 않으까? 왜 한 사람이 사라진다면  남은 한사람은 영원히 고립되어버리는 삶을 선택할까?

아니면 다른 이에게 자신의 언어를 가르쳐주지 않았을까?

두 사람만의 관계 그것으로 만족해버려서일까요?

아니면 타인들의 무관심때문일까요?

내가 어쩌면 그 딸의 입장이 아니니 이해하지 못하는 나의 문제인지 모르겠습니다.

 

내가 불편했던건 아버지의 독재보다 그렇게 길들여지고  복종하게 되고 스스로 생각하지 않는 것 생각은 하더라고 행동하지 않는 딸의 모습이었습니다.

아무런 의심도 없고 질문도 없고 다른 호기심도 없을 수 있을까?

그런데 그건 꼭 그 화자만은 아닐거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나도 익숙하고 편안한 무언가로부터 안정감을 느낀다면 다른 건 굳이 알려고 하지 않은 경험이 많지 않을까요? 나의 선택들이 어떤 면에서는 익숙하고 안전한 무언가를 기준으로 했던 것일 수도 있고 또 그렇습니다.

그러니까 누구나 그럴 수 있는 거죠.

그렇게 안전한 무언가가 있다면 다르 세상에 대해 알고 싶어지지 않을 수도 있겠지요

누군가에게 다가가ㅗ 이해하고 이해받는 과정을 다시 되폴이 하고 싶지 않거나 그럴 필요를 느끼지 않거나...

나랑 언어가 통하는 누군가가 있다면 굳이 다른 사람을 또다른 행동이나 노력으로 사귀거나 알고 싶지 않은 그 런 마음도 있다고요..

위험하고 불길한 건 좁은 울타리에 갇히는 일이고 동시에 자기가 갇혀 있다는 걸 모르고 있는 것이고 더 나아가 알지만 굳이 나가고 싶지 않아하는 무기력함입니다.

 

이 단편이 불편하고 불안했던 건 알고  익숙한 것들에 안주하게 되면 언젠가 이렇게 서서히 길들여져서 어떤 의문도 없이 내가 사라질 수도 있다는 두려움때문이었습니다.

언제나 편안하고 익숙하게 있지 못하고 끊임없이 의심하고 질문하고 따져야 하는게 아닐까 하는 조바심과 언젠가 내가  익숙하게 퍼질러 있다가 수렁에 빠져 있게 되는 나를 발견할지 모른다는 강박이죠.

세상을 의심하고 아는 사람을 다시 보게 되는  어디서도 긴장을 풀 수 없는 상황이 이 세상이라는 경고가 빨간 점등과 함께 깜빡이면서 내가 쑥 들어와버렸습니다.

 

이제 아버지가 죽고 딸은 혼자가 됩니다.

그 딸은 이제 스스로 살아가야 할테고 어떤 시도도 할겁니다.

많이 불안하고 상처받을테고 돌이킬 수 없는 실패로 주저앉을지도 모르겠네요

그 딸이 무엇보다 내가 누구이고 어떤 사람인지 스스로를 먼저 들여다 보고 자기를 이해하고 자기와 친해지면 좋겠습니다. 다시 성장기가 되어 자아를 찾는 과정을 경험하기를 말입니다.

 

소소하고 별 이야기 아닌 짧은 이야기가 섬찟할 수도 있다는 묘한 경험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