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당을 나온 암탉 (반양장) - 아동용 사계절 아동문고 40
황선미 지음, 김환영 그림 / 사계절 / 200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당을 나온 암탉이 이미 고전이 된지 오래다. 언제부턴지 계속 필독서에도 있었고 여기저기 독서에 관한 책에서도 언급되었고 오래된 고전처럼 그렇게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고 있었다. 그런데도 참 고집스럽게 읽지 않았다.  

일단 사람이 아닌 동물이 주인공이라는게 내키지 않았고 언제간 읽었던 가장 힘이 센 수탉이 너무 실망스러워서 같은 닭이 나오는 책이라는 이유로 읽지 않았던.. 웃기는 이야기.. 

대충 내용은 알고 있었고 얼마전 애니메이션으로 개봉이 되어 큰 아이와 보았다. 단순히 마당을 나오고 싶어하는 암탉이 죽을 고비를 넘기며 마당을 나오고 족제비에게 죽음의 위협을 느끼면서도 살아남고 마당에서 쫓겨나고 우연히 청둥오리의 알을 품어 아기가 태어나면서 엄마가 되고 나중에 족제비에게 죽음을 당한다는... 좀 감동적이었다. 

모성이란 이런것이구나 하는 걸 느꼈고 초록머리가 자신의 성체성을 찾아 성장해나가는 모습을 보면서 성장이라는 것 아이를 낳고 키운다는 것에 대한 것이란건 알았다. 

그리고 아주아주 늦게 책을 읽었다. 아이들용이라 쉽게 읽혔다. 책속의 삽화를 보면서 애니매이션의 장면들을 떠올리기도 하고 애니매이션에는 나왔지만 없는 인물을 알게 되고 애니메이션에서는 쉽게 처리되었지만 책에서는 마당식구들이 많은 역활을 한다. 

알다시피 입싹은 늘 마당을 바라보며 마당으로 나가는 자유를 꿈꾸고 자신의 알을 품고싶어한다. 그러다 죽음을 당한 오리대신 알을 품어서 새끼를 키운다.  

아이들은 이 책을 읽고 무엇을 느낄까. 입싹이 갈망하는 자유 스스로 책임지는 삶이 얼마나 고달픈지를 알게 되는 걸까 그래서 엄마아빠라는 가족하에서 보호받고 생활하는 것이 얼마나 안전하고 고마운것인지를 알게 되는 것일까 

아니면 초록머리처럼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것... 오리라는 것을 깨닫고 자신과 다른 엄마를 이해하고 사랑이라는 것은 닮은 것들끼리 사는 것이 아니라 다르지만 서로를 위하고 도우면서 사는 것이라는 걸 알게 되는 것.. 그리고 마침내 청둥오리와 함께 꿈을 쫒아가는 것이란 걸 알고 기개를 알게 되는 것... 

아이들이 읽으면 무엇을 느낄지 궁금한데.. 엄마라는 입장에서 읽으면서 참 많은 생각을 한다. 

모성이란 무엇일까 

입싹이 꿈꾸는 건 모성이었던 거같다. 자신이 낳은 알을 따뜻하게 품어서 새끼를 낳고 마당에서 자유롭게 살게 되는 것. 입싹이 첨 꿈꾸었던 것이 바로 그것이다. 따뜻한 가정을 가지고 아이를 낳아서 홈스위트홈을 꾸미는 것.. 그것은 마당에서 살고 헛간에서 잠드는 암탉의 일상을 부러워하는 것이기도 하다. 암탉은 자신의 알을 품어서 병아리들을 키우고 자신의 가족들을 위해 시끄러운 것 혼란스러운것을 딱 질색하면서 내 가족 보호에 급급하다. 

그러나 입싹은 마당에 사는 것이 여의치 않아 결국은 저수지로 떠난다. 나그네는 청둥오리라는 정체감에 더 큰 의미를 두고 저수지로 가라고 한것이지만 입싹의 첨 입장은 아가와 자신의 둥지를 가지고 싶다는 욕망으로 저수지로 간다. 누구에게도 구박받고 따돌림 받지 않고 살기 위한 곳 마당은 더 이상 따뜻한 이웃이 아니라 그 속에서는 왕따일 뿐이니 저수지로 간것이다. 

거기서도 아기를 위해서 늘 전전긍긍이다. 아기가 오리라는 걸 잊고 내 새끼라는 개념이 아직은 강했다. 족제비에게 당하는 것도 싫고 오리를 따라 돌아가 열등감을 느끼게 하고 싶지도 않고.. 

그런 속에서도 아기는 자라서 초록머리가 되고 오리로서의 정체성을 느끼고 입싹도 함께 성장한다. 아기를 키운다는 것은 자신을 희생하는 것이고 어쩌면 아기 하나를 키우기 위해 온 우주가 함께 노력하고 아기를 키워내는 것이 이세상을 함꼐 지켜나가야 하는 것이라는 것으로 생각이 확장된다.  

입싹은 이제 초록머리의 엄마이면서 모둔 생명체의 소중함을 느끼는 어미가 되고 나아가서는 적인 족제비아기에게 조차 연민을 느끼고 어미라는 것에 대해 생각하게 된다.그리고 족재비도 어미라는 사실에 공감을 하고 연민을 느낀다. 

세상의 모든 어미는 자식을 위해서 무엇이든 할 수 있고 무엇이든 해야하는 존재였던것이다. 내가 내 새끼를 위해 무엇인가를 늘 해야하는 것처럼 족제비도 제 새끼를 위해 내 목숨을 노리고 있는 것이라는 걸 알게된다. 내가 누군가를 잡아 먹어야 살수 있는 것이고 내가 누군가에게 먹히는 것이 내게는 슬픔이고 아픔이지만 먹는 존재에게는 내가 없으면 그 자신이 없어질 수도 있는 절박한 상황이라는 것.. 자연이 그렇게 경이로우면서도 슬프다. 

먹고 먹히면서 그것이 어쩔 수 없는 자연의 이치라는 것... 

입싹은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마당을 나왔지만 젖수지에서 들판에서 갈대밭에서 점점 열악한 상황으로 빠지면서도 의지는 점점 강해진다. 자식을 키우고 족제비를 피하고  혹독하게 자신을 내몰면서도 내면은 점점 단단해지고 있다. 

아이들이 읽기 전 엄마가 읽으면서 나는 어떤 엄마인가.. 마당에서 내 병아리만 데리고 종종거리는 엄마일까 아니면 알을 낳고도 아무런 감정이 없는 양계장의 엄마인지...아니면 입싹이인지.... 생각을 해볼 일이다.// 

아이들 책을 읽고 이렇게 울기는 첨이다. 아이들의 고전이라는 것이 역시 아무거나 되는 건 아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