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니는 개인 토니였다.

말이 지나치게 많고 멀리 보지도 못하고 눈앞의 이익에만 급급하고 욱하는 성미를 가진 토니

다정한 남편이고 가장이며 대가족을 이루고 사는 토니

그 시대를 사는백인 남성이면 가질 법한 편견과 차별을 악의 없이 지니고 있는 남자

설리는  그냥 흑인이다,

성공한 음악가이고 교육 수준이 높아 교양있고 우아하지만 혼자 미국 남부 투어를 하기에는 너무 위험한 그냥 흑인이다,

물론 영화흐름에 따라  설리도 자기가 가진 껍데기를 벗어가지만 주로 성장하고 변하는 건 토니다

그러니까 심하게 가자미 눈으로 본다면 토니라는 인물이 긴 여행을 통해 자기가 가진 편견과 차별을 반성하고  극복하며 성장하는 이야기

토니는 그런 주인공으로 적당하다.

한계를 많이 가졌지만 적당히 정의롭고 귀엽고 호감있는 인물이라 관객은 쉽게 그에게 이입되고 그의 성장을 응원하게 된다.

당연히 둘 중 더 주인공이라면 토니였을까

 

그러나 눈길을 잡는 건 설리다

우아하고 세련된 동작과 말투를 가졌고 자기 능력을 인정한 부유한 백인들의 초대로 남부로 연주 투어를 떠나지만 늘 긴장하고 무표정하며 현실을 받아들이지 않으면 안되는 인물이다

그의 말과 표정 행동은 편견과 차별이 일상이고 당연한 사회에서 살아남기위한 방어벽일 수 있고

그렇게 적응해서 평범하게 사는 것, 도드라지지 않는 것의 한 방편이었을 것이다

그의 삶은 어땠을까?

그의 이야기는 영화내내 단편적인 그의 대사로만 전해진다

어릴 적 어머니에게 피아노를 배웠던 것

러시아 음악학교  최초의 흑인 학생이었다는 것

남동생이 있지만 어디에서 어떻게 사는지 알 수 없다는 것

결혼을 했지만 현재는 혼자라는 것

간혹 그의 말속에 그의 삶이 드러나지만 그저 단편적인 문장으로 보여질 뿐이다.

그는 철저하게 타자였고 우리가 잘 알지 못하는 인물이었다.

다만 천재적인 음악 재능을 가지고 누구나 그의 연주를 좋아하고 있다는 것

사실 그의 연주를 듣고 칭송하고  열광하는 것은 어쩌면 그 당시 상류층의 속물적인 취향일지 모르겠다. 무대 위에서 조명을 받고 있는 설리에게는 그렇게 환호하면서도 막상 무대에서 나려온 평범한 흑인 설리에게는 단호하게 차별과 멸시를 보낸다

함께 화장실을 쓸 수 없고 함께 식당에 들어갈 수 없으며 아무 호텔에서나 묶을 수도 없다.

설리는 그 모든 현실을 견디고 받아들인다.

욱하는 우리의 주인공 토니는 자기도 차별을 하지만 이렇게 노골적이고 이중적인 태도로 설리를 대하는 태도를 이해할 수 없다. 그래서 싸움을 일으키기도 하고 거짓말과 위협으로 상황을 모면하기도 한다. 그럼에도 설리는 고마워하기 보다  그냥 받아들이라고 가만 있으라고 한다.

늘 말은 연주 일정을 다 마쳐야 돈을 받을 수 있다고 하면서

 

영화에서 설리는 흑인이지만 캔터키 프라이드 치킨을 먹은 적이 없고 흑인 재즈나 음악에 대해 알지 못한다. 여행도중 마주친 흑인 일꾼들은 같은 흑인이면서 백인에게 시중을 받는 잘 차려입은 설리를 낯설게 바라본다

흑인이면서 흑인 일 수도 없고 더우기 백인 일수도 없어 어디에도 속하지 않은 설리

백인에게 칭송받지만 그건 조명이 켜진 무대 위라는 한정된 공간에서 뿐이고

흑인들의 생활은 여전히 그에게 낯설다

그가 늘 받아들이고 참아내며 끝내 우아한 표정과 말투를 유지하는 모습에서 견뎌낸다는 것을 본다.그저 그렇게 견뎌낼 뿐이다.

변화를 위한 위대한 용기라고... 동료 연주가는 남부 음악 투어에 대해 정의를 내리지만 설리의 용기있는 한걸음이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그도 장담하지는  못할 것이다

그냥 이렇게 재즈가 아닌 클래식을 연주하는 흑인이 있다는 것을 알리는 것

그리고 그들에게 감동을 주는 것

가장 위험한 저 아래 남부 지방을 돌며 모든 위험을 감수하고 투어를 성공적으로 해내는 것

그것이 설리에게는 견뎌내고 지탱해주는 삶의 어떤 정수였을까

우아한 말투 행동 표정이 세상을 향해 곤두세운 가시들이 아니었을까

그렇게 자기를 무장해야만 편견과 차별로 가득한 이 세상에서 살아남을 수 있고 그저 생존이상의 존재 의미를 줄 수 있다고 믿지 않았을까

왕좌같은 우스꽝스럽던 그의 집 그의 의자들처럼 기이하지만

 그의 재능과 예의와 고상한 행동들이 그가 가진 갑옷이고 무기였다.

거짓말을 하지 않고 필요이상을 요구하지 않으며 거절을 받아들이는 행위

그건 자기 위치를 지키기 위해 잊지 말아야할 필요 사항이었다.

아무리 명성과 재능을 가졌어도  설리가 돌아가야 할 자리는 흑인이라는 위치였고 그 분명한 한계를 알고 있어서 더 이상 실수나 판단 착오없이 튀지 않게 살아야 하는 거였다. 모험이나 튀는 행위는 금물이다.

 

 

오스카가 사랑한 영화답게 이야기는 훈훈하게 마무리된다

토니와 설리는 점점 서로를 이해하고 가까워지며 설리의 도움으로  토니는 사랑스럽고 멋진 편지를 아내에게 보낼 수 있게 되고 위기에 처한 설리는 당연히 토니의 기지로 이겨낸다.

토니는 편견을 깨고 설리는 자기를 둘러싼 껍질을 조금씩 깬다.

그리고 마지막 따뜻하고 근사한 토니의 크리스마스 모임에 설리가 찾아온다.

영화는 끝났지만.. 그리고 그 다음 설리는?

자기를 알아주고 이해하는 친구를 만났다고  자기가 너무 긴장하고 애쓰며 살고 있다는 걸 알았다고 상황이 드라마틱하게 변하는 건 없다.

크리스마스 만찬 이후에도 삶은 계속되는 법이다

설리는 여전히 흑인이고 음악가이며  연주 여행을 다닐 것이다.

그 시대의 차별과 편견은 여전할 것이며 어쩌면 조금은 그 관습에 소극적인 저항을 하겠지만 크게 문제를 만들거나 변화하지는 않을 것이다

여전히 미세하게 노력하겠지만 견디고 참는 시간이 더 길것이다

 

견디는 것에 익숙하고 자기 감정을 눌러가며 주변 분위기를 맞춰주는 사람은 적어도 무시당하지 않을만큼의 성공이 필요하다

쉽게 쓰러지거나 지쳐서 스스로를 미워하지 않기 위해. 긴 시간을 벼텨내기 위해 그리고 누군가를 미워하느라 에너지를 너무 소비하지 않기 위해

작은 성공 명성 지적인 능력 자존감이 정말 필요하다.

설리를 보며 나는 속물스럽지만 그런 생각을 내내 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