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용서받지 못한 자 - The Unforgiven
영화
평점 :
상영종료
지난 주 일요일. 2005년 부산영화제에서 PSB관객상을 비롯 4개 부분의 상을 휩쓴 그 명성도 자자한 <용서받지 못한 자>를 드디어 봤다. 감독의 졸업 작품이라는 점도 이색적이었지만 작품이 얼마나 대단했기에 이듬해 2곳의 국제영화제에 초청될 정도인지 자못 궁금했다.
보기 시작한지 얼마 되지도 않았지만, 영화 속 주인공 승영(서장원)이 자대배치를 받아 친구인 병장 태정(하정우)을 만나는 장면에서 부터 몰입하기 시작해 엔딩 크레딧이 올라갈 때까지 움직이지 않고 화면만 쳐다보았다.
그리고 영화를 본 이후에는 아무것도 할 수 없었다. 절대 잊을 수 없었던 군 생활의 안 좋은 기억들이 영상처럼 떠올랐기 때문이다. 어느 정도 예상은 했지만 충격이 이 정도일 줄은 몰랐다. 감독이 미시적인 군대문화와 그 속에서의 인간관계를 어찌도 그리 섬세하게 파헤쳤는지 놀라웠다.
이 영화에 바로 빠져들 수밖에 없었던 것은 바로 영화 속 인물 승영 때문이다. 그가 자대배치 받아 신병 생활을 하는 초반에 보인 행동과 말은 내가 군 생활 하는 내내 가졌던 생각과 꼭 같았다.
승영은 막내의 성기를 만지며 장난을 치는 고참에게 단호히 그러지 말라고 말하는 개념 없는 이등병이다. "왜 쓰레빠를 후임병이 갖다줘야해? 자기가 꺼내 신으면 되잖아." "그런 게 다 폭력이야." 그리고 항상 말한다. "내가 바꿀 거야."
이렇게 승영은 군 문화의 폭력성에 저항하고 이런 잘못된 폐단을 자기가 바꾸겠다고 결심한다. 나 또한 그랬으니, 나의 군 생활을 다시 보는 것 같은 착각 속에서 영화에 빠져들 수밖에 없었다. (아마도 갈굼 당하는 이등병은 누구나 승영처럼 생각했을 것이다)
이후 극의 전개는 서서히 바뀌어 가는 승영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등병 시절 처음 가졌던 승영의 결심은 점점 무디어져 간다. 승영의 보호막이었던 병장 태정은 승영 때문에 심한 갈굼을 당하자, 부대원들이 보는 앞에서 어쩔 수 없이 승영에게 폭력을 가하게 된다.
"이승영, 대가리 박아. 그리고 너네, 이 새끼한테 잘해 주지 마."
이 사건을 기점으로, 승영은 군대 문화에 완전히 동화되어 간다. 고참들에게 갈굼 당하지 않고 인정받는다는 것은 자기도 폭력에 익숙해진다는 의미이다. 승영은 자신의 후임병인 지훈에 대한 태도도 달라진다. 처음에는 잘해 주었지만 고참들의 압박이 심해지자 편한 군 생활을 영위하기 위해서 지훈을 갈구기 시작한다. (이건 제대한 대한민국 남자이면 누구나 공감할 만한 내용이다)
승영의 폭력은 결국 지훈을 죽음으로 몰아넣는다. 여자 친구와 헤어져 힘들어하던 지훈은 어느 날, 승영에게 심한 갈굼과 함께 구타를 당하게 된다. 심리적으로 크게 위축되어 공황상태에 빠진 지훈은 결국 전투화 끈으로 목을 매어 자살한다.
이 충격적인 사건 이후, 승영은 심한 죄책감에 시달리고, 이미 제대한 친구 태정에게 용서를 받고 싶어 한다. 휴가를 이용해 둘은 만나지만 태정은 승영의 말을 들으려하지 않고, 승영은 끝내 지훈 죽음의 진실을 말하지 못한다. 결국 죄책감에 의해 갈등하다가 승영도 자살로 삶을 마감한다.
내가 본 이 영화는 리얼리티가 돋보이는 단순한 군대 영화가 아니었다. 이 영화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군대 문화의 폭력성과 인권 유린에 대한 고발이다. 군대 문화의 인권 유린과 폭력성은 매년 끊임없이 재생산 되고 있다. 이 영화가 2005년에 나온 이후 지금까지 승영과 지훈과 같은 병사들이 보이지 않는 곳에서 스스로 목숨을 끊고 있다.
지난 여름 해병대 2사단 A 모 이병의 자살 소식으로 온 나라가 들썩였다. 해병대 총기 난사 사건으로 묻힐 뻔한 사건이 참으로 우연히 공개된 것이다. 그리고 어제 광주의 모 부대에서 선임병의 가혹행위로 인해 김 모 이병이 군화줄로 목을 매 자살했다는 소식이 언론에 오르내리고 있다. 그리고 오늘 아무도 모르는 곳에서 이름 모를 병사가 조용히 자살로 삶을 마감할 것이다. 군대 내의 폭력과 구타로 인해.
이 영화의 고발성은 실로 가공할만하다. 승영과 지훈은 이름 없고 얼굴 없이 죽어간 자살자들의 생생한 증언이다. 현실에서 수많은 병사가 자살하는 이유가 궁금하다면 이 영화를 보면 된다. 왜냐하면 이 영화는 자살자의 자살 매커니즘을 명백히 드러내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자, 이쯤해서 현재 진행형인 대한민국 군대의 인권유린과 폭력성이라는 사실을 거들 떠 보기라도 하자.
• “말한다고 맞고, 말 안한다고 맞고…” 육군 이병 “선임병 괴롭힘 못견뎌” 외박 나와 자살 [2011.10.18 YTN]
• 식칼로 부하 얼굴 면도질...군 간부 가혹행위, 올해만 35명. 강제로 담배 씹어 먹게한 중사, 비누·음식 찌꺼기 먹인 간부도 있어 [2011.09.29 오마이뉴스]
• 軍내 성범죄 심각. 매주 1건 꼴 발생 [2011.07.24 연합뉴스]
군대에서 인권 유린을 당하면 하소연 할 때가 한 군데도 없다. (폭력적인 군대문화로 인해 금새 은폐되고 하소연 한 자만 매장된다) 자살만이 병사 자신의 존엄성을 지키는 유일한 수단이다. 그 이외에는 어떠한 탈출구도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방부를 비롯해 정부와 법원은 이 문제를 도외시하고 있다.
병영 내에서 병사들의 인권을 유린하는 실체는 국가에 의해 행해지는 것이 아니라, 선임병과 후임병 사이에 행해지는 제도적 악습이다. 이러한 인권 유린으로 자살하는 사람이 해마다 70명 이상에 이른다니, 세계에서 유례를 찾아 볼 수 없는 통계수치가 아닐까? 단지 몇 달 먼저 입대했다고, 폭력을 정당화 하는 군대는 비민주적 군대의 전형이다. 군대의 시간은 1960년대에 멈춰있는 가 보다.
하지만 매우 슬프게도 우리 군의 시간은 멈춰있기는 커녕 거꾸로 가고 있다. 지난 여름 해병대 총기 난사 사건 보도가 한창 일 때 한 신문의 논설위원은 1962년 최영오 일병 사건을 들춰내는 칼럼을 썼다. 다음은 그 칼럼의 일부이다.
강화도 해병 부대의 총기 난사를 보며 낡은 신문 속의 ‘최영오 일병 사건’을 떠올렸다. 1962년 7월 8일 오전 8시의 일이다. 서울대 문리대 4학년을 다니다 입대한 최 일병은 고참 2명의 등을 향해 M1 소총 방아쇠를 당겼다. 그는 여자친구가 보내온 12통의 사랑 편지를 같은 내무반의 병장과 상병이 뜯어보고 희롱하자 대들었다. 고참들에게 거꾸로 흠씬 얻어맞은 그는 분노를 참지 못한 채 총을 쏘고 자살을 기도했다. 군사법정에 끌려온 최 일병은 “두 사람을 살해한 순간 나 또한 죽은 지 이미 오래다. 다만 아무리 군대라 해도 인간 이하의 노리개처럼 갖고 노는 잔인함을 향해 총을 쏘았을 뿐”이라고 울부짖었다.
수많은 서울대 학생들과 문인(文人)들이 구명운동에 나섰으나 소용없었다. 이듬해 3월 19일, 그는 서울 수색의 군 사격장에서 총살당했다. “나의 죽음으로 비인간적인 군이 개인의 권리를 보장하는 민주군대로 거듭나길 바란다”는 유언을 남겼다. 하지만 비극은 여기서 끝나지 않았다. 그날 저녁, 남편과 사별한 뒤 20년간 혼자 그를 뒷바라지한 모친(당시 61세)이 한강 절벽에서 뛰어내렸다. 평소 자주 빨래하던 마포 강변에 가지런히 놓인 고무신 안에는 “높으신 선생님들, 내가 영오 대신 가겠으니 제발 내 아들은 살려주십시오”라고 적힌 유서가 들어 있었다. 온 사회가 눈시울을 붉혔다.
온 사회가 눈시울을 붉혀도, 언론이 떠들고 시사고발 다큐가 사건을 파헤쳐도 전혀 변하지 않는 군대가 대한민국의 군대다. (우리는 이를 해병대 총기 난사 사건과 천안함 사건에서 이미 경험하고 있다) 영화에서 선임병의 폭력에 저항하던 승영에게 태정은 입버릇처럼 말하곤 했다. “너가 틀린 건 아닌데, 그러면 너만 힘들어져.”
최 일병 사건 이후 50년이 지났지만 똑같은 사건을 거의 매주 마주하니, 슬픔을 넘어 분노하게 된다. 어째서 우리는 이런 똑같은 비극을 되풀이 하고 있는 걸까? “나의 죽음으로 비인간적인 군이 개인의 권리를 보장하는 민주군대로 거듭나길 바란다”고 한 최일병의 유언을 우리는 어쩌자고 방치했는지 모르겠다. 일고의 가치도 없는 죽음이 됐으니.
군의 폭력과 구타 그리고 인권유린으로 인해 스스로 목숨을 끊는 병사들의 소식을 들을 때마다 영화 속의 승영과 지훈의 죽음이 오버랩되곤 한다. 그리고 태정이 승영에게 입버릇처럼 말하던 그 말이 계속 귓가에 멤돈다.
“너가 틀린 건 아닌데, 그러면 너만 힘들어져.”
우리가 태정이 되어 우리 스스로에게 이 말을 던지고 있는지도 모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