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욕대학교의 물리학 교수였던 소칼은 재미있는 착상을 하고 이를 실행에 옮겼다. 평소에 그는 포스트모더니즘 철학을 ‘철학자 자신들도 이해하지 못하는 용어를 남발하는 공허한 말장난’이라고 생각해 왔다.
그는 자신의 이런 생각을 입증하기 위하여 아무 의미도 없는 가짜 논문을 만들어서 유명한 포스트모더니즘 계열 학술지에 제출하기로 한 것이다.
소칼의 시도는 평소 자신의 생각을 대범하게 실행한 것이다. 평소 포스트모더니즘 철학계에 가진 생각이 옳다면, 자신의 엉터리 논문이 학술지에 채택될 것이라고 확신했기 때문이다. 소칼은 〈경계를 넘어서: 양자 중력의 변형적 해석학을 위하여(Transgressing the Boundaries: Toward a Transformative Hermeneutics of Quantum Gravity)〉라는 가짜 논문을 ‘Social Text’에 제출했다.
소칼의 말에 따르면, 포스트 모더니즘 학술지가 ‘그럴듯하게 들리고 편집자의 이데올로기적 선입견에 비위를 맞춰주기만 하면 넌센스로 범벅이 된 논문을 출판해 주는지’ 알아보기 위한 실험이었다고 한다.
결국 이 논문은 1996년 ‘Social Text’의 봄/여름호에 출판되었다. 자신의 논문이 Social Text에 실린 날, 소칼은 ‘Lingua Franca’라는 학술지에서 Social Text에 실린 논문은 엉터리 논문이라는 사실을 발표했다.
이로 인해서 Social Text를 출판하던 듀크 대학교는 큰 홍역을 치렀다. 소칼은 자신의 엉터리 논문에 대해 ‘좌파들의 전문 용어, 비위를 맞춰주는 참고 문헌, 장황한 인용, 명백한 넌센스들을 자신이 찾을 수 있는 한 가장 멍청한 수학과 과학에 대한 인용문을 중심으로 섞은 것’이라고 표현했다.
솔직히 대학에서 문학이나 철학을 강의하는 분들이나 현대철학을 공부하는 분들을 만나서 얘기를 해보면 알쏭달쏭한 개념들을 쏟아낸다. 알 수 없는 개념들이기에 코에 걸면 코거리 귀에 걸면 귀고리가 된다. 쓰는 사람은 논의에 맞게 쓸 수 있어 의사 전달에 편할지 모르지만 듣는 사람은 어지럽다.
상황이 이쯤 되면 말하는 이가 뭔가 있어 보이게(?) 된다. 왜냐하면 알 수 없는 개념들을 아무렇지도 않게 또한 그럴듯하게 사용하여 말하기 때문이다. 그 말을 듣는 사람들은 적확한 의미를 모르기 때문에 그냥 고개만 끄덕거릴 수밖에 없다.
나도 소칼과 같은 시도를 꽤 많이 해 봤는데(개념을 정확히 잘 모르면서 아는 척 말하는 거) 철학에 문외한인 대부분의 사람들이 문제의 심각성을 못 느끼고 자신의 공부가 부족함만을 탓했다.
더 심한 상황은 토론 자리에서 벌어진다. 어떤 논의에서 자신의 생각을 뭐라고 하면, 포스트모더니즘으로 무장한 사람이 철학적 개념들을 들이대며 아니라고 한다. 이후의 상황은 간단히 정리 된다. 아무 반박도 못하고 자신의 생각이 틀렸나 보라고 시인하는 어처구니없는 장면이 연출된다. (솔직히 이런 자리를 꽤 많이 목격했다)
중요한 건 그들이 개념을 몰라서 그렇지만 더 심각한 것은 포스트모더니즘으로 대변되는 현대 프랑스 철학의 개념들이 매우 모호하기 때문에 그렇다.
자신도 정확히 알 지 못하는(그런데 안다고 생각하고 쓰는) 모호한 개념들은 그 개념의 나열만으로도 충분히 현학적인 문장이 되어 어디서나 통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자, 다음 개념들은 아무 의미도 없는 철학적 단어들을 마구 잡이로 늘어놓은 것이다.
[칸트, 윤리, 상징계, 담론, 의식, 메타, 환원, 사고, 이율배반]
이따위 무의미한 단어들은 다음과 같이 조합될 수 있다. “칸트적 이율배반을 상징계적 윤리의식으로 환원하는 메타 담론 - ” 그럴듯한 철학적 문장이 완성되었다. 아무 뜻도 없이 개념만 나열한 문장이 어느새 고상하고도 철학적인 문장으로 둔갑한 것이다.
이러한 개념들은 어떤 상황이든지 논의 속에 자연스럽게 스며들 수 있다. 특히 ‘칸트적’, ‘들뢰즈적’, ‘라캉적’ 이라고 하는 철학자 이름 뒤에 붙인 관형적 어미 ‘적’은 증명을 필요로 하지 않는 마법을 부린다. 누가 이런 식으로 말하면 이런 개념에 익숙한 사람들은 안다는 전제하에 이 후의 논의를 진전시킨다. 정말 기막힌 노릇이 아닐 수 없다.
소칼이 지적했듯이 작금에 판을 치는 포스트모던 철학은 현란한 문학적 비유가 아니라면 공허한 말장난에 지나지 않는다. 소칼은 그것을 대담하게 실험을 통해 증명한 것 뿐! 프랑스 철학 등 현대 포스트모더니즘 철학에 대한 내 생각을 소칼이 그대로 증명했다는 데에 속이 시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