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은 취미로 그리나요?"

 

처음 나가는 모임이나 기존 모임의 새로운 사람을 만나 인사를 나눌 때 나는 꼭 내 본업을 말하지 않고 작가라고 소개한다. , 예전부터 숱하게 듣던 물음, “혹시 예술하세요?”라는 물음에 대해 미리 대비해서 그냥 작가라고 소개한다.

 

그러면 8할 정도의 사람들은 전업 작가시냐고 묻는다. 그래서 본업은 따로 있는 직장인이라고 하면, 뒤따라오는 물음, “그러면 그림은 취미로 그리세요?”

 

(아비투스, 캔버스에 콜라주, 10F, 2025)


요새 내 소개를 작가라고 하면 숱하게 묻는 물음이다. 뭔가 내 직업을 소개했을 때 이렇게 구체적으로 관심을 표명하는 사람들이 있다는 게 신기하다. 전에 뭘 한다고 하면 그러냐고 후속질문 따위는 없었는데 말이다.

 

, 다 이해한다. 취미로 그림을 그리는 사람들이 정말 의외로 많다는 사실을 취미 미술학원 다니면서 눈으로 봤으니까. 정말 많았다. 취미로 그림을 그리는 사람들이. 그리고 다 잘 그렸다. 미술대학을 나온 사람들처럼 잘 그렸으니까. 개중에는 정말 미대 나온 전력이 있는 사람도 있었다.

 

그렇다면 취미로 그림을 그리는 것과 전업 작가(프로 작가)와의 차이는 무엇일까? 취미로 그림을 그리는 사람들 중에는 화력이 10년을 훌쩍 넘는 사람들이 쌔고 쌨다. 그렇다고 해서 취미미술 화력 10년이 넘은 사람들을 보고 전문 작가라고 하지 않는다. 그 취미 경력자도 자신을 아마추어라고 인식하고 있으니까.

 

아마추어 작가와 프로작가의 차이. 이건 정말 내가 아마추어 작가에 머물기 싫어서 많이도 생각해 봤던 주제다. 하지원이나 구혜선의 그림을 보고 그렇게도 논란이 많았던 것이 이 주제와 닿아있어서다.

 

내 그림이 하지원이나 구혜선의 작품 취급(평론가들 공히 레퍼런스만 있다는 거)을 받는 것이 싫었다. 그럴려면 자신만의 독창적인 조형 언어가 있어야 한다. 그게 프로와 아마추어 작가를 구별하는 시금석이고, 나는 적어도 그렇게 생각하는 부류다.

 

자신만의 조형 언어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은 일종의 논문 쓰기가 비슷하다. 레퍼런스(참조)를 넘어서는 자신만의 색깔이 그림에 드러나야 하는 게 일차적인 조건. 그리고 다음이 주제와 대상을 선택해서 형상을 그리는 능력. 이게 되면 자신만의 조형 언어를 갖게 된다.

 

자신만의 조형 언어를 갖고 작품을 발표하는 게 소위 전업 작가(또는 프로 작가)라 할 수 있다. 이렇게 활동하는 작가들의 그림이 모두 좋은 것은 아니다. 잘 그린 그림들은 넘쳐나지만 좋은 그림은 많지 않다.

 

그렇다면 잘 그린 그림과 좋은 그림의 차이는 무엇일까? 나는 이 차이를 시대성두고 있다. 즉 그림이 당대의 시대성을 담을 수 있느냐다. 그림을 무척 잘 그리는 작가도 자신의 감정을 드러내는 그림을 그린다. 추상화든 구상화든 자신의 감정을 캔버스에 담는 작가들이 무척 많다.

 

형상은 다 좋다. 스킬도 좋고 정말 잘 그리는 작가들이 넘쳐난다. (인사동이나 강남의 그 많은 갤러리에 가보라!) 그런데 뚜렷한 주제 구현 없이 자기 감정을 주로 드러내는 그림을 그리는 작가들이 많다. 시대성 보다는 자신의 감정이 주를 이룬다. 물론 자신의 감정을 화폭에 담는 능력도 아무나 할 수 있는 게 아니다.

 

하지만 시대성 보다는 자기 감정을 캔버스에 소모하는 것은 자기 얘기를 주야장천 하는 소설 작품과 다르지 않다. 자신의 감정을 시대성에 어떻게 승화시키느냐가 중요한데, 이를 해내는 작가들이 드물다. 그래서 좋은 그림을 찾기가 어려운 것

 

주제를 구현하는 방식도 그렇다. 형상만 멋진 작가들이 넘쳐난다. 이걸 왜 그렸냐고 물으면 순간의 내 감정을 놓치고 싶지 않아서라고 답하는 작가들이 무척 많다. 프로 작가는 자신의 조형 언어로 주제를 구현하는 예술가다.

 

철학자가 자신의 철학적 주제를 글로 표현하듯이, 화가는 자신의 주제를 조형 언어로 표현하는 거다. 미술대학을 나오지 않은 나같은 사람조차 이해하는데, 우리나라 미술대학을 나온 사람들 중 상당수가 이런 식으로 작품활동을 하지 않는다. 대개 자심의 감정이 최우선이다.

 

나는 자신의 감정만을 표현하는 작가들을 프로 작가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 형상과 기법이 아무리 훌륭하다고 할지라도 그렇다. 자신의 생각을 주제에 맞게 형상을 창조하고 시대성을 담으려고 노력하는 작가야말로 진정한 프로 작가라고 생각한다.

 

이건 미술대학을 나왔냐, 전업으로 그림을 그리느냐 하고는 다른 차원의 문제다. 이건 예술 활동의 본질에 관한 것이다. 취미로 그림을 그리는 사람일지라도 이런 방식으로 그림을 그린다면 그는 취미로 그림을 그리는 사람이 아니라 프로 작가다. 이건 전업(專業)의 문제가 아닌 것이다. ()


하지원이나 구혜선의 그림을 나는 폄하하지 않는다. 다만 그들이 자신의 조형언어로 주제를 구현하여 시대성을 담는 창작 활동은 하지 않고 있다는 사실은 그들의 설명으로부터 충분히 인지했다.




댓글(9)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transient-guest 2025-06-12 05:0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결국 전업이라면 단순히 잘 하는 걸 떠나서 자기만의 무엇인가가 있어야 한다는 것으로 생각합니다. 노래 잘하는 사람은 많지만 자기 노래를 하는 사람은 그보다 훨씬 적은 그런 취지로 이해했어요. 이렇게 계속 그리다 보면 전업으로 넘어가는 것도 가능하지 않을까요??? yamoo님의 화풍, 그리고 담고 싶은 걸 담고, 그걸 타인이 보고 느낄 수 있는 그런 단계라면요..ㅎ

yamoo 2025-06-12 18:28   좋아요 1 | URL
적절한 비유입니다! 자기 노래를 하는 사람은 많지 않죠.
우리나라에서 전업 작가의 연봉이 천만원이 안됩니다. 그림이 팔리지 않아요. 아무리 좋은 그림이라도 30년 화력의 출중한 화가라도 그림은 팔리지 않아요. 우리나라에서 그림을 구입하는 층을 생각하면 답이 나옵니다. 전업작가에 들어서는 순간 버터지 못해요. 팔리는 그림은 있지만 영속성을 담보하지 못합니다. 그래서 직업이 있으면서 작업을 하는 게 최선이에요. 전업으로 하지 않아도 작품활동은 할 수 있으니까요..^^

transient-guest 2025-06-13 00:24   좋아요 1 | URL
밥벌이는 다른 일로 하셔도 이렇게 artist로 계속 가시면서 고민하시고 고찰하여 그림으로 표현하고...활동하신다면 이미 전업작가가 아닌가 생각합니다.ㅎㅎ 어떤 경우 취미와 직업 = 돈이 되고 안되고 혹은 밥벌이를 하느냐로 구분하기도 하는 것 같지만 그게 늘 맞는 방식은 아니라고 봅니다. ㅎㅎ

감은빛 2025-06-18 18:2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야무 작가님. 멋집니다.

제가 장발에 수염을 기르고 있어서 어디 가면 다들 예술 하시냐고 묻습니다.
들을 때마다 예술이란 것을 할 수 있었으면 얼마나 좋았을까 하는 생각을 합니다.
그림을 그리는 작가도 그림으로 먹고 살기는 어렵군요.
글 쓰는 작가도 마찬가지죠. 글만 써서 먹고 사는 작가는 정말 소수입니다.
저도 언젠가는 작가라고 당당하게 말하고 다닐 수 있는 날이 오면 좋겠습니다.

yamoo 2025-06-20 09:49   좋아요 0 | URL
오~~ 감은빛 님 장발이시군요! 그 나이대에 장발이면 다 예술하는 사람일 줄 알겁니다..ㅎㅎ 저도 머리가 길어 자를 시점이 되면 다들 예술하냐고 여전히 그럽니다..ㅎㅎ

네, 각종 상이란 상은 모조리 휩쓴 화가라도 그림이 반짝 팔릴 수는 있지만 그런 그림 자체는 비싸기에 거의 사는 사람이 없어요. 우리나라 컬렉터 하는 사람들이 2천명도 안됩니다. 재력가들이라도 그림이 좋아 1점에 몇 천만원 짜리 그림을 사는 사람이 없기에 엄청난 그림을 그리는 작가도 빛을 못보죠.

글은 그래도 향유하는 사람들이 많고 접근성이 그림보단 쉬워서 일단 발굴된 작가 책이 나오면 마케팅 열심히 하면 어느 정도 책 판매는 됩니다. 미술판 보다는 훨씬 나아요..ㅎㅎ

창작하고 발표하면 그것이 뭣이 됐든 작가라고 할 수 있어요..^^

페크pek0501 2025-06-20 12:0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그림에서 중요한 건 시대성, 이군요. 글도 마찬가지일 듯합니다. 요즘 작가들의 소설이나 에세이를 읽는 이유는 시대성을 보기 위함이죠. 또 한 가지 중요한 게 있다면 인간의 본질, 이라고 봅니다. 판타지 소설에서도 인간의 본질을 담아내는 것을 보면 감탄하지 않을 수 없죠.^^

yamoo 2025-06-20 14:22   좋아요 0 | URL
음....인간의 가치 아닐까욤? 그니까...저같이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을 지지하는 입장에서는 본질이란 없다고 보기에 인간의 가치가 적절할 듯싶은데...
본질주의자 입장에서는 페크님처럼 말씀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림 역시 본질을 추구합니다. 그래서 저같은 경우 모더니즘과 결코 타협할 수 없더군요. 모더니즘에 선험적인 거부감이 들었던 이유가 있었던 거..^^;;

하나의책장 2025-06-21 03:1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작가님, 예술가셨군요☺️
사실 배경이 예쁘다는 소리만 많이 들었지 백드롭 페인팅에 대해서 질문받아본 건 처음이었거든요.
제가 색 입히는 것을 좋아해 처음에는 드로잉북을 활용하다 백드롭 페인팅을 취미로 삼게 되었어요.
미술(예술) 부분은 깊게 생각해보진 않았었는데, 어느 분야든 고충은 있겠지만 그림의 경우 체감되는 깊이감이 남다를 것 같습니다.

yamoo 2025-06-23 06:53   좋아요 0 | URL
음...책을 전문적으로 사진찍기 위한 배경을 마련해 두었다는 것이 놀랍습니다!
책 사진 배경을 위해 백드롭 페인팅을...생각도 못해봤습니다!! 정말 깜놀입니다~^^

그림에 대한 체감되는 깊이감이라...그림을 그리기 전에 봤던 거와 그린 후에 봤던 거는 좀 다른 거 같아요. 좀 더 가까이 가서 어떤 기법으로, 어떤 구성으로 그렸는지에 좀더 방점이 찍힙니다..ㅎㅎ

백드롭 페인팅은 정말 좋은 취미인듯합니다~백드롭해서 배경 인테리어 하는 분들은 꽤 봤지만 그걸 책 사진 배경 찍기 위해 활용하는 분은 처음 봐서 너무 신선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