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마지막 전시가 한창입니다. 직장 내 미술동호회인데, 올해로 10회 째를 맞이했습니다. 저는 올해부터 참가하게 됐어요. 약 30여점 출품됐는데 제 그림에 반응이 좋아 여기 올려볼까 합니다.
저는 3작품은 냈어요. 회장님이 미술대전 상받은 사람이 저 혼자라 수상작품 위주로 출품해 달라고 해서 3점을 냈는데, 그 중 한 작품입니다. 제목 그대로 '인간본성의 완전한 발현을 향하여'라는 바람을 담은 작품. 얼마 전 페이퍼에도 이 그림을 첨부했었습니다.
여기서는 이 작품을 구상하게 된 동기와 작품에 대한 해설이 주가 되는 페이퍼입니다.
이 주제를 구상하게 된 게 책 읽는 모임에서 어느 지인의 발언 때문이다. 지인은 수전 손택(<타인의 고통>)의 책을 읽으면 언제나 정신이 성장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 말에 모임 사람들 모두 고개를 끄덕이며 자신들도 그렇게 생각한다고. 모임 이후, 나는 문제의 그 발언을 곰곰 생각해 보았다. 아무리 생각해 보아도 정신이 성장한다는 말은 너무 이상했다. 정신이 성장을 해? 그러면 천부인권도 성장해야 하고 자유도 성장해야 하며 절대정신도 성장해야 한다. 이건 말이 되지 않는다. 헤겔이 말한 대로 절대정신은 있는 것이지 성장하는 게 아니다. 자유도 그렇고 정의도 그러하며, 인간의 본성 또한 그렇다. 모두 있는 것인데 그 발현 정도에 따라 그 수준이 다른 것 뿐이다.
하지만 지인들을 포함해서 다수의 사람들은 정신이 성장한다는 막연한 통념에 빠져 사는 듯하다. 나는 이런 통념을 회화를 통해 제거하고 싶었다. 단순한 조형언어 일수록 의도한 효과는 강력할 것이라 생각되어 최대한 미니멀한 접근을 하고 싶었고 사각형과 검은색-흰색 면을 통해 표현하고 싶은 지점을 명확히 하려고 노력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1206/pimg_7046381054107074.jpeg)
(인간본성의 완전한 발현을 향하여; 暗-濁-明, 캔버스 보드에 아크릴 혼합, 100×80.3cm, 2023)
구현된 이미지를 보면 왼편부터 검은 공간이 점점 흰 공간으로 바뀌어간다. 중간 단계를 더 두어 변화 양상을 부가할 수 있겠지만 세 부분으로 분할해도 의도는 충분히 전달된다고 본다. 금색의 사각형은 사람이 본래부터 갖고 태어나는 인간본성이자 순수한 정신의 완전체다. 사람이 나이를 먹고 세파에 시달리면서 순수한 본성은 점점 탁해진다. 처한 환경이 나쁠수록 순수한 정신은 탁한 기질로 인해 완전히 보이지 않게 된다. 결국 범죄자가 될 여지가 높게 된다. 맨 오른편은 순수한 본성이 완전히 발현한 것으로 성인의 영역이라 할 수 있겠다. 중간의 탁한 점이지대는 순수한 정신이 어느 정도는 보이지만 불순한 기질로 인해 온전히 보이지는 않게 된다. 우리 보통 사람들이 위치한 부분이 여기이고 우리는 오른편으로 가기 위해 부단히 우리 자신을 수양해야 한다. 작품은 이 과정을 조형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써 순수한 우리의 본성이 나아갈 방향을 염원하며 평면에 담아본 것이다.
* 사실 위 그림은 아주 오래 전부터 구상하고 있었다. 한국사상사 중 혜강 최한기 선생의 기일분수설 설명을 보고 위 그림을 착상하게 됐다. 원래 기일분수설은 임성주로부터 시작됐지만 당시 나는 최한기 선생의 책에서 이를 처음 접했었다. 당시는 비이커에 먹물을 떨어뜨리는 걸로 형상화했던 기억이 생생하다. 붓을 들어 색면추상으로 표현하니 그냥 작품이 만들어졌다..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