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표 - 교유서가 소설 ㅣ 2022 경기예술지원 문학창작지원 선정작
이대연 지음 / 교유서가 / 2022년 12월
평점 :
경기문화재단에서 경기도에 거주하는 문인들에게 창작 지원금을 지원한 2022년 <경기문화재단 선정작> 시리즈 10권 가운데 한 권인 이대연 작가의 『부표』란 책을 만났습니다. 시리즈의 단편집들은 모두 두 편의 단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책에는 「부표」, 「전(傳)」이란 두 편의 단편이 실려 있습니다.
둘 모두 죽음에 대해 생각하는 내용입니다. 「부표」에서의 주인공 ‘나’는 아직 아버지의 삼우제를 치르기 전, 즉 아버지의 죽음 직후의 상황입니다. 장례를 마치고 바로 본업에 복귀하여 낡은 등부표를 교체하는 작업을 하는 ‘나’는 바다 속에서 수명을 다하고 올라온 부표의 표면에 달라붙은 담치(홍합의 아류)를 보면서 아버지의 죽음과 그 인생, 그리고 자신들의 힘겹던 삶을 되돌아보게 됩니다.
아버지는 언제나 일확천금을 꿈꾸던 사내였습니다. 가족을 돌보는 일은 뒷전인 아버지, 언제나 검은 선글라스를 끼던 모습이 인상적이었던 아버지는 오랜만에 나타나면 그동안 번 돈을 어머니에게 보여줄 뿐입니다. 그 돈은 다시 주식투자에 소용되는데, 돈을 벌었다는 소문은 없는 아버지. 결국 교통사고로 생을 마감한 “부표”와 같은 인생과 부표 교체 작업을 하는 주인공의 작업이 묘하게 교차됩니다. 물론 부표 교체 작업을 하는 주인공 ‘나’는 결코 부표와 같은 인생이 아닌 견실한 생활자라는 느낌이지만 말입니다.
어린 시절 가족 생일에만 먹었던 홍합 미역국은 기껏 일 년에 세 번 먹을 수 있는 호사 아닌 호사였으며 다시 먹고 싶지 않은 음식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여기에도 아버지는 없습니다. 그나마 가족 생일에 먹는 홍합 미역국조차 “일 년에 세 번”뿐이니 말입니다. 이처럼 아버지는 가족에 뿌리 내리지 못한 부표와 같은 인생이니 말입니다. 그 죽음을 바라보는 ‘나’는 그러나 결코 담담할 수만은 없습니다. 물론, 소설은 아버지에 대한 회상을 담담하게 전합니다. 하지만, 바다에서 돈을 버는 ‘나’는 때 아닌 멀미를 합니다. 체한 것일 수 있지만, 이는 결국 아버지의 죽음이 주는 충격이겠죠. “부표”와 같은 인생이었던 아버지의 죽음 이후 남겨진 3천만 원에 불과한 유산은 분명 큰돈은 아니지만, 남겨진 가족에겐 그 동안의 삶을 돌아보며 치유케 하는 한 계기가 되기도 합니다.
「전(傳)」은 역사소설입니다. 물론 역사적 사실을 그대로 전하는 것이 아닌 허구가 가미된 역사소설이랍니다. 역시 한 사람의 죽음으로 소설은 시작합니다. 병조참의인 모정 배대유는 한 사람의 방문을 받게 됩니다. 무정이란 인물로 조선제일검이라 불리는 사내, 배대유의 생명을 두 차례 구했던 인연 깊은 인물이자, 배대유를 두 번 죽이려 했던 인물이 배대유를 찾은 것은 어떤 의도일까요?
바로 한 젊은이의 졸기를 써달라고 요청하기 위해서였답니다. 여기에서 소설의 제목 「전(傳)」이 나옵니다. 이렇게 두 번째 소설 역시 죽음을 바라보게 됩니다. 소설을 읽으며, 죽음을 바라보는 시선이 결코 객관적일 수 없다는 것을 생각해보게 됩니다. 아울러 누군가의 죽음은 그 사람과 함께 걸었던 거리, 함께 앉았던 자리, 함께 꿈꾸던 것을 회상하게 되는 계기라는 것도 말입니다. 물론, 남은 자들의 몫은 죽은 이를 향한 기억이겠죠. 물론, 이런 죽음과 기억의 주체는 끊임없이 바뀌게 되겠지만 말입니다. 수명을 다한 부표를 교체 작업하듯 말이죠.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 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