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퀴어의 유연성과 확장성을 둘러싼 논의 


 1)퀴어라는 이름은 무한히 확장될 수 있는가? 

  퀴어를 마치 마음대로 입고 벗을 수 있는 젠더 개념으로 오인하여 비웃음을 던지는 혐오세력들이 있고, 그에 대한 비판과 논의가 담겨 있다. 


퀴어라는 용어를 무한히 확장시킬 수 있는 자유롭고 추상적인 개념으로만 취급하면서 '퀴어'라는 용어와 그 이름으로 불리어왔던 혹은 스스로를 그렇게 불러왔던 사람들을 서로 떼어놓을 때, 그리하여 트랜스를 배제하는 페미니스트들이 상상하는 단일한 여성 정체성을 위한 이론적 자원으로만 끌어다 쓸 때, 이는 퀴어로 살아가는 사람들의 퀴어 정체성을 부정하고 이 사람들을 페미니즘 의제에서 배제한다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 이는 퀴어를 전면 거부하는 것보다 훨씬 더 교묘한 퀴어 혐오일 것이다.  - 88, 89쪽


 2) 물질, 현실, 역사를 사유하기


(즉,) 혐오폭력 가해자들이 어떤 사람을 희생자로 선택하는 이유는 그 희생자에게 차별(처벌)받을 만하다는 물질적인 증거가 있기 때문이 아니다. 터너는 이런 사건이 발생할 때마다 '왜 가해자들이 인종적 차이나 성적 차이를 기반으로 희생자를 선택하는가?'하는 질문이 자주 등장하지만 이 질문이 그러한 차이에 책임을 돌리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어서는 안 된다고 당부한다. 언론과 경찰이 '묻지마 살인사건'으로 서둘러 단정한 강남역 살인사건에서 가해자는 왜 아무나 죽이지 않고 여자가 지나갈 때까지 세 시간이나 기다렸는가? 젠더퀴어로 보이는 사람은 왜 희생자로 선택되는가? (...) 이는 "범주에 관한 질문이고, 재현에 관한 질문이고, 개인들을 그들의 정체성에 부착시키는 과정에 대한 질문이자, 관습적으로 정의된 정치와 법에 대한 질문이다."  - 93쪽


 3) 경계 짓기/열어놓기의 변증법

   위 1)의 문제와 관련된 논의로, 적절히 경계를 지으면서도 그것이 또다른 규범이 되어 누군가를 배제하는 결과가 되지 않도록 열어놓을수 있는 방법에 대한 고민이 담겨 있다.


경계를 가로지르고 한 곳에 고정될 수 없는 퀴어 개념의 특성이 마치 마음만 먹으면 위치성을 초월할 수 있는 양 오용될 위험을 어떻게 경계할 수 있을까? 위치를 본질적인 것으로 사유하지 않으면서도 위치성을 중시할 방안은 어떻게 모색해야 할까?  - 95쪽


 그리스의 패럴림픽 수영 챔피언이라는 안토니스 차파타키스가 찍은 화보(구글에서 Antonis Tsapatakis를 검색하면 사진이 나온다. 수영장 물 속에서 옆으로 쓰러져 있는 휠체어 곁에 우뚝 서 있는 안토니스의 모습이다)를 예로 들면서, 


지금 이 사회에서 규범적인 것은 매우 이분법적으로 범주화되어 있는 데다 더 좋고 나쁨의 위계가 그사이를 촘촘하게 채우기 때문에 이런 위계질서에서 이미 가치가 낮춰진 존재들이 재현될 때마다 이 재현이 과연 규범을 전복시키는 것인지 공모하는 것인지 확답할 수 없는 복잡한 의미가 덕지덕지 쌓이게 된다.  - 98쪽

 이 부분 굉장히 공감이 간다. 여성에 대한 성적 대상화, 외모 품평 같은 것에 대해서도 이를 뒤집는 광고라든지 언어가 전복인지 공모인지 약간 헷갈릴 때가 있다. 



4. 우리에게 필요한 건 인식론적 겸손의 정치


무엇보다도 퀴어 이론을 퀴어하게 만드는 것은 자신의 주장이 토대삼은 것들도 심문하면서 스스로를 항상 비판에 열어놓는 태도다.  - 101쪽

우리는 인간이 무엇인지 인권이 무엇인지 여성이란 무엇이고 누가 여성이 아닌지 등에 대해 하나의 정답을 딱 말할 수도 없고 그럴 수 있다는 오만을 가져서도 안 되지만, 그럼에도 계속해서 이런 문제들에 대해 고민하고 발언하고 개입하지 않을 수 없다. 싸움에 침묵하는 자는 방관자고 체제 유지에 기여하는 자가 될 수 있기 때문에, 또한 인식론적인 겸손함으로 이 무지를 받아들이고 이 무지 속에서 치열하게 고민해나가는 것이 우리의 윤리적 책무이기 때문에.  - 104쪽


 위 인용문과 관련해서, 각주 137(127쪽)에서는 저자가 주디스 버틀러의 <Undoing Gender(2004a)>(<젠더허물기>라는 제목으로 번역되어 있다) 중 일부 내용에 대한 번역의 잘못을 지적한다.

 



 












원문: Indeed, I think we are compelled to speak of the human, and of the international, and to find out in particular how human rights do and do not work, (...) 


한글판 번역: 사실 나는 우리가 인간에 대해, 또 국제적인 것에 대해 말하도록 강요받는다고 생각하며, 특히 인권이 어떻게 작동되고 또 작동되지 않는지, (...) 알아내라는 강요를 받는다고 생각한다. 


저자의 번역: 사실, 내 생각에 우리는 인간에 대해, 또 국제적인 것에 대해 말하지 않을 수 없다. 그리고 특히 인권이 어떻게 작동하고 작동하지 않는지(...)를 찾아내지 않을 수 없다. 


 => 위 한글판 번역은 우리의 윤리적 책무를 담아낸 원문의 표현을 '너의 정치적 견해를 밝히라는 말이 부담스럽고 그건 강요다'라는 내용으로 해석될 수 있어 잘못되었다고 비판한다. (127쪽)


 이런 내용을 읽으니 주디스 버틀러 책을 읽어보기가 더 두렵다. 안 그래도 어려운 책이 번역상 오류까지 있으면.. 곤란한데.. 



각주 20(109쪽) 

여기에서 저자는 수간이나 소아성애까지 성소수자에 포함된다고 주장하면서 퀴어이론이 아이들을 위협한다는 혐오세력의 여론몰이에 대해 단호하게 비판한다. 이건 이번 EBS 위대한수업에 주디스 버틀러가 출연한다는 것에 대해 반대하며 항의성 글을 올리는 사람들이 좀 읽으면 좋겠다. 


수간이나 소아성애를 행하는 부류의 인간들은 집단적인 억압과 차별과 배제의 역사를 겪어오지도 않았고 사회의 규범성에 도전하지도 않으며, 오히려 그러한 욕망이 실천에 옮겨질 때 상대방(동물과 아이)의 동의를 얻지 못하는 성폭력으로 구현된다는 점에서(그리고 그러한 범죄를 저지르는 대다수가 남성이라는 점에서) 이 사회를 지배하는 특정한 폭력적 규범성을 따르고 강화한다.  - 109쪽 


 또 이 각주 부분에서 퀴어 페미니스트 학자 게일 루빈이 쓴 <일탈>이라는 저서를 소개하면서, 그에게 붙은 소아성애를 옹호했다는 오명에 대해 상세히 비판하고 있다. 

















휴, 이제 1장 끝!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행복한책읽기 2021-09-24 00:3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와. 독서괭님 진정 휴~~~하실 만합니다. 이리 어려운 책도 소화하시다니. 엄지 척!!!👍👍👍^^

독서괭 2021-09-24 10:10   좋아요 0 | URL
완전히 소화하기에는 제 능력이 부족하구요^^; 그래도 저자가 필력이 좋아서 읽어나가기가 많이 어렵지는 않습니다. 엄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