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집을 읽다가 가슴이 먹먹해졌다. 세상이 얼마나 변했을까? 없는 사람들에게 살기 좋은 세상이 되었을까?


  발전은 있는 사람이 더욱 있게 하는 것이 아니라 없는 사람들이 결핍을 느끼지 않고 살 수 있는 사회로 가는 것 아닐까 하는데...


  과연 우리 사회는 얼마나 변했을까? 임성용 시집에 나오는 '30년'이란 시를 읽으며 그런 생각을 더 하게 됐다.


강산이 세 번이나 변했을 시기에, 노동자들의 안전에 대해서 얼마만큼 변화를 이뤄냈던가.


'저녁이 있는 삶'을 이야기하고 있지만, 그 이야기가 나온다는 사실은 저녁이 없는 삶들이 많다는 것을 반증하고 있다.


저녁이 있는 삶은커녕 저녁에 집으로 돌아가지 못하는 삶들도 많으니...


     30년


30년 전에 야간고 실습생 영국이는 나사를 깎았다.

아침까지 일을 해야 되는 건 영국이뿐이었다.

영국이는 태핑기에 장갑이 끼었다.

손가락이 잘린 채 그대로 죽은 듯이 엎드려 있었다.


30년 후에 특성화고 민호는 기계에 끼여 죽었다.

민호와 영국이는 혼자 작업을 했다.

30년이 가고 다시 30년이 와도 영국이는 엎드려 있다.

30년 후에 민호가 죽어서 엄마의 통곡 앞에 누워 있다.


임성용, 흐린 저녁의 말들, 반걸음. 2021년. 102쪽.


그래서 시인은 '비극을 위하여'라는 시에서 '나도 언젠가 집으로 돌아오지 못할 날이 있으리라'(87쪽)고 하고 있으며, 이런 처지에 놓인 노동자들이 많음을 시집에서 다른 시들을 통해서 보여주고 있다.


이제는 이런 일들이 일어나지 않게 해야 한다. '잘 가라, 세상'이라는 시에 표현된 일들이 현실이 되게 해서는 안 된다.


'구급차는 날마나 우리에게 달려온다 / 우리를 태우고 떠나기 위해 줄지어 기다린다 / 나도 내 얼굴을 알아볼 수 없다 / 나는 내가 이렇게 죽을 줄 알았다 / 잘 가라, 세상!' (85쪽)


그래, 그런 세상을 보내야 한다. 잘 가라고 해야 한다. 우리에게 필요한 세상은 '태우고 떠날 구급차들이 줄지어 기다리는 세상'이 아니라, '저녁이 있는 삶'을 살 수 있는 세상이다.


이제는 그런 세상이 되어야 하지 않겠는가... 그런 세상을 만들어야 하지 않겠는가. '30년' 전과 후가 같은 세상이 아니라, 달라진 세상... 그런 세상에게 '잘 가라'하고 보내버리는 세상. 그런 세상이 되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시집 제목을 봤을 때 착각을 했다. 쥐와 굴이라고 하니 쥐가 사는 장소를 뜻하는 굴인줄 알았다. 그런데 시를 읽어보니 그런 동굴할 때 굴이 아니라 먹는 굴을 말하고 있다. 쥐와 먹는 굴이라니...


  카프카가 쓴 소설 중에 굴이 있는데, 그렇게 자기만의 공간을 만들어가는 존재를 시로 썼다고 생각했다가, 이게 아니네 하는 생각을 했으니...


  왜 쥐와 굴이 함께 나오지? 쥐가 못 먹는 음식이 없다고 하지만, 굴을 잘 먹던가? 굴을 구하기는 쉽지 않을텐데... 사람들도 굴을 자주, 많이 먹지는 않으니...


 시에는 쥐와 노인이 주로 나온다. 이 시집에서 쥐를 다루면서 도시, 집, 방, 그리고 노인을 다루고 있다. 오히려 시집 제목이 쥐와 굴이 아니라 쥐와 노인이라고 하면 더 좋지 않았을까?


그럼 읽는 독자는 현대를 살아가는 소외된 존재를 표현한 시라고 쉽게 생각할텐데... 시인은 이렇게 쉽게 생각하기를 멈추라고, 더 생각해 보라고 하는지도 모른다.


쥐는 도시와 집, 방에서 쫓아내야 할 존재... 그래서 다른 사람에게 보이지 않는 곳에서 활동할 수밖에 없는 존재. 자신의 먹이를 남에게 의존해야 하는 존재. 그런 존재다. 있어도 있지 않은 것처럼 보이는 존재.


노인도 그렇게 변해가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한다. 초고령화 사회가 되면서, 노인문제가 대두하고 있는데, 그들을 우리와 같이 살아가는 존재, 우리에게 도움이 되는 존재라기보다는 짐이 되는 존재로 여기고 있지 않나.


그런 노인들에게 무릎은 자신이 힘이 없어졌음을 상징하는 존재 아니겠는가? 시인은 '쥐와 굴'이란 시에서 '쇠고리에 걸어둘 / 한 솥 뼈만 남은 / 노인이여 / 공기처럼 소파 위에 얹어놓은 / 무릎이여'(11쪽)라고 표현하고 있다. 노인은 스스로 움직이기 힘든 상태. 


그러면서 '어른이 된다는 건 자기 손으로 수염을 쓰다듬는 일' (12쪽)이라고 표현한다. 자기 스스로 자신을 돌볼 줄 아는 존재, 그런 존재가 어른이다. 


이와 더불어 시인은 '쥐와 노인'(58-59쪽)이라는 시에서 어떤 노인을 원하는지를 말하고 있다. 기존 통념과는 좀 다른. '이봐, 노인 / 늦잠을 자는 노인은 없나? 열 시 열한 시까지 자는 노인 / 나는 그런 노인이 될 거다' (58쪽)고 하고 있으니... 노인이라고 자신만의 삶이 왜 없겠는가.


'무릎과 발목, 심장이나 얼굴이 / 굴처럼 생긴' (13쪽)이라는 표현이 있는데, 이 표현에서 굴처럼이란 말을 생김새가 아니라 '유연한'이라고 읽으면 경직됨이 죽음과 가깝다면 유연함은 삶과 가까우니 쥐와 노인에게 삶을 살아가야 한다는 의미로 받아들일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한다.


자기의 삶을 살아가야 하는 존재, 그런 존재는 무릎을 세우고 사는 존재가 아닐까 한다. 있어도 없는 것처럼 여겨지는 존재지만, 이들은 엄연히 존재한다. 그리고 자신의 삶을 살아간다. 


'쥐와 굴'에서 마지막 구절, '쥐는 무릎을 완성한다'(14쪽)고 하고 있으니... 무릎을 완성한다는 말은 자신의 의지로 꿇을 수도 (초자연적인 존재에게) 있고, 무릎을 펴고 일어나 걸을 수도 있다는 말이다.


이제 무릎은 그냥 공기처럼 소파 위에 얹어놓은 존재가 아니라, 자신의 의지로 꿇을 수도 펴고 걸을 수도 있는 존재인 것이다. 현대 일상에 치여 살아가는 우리들, 어쩌면 이렇게 무릎을 완성하지 못한 존재들일지도 모른다. 


자신의 무릎을 완성하고 자기 의지로 살아가야 함을 이 시를 통해서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제목이 마음에 들었다. 가차 없다는 말과 촉법소녀란 말. 결국 기존의 틀에서 벗어난 사람이라는 뜻이고, 가차 없다는 말은 자신의 행동에 대해서 후회하지 않는다는 말이니...


  당당하게 살아간다기보다는, 자신을 옥죄고 있는 기존 굴레를 과감히 벗어던지고 살아가려고 몸부림치는 소녀의 모습이 떠올랐다. 두렵지만 그 두려움에서 벗어나려고 하는 모습.


  어른의 세계로 들어가려고 하지만, 어른의 세계에 짓눌려 있는 모습. 결국 자신의 존재를 어른들로부터 인정받아야 한다는 두려움 소게서 살아가던 존재.


  그 존재가 어느 날, 이제는 어른의 세계를 의식하고, 그들의 세계로 들어가려고 하는 자신을 벗어나, 자신만의 세계를 만들어가기 시작한다. 


그런 모습이 기존 틀에서 벗어난다고 여겨지고, 결국 법을 어긴 소녀라는 뜻을 지닌 촉법소녀라는 말을 듣게 된다.


그러나 언제까지나 이미 만들어진 틀 속에만 살아갈 수 있을까? 법이라는 잣대가 아니더라도, 어른의 세계에 그대로 편입되는 것이 아니라 소년(소녀)들은 자신들의 세계를 만들어가야 하지 않겠는가.


  가차 없는 나의 촉법소녀


장 선생과 마찬가지로

나 역시 그런 글쓰기를 원했다

게다가 난 이미 도처에서 독자와 만나고 있었다

어머니 없이도 어머니를 믿고 자라는 아이처럼

그래서 아이는 어머니에게

앙심을 품게 되는 것이지만

어머니가 없는 곳에서도

어머니가 생겨나는 게 싫어서

언제 어디서나

어머니를 극복한 듯 보여지고 싶어서

시시각각 속에 들어찬

어머니와 어머니와 어머니들

나만 이런 마법에 걸렸다고 생각하지 않을 거야

그렇지 않으면 이 세계 전체가

나의 적이 되어야 하니까

환청을 들으며 여기까지 걸어오신 

선생께서는 아시겠지

환청도 없이 버텨야 하는 이 세계는

얼마나 큰 공포인지

천지에 집을 만들어놓고

어머니는 코빼기도 안 보이고

차라리 매질을 당할 때가 좋았어요

내가 있는지 없는지 알 수 없을 때는

손가락을 넣고 토해서라도

목구멍이 거기 있는지 확인하고 싶어

피멍이 좀 들면 어때 그것이 평평한 

내 등을 사실로 만들어줄 수만 있다면

난 이 등허리를 마음껏 펼치거나

쪼그릴 수 있을 텐데

어머니는 누구 마음대로 늙고 쇠약해지셨나

첫 울음을 배운 것이 엊그제 같은데

손수 가르쳐주실 게 죽음밖에 남지 않았다니

용서하지 마세요

단 한 번에 실수 없이 졸라드릴게요

수십 번 수천 번도 더

태양을 상대로 연습한 일이었어요

작교 가녀린 시간의 통로와

예기치 못한 끝에 대해

공손하고 끊어짐 없는 손길로 한 번 정도는

나도 가르쳐드리고 싶었어요 한 번 정도는

나도 어머니의 어머니가 되어보고 싶었어요


황성희, 가차 없는 나의 촉법소녀. 현대문학. 2020년. 60-62쪽. 


'가차 없는 나의 촉법소녀'를 읽으며 뒷부분에서 '부처를 만나면 부처를 죽이라'는 불교의 말도 떠올랐다. 이미 있던 세계를 넘어서지 못하면 더 나아가지 못한다. 자신의 삶을 살지 못한다. 그럴 때는 자신을 확인하기 위해 자해를 하기도 한다.


나란 존재가 현실에 존재한다는 사실을 느끼기 위해서 자신의 몸에 상처를 낸다. 상처를 낸 순간, 느껴지는 통증, 고통은 자신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그렇게 상처를 내다가 자신이 아닌 자신보다 앞선 세대를 바라보게 된다.


내가 지닌 두려움이 바로 그들에게서 비롯되었음을... 끊어야 한다. 보이지 않아도 도처에서 그들을 의식하고 살아왔다. 이제는 그러면 안 된다. 어머니의 어머니. 그래, 한 번쯤은 그렇게 되어야 한다.


이것이 꼭 가정에서의 일만은 아니다. 사회도 이래야 한다. 청년들은 기성세대를 딛고 나아가야 한다. 기성세대들은 자신들의 틀로 청년들을 틀지우려 하지만, 청년들은 그 틀에 갇히려고 하지 않아야 한다. 


어느 순간 어른들을 가르칠 수 있는, 그런 모습... 이 시를 읽으며 그런 모습을 상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시집을 읽으며 마음이 편안해진다. 편안해지면서 따스해진다. 세상이 마냥 평화롭다. 평화로워야 한다. 그렇게 시인은 갈등이 많은 세상에서 우리에게 평화를, 위안을 가져다 준다.


  시집은 모두 4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에서는 시인과 아내 이야기가 주를 이룬다. 세상을 바라보는 자세, 시인으로 살아가는 모습 등등... 


  여기에 '못난 시인의 기도3'이란 시가 있다. '시를 쓰는 시간만큼이라도 / 딱 그 시간만큼이라도 / 세상이 고요해질 수 있다면 / 날밤을 새워 시를 쓰겠습니다' (39쪽)라고 하는 시인.


  이런 마음을 지닌 시인이 쓴 시를 읽으면서 어떻게 마음이 따스해지지 않겠는가.


보이지 않는 곳에서도 세상을 위해서 마음을 쓰는 사람들이 있다는 사실을 시인은 시를 통해 잊지 않게 해주고 있다.


이런 잊지 않음, 기억은 시인의 친구들에게로 확장이 된다. 이미 세상을 떠난 친구들의 전화번호를 지우지 못하는 시인. 그 전화번호를 그대로 둔다고 한다. 왜? '언젠가는 / 하늘나라에서 / 만날 수 있을 테니까 // 서로 떨어진 곳에 있으면 / 전화 걸어 / 막걸리 한잔 해야 하니까' (32쪽)라고 한다.


2부에서는 이웃사람들로 시상이 확대된다. 농촌에서 살아가는 시인이 함께 살아가는 농민들 이야기를 시로 우리에게 들려준다. 젊은이가 거의 없는 농촌의 현실이 시에 나타나고 있지만, 그렇다고 우울하지만은 않다. 그런 상황에서도 웃음을 잃지 않고 살아간다. '하도 구슬파서 웃었겄지'(슬퍼서 웃는 사람들 부분. 48쪽)라고 표현하고 있는데...


3부는 자연으로 더 시상이 확장된다. 사람이 사람과만 살 수 없고, 자연의 일부임을 시를 통해서 알게 된다. 자연과 함께 하는 삶이 '간식거리와 저녁거리'(88-89쪽)라는 시에 너무도 잘 드러난다.


우리에게는 간식거리인 고구마가 새들에게는 저녁거리임을, 그런 저녁거리를 '간식거리 고구마말랭이를 / 어디 겁도 없이 훔쳐'(88쪽)라고 큰소리를 친 뒤 곧 놀란다. 왜냐하면 '오늘 당장 / 때까치 식구들 먹을 / 저녁거리가 마당에 떨어졌는데 // 어린 새끼들이 배가 고파 / 꼬르륵 꼬르륵 / 밤새 잠 못 들지 모르는데' (89쪽)라는데까지 생각이 미쳤기 때문이다.


이런 시인이 쓴 시를 읽으면서 어떻게 마음이 따스해지지 않을 수 있겠는가. 이런 시를 읽으면 마음에는 평화가 찾아올 수밖에 없다. 


4부는 새로운 가족 이야기다. 시인의 아들이 결혼했나 보다. 그런데 새식구와 함께 지내는 모습이 1-3부에 나온 시들에서 보여주는 시인, 마을, 자연과 비슷하다. 


서로 배려하면서 함께 살아가려는 모습. 그런 모습에 마음이 뭉클해진다. 그렇게 살아갈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아니, 우리 그렇게 살아가야 하지 않을까? 바로 이 시집에 나온 시들처럼... 시인처럼... 그렇게.


그 중에 짧은 시.. 그러나 정말 마음에 새겨두어야 하는 시.


   감골 할머니의 쓴소리


돌아댕기는 곡식을 줏으면 사램을 살리지만은, 


돌아댕기는 말을 줏으면 사램을 직이는 기라.


서정홍, 그대로 둔다. 상추쌈. 2021년 초판 3쇄. 8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삶창에는 사람들이 살아가는 이야기, 그것도 잘나간다고 하는 사람들이 아니라 우리가 주변에서 흔히 만날 수 있는 사람들 이야기가 있어서 좋다.


노동으로 살아가는 사람들. 자기에게 주어진 일을 열심히 하는 사람들. 그런 사람들의 이야기를 곳곳에서 만날 수 있다.


그러다가 새로운 사실을 만나고는, 그래 이러면 얼마나 좋을까 하는 글들을 만나기도 한다. 우리 사회에서 빨리 실시했으면 좋을 그런 일들.


복지와 농업을 합할 수 있다는 사실. 그렇다. 농업과 치유가 하나가 될 수 있음은 예전부터 짐작하고 있었지만, 실생활에서 하는 농업과 치유, 복지가 함께 할 수 있음을, 조예원의 글 '농업·농촌 치유의 공간으로 태어나'라는 글을 통해서 알 수 있게 된다.


네덜란드에서 이미 실시하고 있는 치유농업(케어팜이라고 한단다)을 우리나라에서도 도입하려 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농업과 치유, 사회복지가 함께 갈 수 있다면 그보다 좋은 일이 어디 있겠는가. 이러한 치유농업 말고도 우리가 받아들일 것이 많다. 


여기에 더불어 박총이 쓴 '전혀 시대착오적이지 않은'이라는 글에서는 여전히 노동자의 권리를 지키기가 얼마나 힘든지를 만날 수 있다.


노조조직율이 매우 낮은 우리나라에서 노동자들은, 특히 비정규 노동자들은 자신들의 권리를 주장하기가 힘듦을 이 글을 통해서 만나게 되는데...


사회의 수준은 낮은 곳에 있는 사람들의 생활 수준을 보면 알 수 있다고 하는데... 여전히 중대재해처벌법에 대한 반대도 있는 우리 사회로서는, 노동자들의 삶, 노동자들의 권리를 이야기하고 있는 삶창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