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컨벤션홀로 통하는 로비는 비가 오는 내내 바람골을 만든 듯 춥다. 손님이 없을 듯 싶지만 기다림이란 그리 어설프지 않다. 몇 권의 책이 함께 있기 때문이다. 이수명의 <내가없는 쓰기>의 몇 개월을 읽다보니 벌써 여름 가까이 온 듯하다. 그러다가 빛과 실을 건네든다.
2.
이런 뒷부분의 일기가 묘하게 겹친다 싶다.
<빛과 실>에는 글쓰는 작업을 위해 공개한 루틴이 나온다. 더 오래, 더 길게는 작가들의 로망이기도 하다. 헌데 공짜는 없다. 꽂힌 것은 스트레칭이다. 오십견을 겪은 뒤 느낀 것은 잔근육을 지나치게 움직이지 않았다는 깨달음이다.
3.
전시 뒤풀이를 못한 사위와 딸. 지난 비내리는 주말 틈을 타 일정을 잡고 함께 한다. (어머님과도 한잔) 음주에 대한 흑역사를 거침없이 말하는 제멋대로 여사 앞에서 얼굴도 화끈거린다. 하지만 없는 사실도 아니니 어찌할 수는 없다. 짬을 내서 달려주지만 많이 마신 술에 장사는 없다. 여독에 더해진 일정이 말해준다 싶다. 그림 작업 역시 노동이 들어간다. 과한 작업을 하면, 노가다처럼 쓴 막걸리 한잔 해줘야 마무리되는 것이 일상처럼 되어간다. 문제는 말미의 기분이다. 몸은 넘지 않았다하지만, 시간은 정신승리 편이 아니다. 그렇게 술병은 생기고 다음날의 밀도와 농도는 구멍이 생기고 허술해진다.
4.
몸의 무게가 내려오다가 증권차트처럼 오르내리기 시작한다. 그리고 한 점을 내려오기 위해 얼마만큼의 강도와 길이가 필요하지도 지난 몇 달간 과정으로 배우게 된다. 조금 더 내리기 위해서 하는 글쓰기도 일환의 하나다. 하지만 달리기도 노동이다. 마지막이 문제다. 매듭을 어떻게 지어주느냐다. 절주의 요령이다.
조금은 비겁해지기로 한다. 어제 숯불꼼장어 뒤 얼큰라면이 문제였다고 말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