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카무라 고타로 - 촉각의 세계

나는 조각가다. 아마도 그런 까닭에 나에게 세상은 촉각이다. 촉각은 가장 유치한 감각이라고들 하지만, 같은 이유로 가장 근원적이라고도 할 수 있다 조각은 가장 근원적인 예술이다. 나의 약지 안쪽은 매끈매끈한 거울 표면에서도 요철을 느낀다. 이건 최근 우연히 알게 된 사실인데, 유리에도 가로세로가 있다. 눈을 감고 평범한 유리의 표면을 어루만져보면, 흡사 나뭇결이 살아 있는 오동나무 나막신 같은 무늬가 느껴진다. 잘 닦인 거울 표면 같은 경우는 나막신까진 아니지만, 겨우 15센티도 안 되는 너비에 두 개가량의 물결무늬가 있다는 걸 손끝은 알고 있다. 약지에는 경사를 느끼는 감각이 있는 것 같다. 거울 표면의 파동을 느낄 땐 흡사 배가 파도에 부드럽게 흔들리는 느낌이다. 약간 기분 좋은 현기증이 날 정도다.

볕뉘.

0. 다카무라 고타로는 ‘촉각의 세계‘란 글을 이렇게 시작하고 있다. 그러면서 오감을 이렇게 촉각으로 하나 하나 결을 다시 음미하고, 그리고 여섯번째 위치감각을 말한다.

1. 처음 읽으면서 글쓴이가 그저 작가라고 생각했다. 나는 조각가다라고 시작하지만 어쩌면 이리 상상력이 생생할까 싶은 의구심에 놀라워했다. 하지만 지금 그 글의 말미 뒷장 그 이력을 보니 이렇게 씌여 있다.

˝다카무라 고타로 (1883-1956): 조각가. 시인. 목조 조각가 다카무라 고운의 장남으로 뛰어난 조각가다. 시집 [치에코 이야기] 등이 큰 사랑을 받으면서 문학사에도 족적을 남긴 시인이다. 이 시집에는 그의 아내이자 영원한 사랑인 치에코를 처녀시절부터 죽기까지 30년에 걸쳐 곁에서 지켜보며 쓴 시와 산문이 수록돼 있다.˝

2. 그리고 탁자 위의 유리를 약지로 느껴보았다. 수직의 결이 몇가닥 들어왔다.

3. 지난 주말에 백석을 읽고 나누었다. 읽다보니 순수한 사춘기 소년소녀가 느껴졌다. 선명하게 과거의 서정을 기억하는 그 결들이 고스란히 전해져 왔다. 신형철평론가는 장석남의 시를 읽으며 서정성을 이야기했다. 몸이 안고 있는 서정성. 곰곰히 생각해보았다. 사람들은 이렇게 서정을 찾는 것일까. 왜 이리 늘 갈증에 허덕이는 걸까. 세상이 그만큼 각박하다는 얘기겠지? 예전이나 지금이나 세상은 언제나 퍽퍽하거나 팍팍해서, 사람들은 늘 마음의 근원이나 원형을 찾으려고 애쓴다고....굶주림이나 고향이나 어머니가 그 원형이라고 김현은 이야기했지만, 달라진 시대는 거기에서 원형을 구걸할 수 없다고.... 백석은 평안북도 정주사람이다. 앞으로는 바다가 보이고...그가 쓰는 시어들은 평안도 사투리이긴 하지만 고어들이나 우리말에서 애써 가져왔다고 한다. 윤동주가 그리 갖고 싶어했던 초판본 [사슴]을 읽었다. 노천명을 사슴도 백석을 가르킨다는 말을 좌장은 전했다.

4. 백석은 비와 바람과 햇살, 산, 하늘....을 나누고 나누었다. 고기부위와 산해진미만 나눌 줄 아는 이들에게서 볕과 바람과 시와 구름의 가지가지를 나눌 수 없다. 하지만 그들도 서정이 필요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