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예술작품은 제로에서 시작하기 때문에 실험이다. 제로에서 시작하지 않고 예술을 안전한 것, 주어진 것으로 여기는 것은 예술작품이 아니다. 왜냐하면 예술작품이 시작하는 제로 상태가 미학적 상태, 미학적 자유의 상태이기 때문이다. 모든 예술작품은 예술의 가능성을 시험하기 때문에 실험이다. 그것은 미학적 자유의 상태로부터 작품 창조의 가능성을 시험한다. 이 가능성은 미학적 상태가 해방된 힘의 도취 상태(니체), 무작품성의 상태, 형식 부재의 상태, 작품부재의 상태(푸코)이기 때문에 불가능성이다. 96


볕뉘.

0. 예술의 힘 1부 마지막에 나오는 대목이다. 미학적 힘을 다시 요약한 듯한 인상를 받는다. 읽기가 어렵다. 반면에 경험으로 예술은 읽기 쉽지만, 이해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

1. 멋이란 무엇일까? 맛이란 무엇일까? 빚에 점하나 찍으면 빛이 된다고 하지 않던가? 그래서 멋이란 무엇이냐고 물어보자. 그러면 예술은 무엇인가? 맛은 일상에서 떨어진 것일까? 멋은 일상에서 떨어져야 하나? 예술은 저 멀리 범접할 수 없는 것인가? 소수만이 즐길 수 있는 것인가? 맛은 누구나 즐길 수 있는데 왜 예술은 그렇게 일상의 번외로 떨어뜨려 놓은 것일까? 다 한 통속은 아닐까? 잘못된 것은 우리의 사고방식은 아니었을까? 못된 것은 우리 삶의 패턴은 아닐까?

2. 일은 무엇일까? 점하나 찍어보자. 얼. 얼은 차리고 있는가? 얼과 일이 만나기나 한 것일까? 한 번이라도 좋으니 짜릿함을 느껴본 적이라도 있는가?

3. 점하나 찍는 일. 상상력이란 저 멀리 하늘에서 떨어지고, 창의력이라는 것이 별똥 부대처럼 여겨지는 것은 왜 일까? 여기저기, 누구나 혈안이 되어 아니면 돈에 매여, 아니면 돈을 향해 올인을 해버리는 것일까?

4. 시인을 좋아해보자. 왜냐고 묻지 마라. 좋아해보자. 왜 시인이 당신과 다르다고 여기는가? 그래 맞다. 반성적 사고 일게다. 끊임없이 자신과 자신의 족적을 돌아본다는 일일 것이다. 그럴 때 뭔가 다른 것은 바로 잡을 수 없다. 끙끙대고 한 발 거리를 두기도 하고, 더 가까이 다가서기도 해야만, 벙어리같은 자신의 느낌을 살릴 수 있는 표현을 얻게된다. 아주 조금....다듬고 다듬고.....

5. 다듬고 다듬는 과정이 상상력이라고 한다. 일의 다른 기획에 대한 감에서 시작할 수도, 먹고싶은 맛을 향하는 돌진, 원하는 색깔을 입히고자 하는 노력이 다 상상력이자 창의력인게다. 통째로 온전한 경험을 해본 자만이 일에 치이지 않고, 그 맛을 또 보려고 한다. 일상은 예술이 될 수밖에 없다. 무언가 다른 것을 향하는 직관과 멋은 그 누구도 대신할 수가 없다.

6. 자신을 영도로 만드는 과정이 필요할 것이다. 모임도 영도로 만드는 과정이 필요할 것이다. 굳이 단체라는 것을 봐준다면 그도 그러하도록 사유와 행동의 맛을 느낄 줄 아는 자가 늘어야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