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 노동시간 단축 이유는 긴 노동시간이 여성의 건강을 해칠 수 있다는 것이 근거였다. 이 요구가 받아들여지자, 이것이 전례가 되어 남성의 노동시간 단축을 얻어 내는 데 사용될 수 있었다. 여기서 여성의 나약함이라는 수사, 구원의 서사, 남성의 보호라는 이상이 요구의 당위성과 호소력을 어떻게 강화했을지 쉽게 상상할 수 있을 것이다./여성과 남성이 누리는 일의 질과 양에 대한 공적 논의에 대한 한계를 가져올 수밖에 없었다. 241
(일은 더 짧게, 가족과는 더 오래) 미국인들이 무급 육아노동의 가치는 점점 폄훼되고 돈받는 일은 과대평가되어, 결국 가족보다는 일의 상대적 매력이 높아지는 문화에서 살고 있다. 이런 시간구속은 부모들에게 당연히 많은 스트레스와 부담을 지운다/문제는 “아이와의 ㅅㅣ간”이라는 기준-아이들이 무엇을 언제 누구로부터 필요하는가-은 집안의 무급노동을 하는 풀타임 ㅇㅕ성을 특징으로 하는 가족모델과 연결되어 있으며 그런 모델이 있어야 가능하다는 점이다/가족 제도의 보다 근본적인 문제를 인식하는 것은 또 ㄷㅏ른 중요한 문제이다. 이 근본적 문제 탓에 가족이 노동시간의 대안이자 노동시간 단축 요구의 이유로서 설득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243-249
(탈노동) “대안을 상상하는 담론, 노동조건을 넘어 인간의 존엄성을 이야기하는 담론이 필요한 때이다. 주 30시간 노동을 요구하고 얻어 낼 때이다”/과거에는 누릴 수 없는 사치로 ㅇㅕ겨졌을지 모르는 것들이 점점 더 경제적 필수가 되어 간다고 이야기한다/그 ㅅㅣ간은 가족을 우ㅣ해, 공동체를 위해, 정치조직을 위해서도 쓰일 수 있다./”우리를 가장 즐겁게 하는 것”에 더 많은 시간을 쓸 수 있는 가능성이다. 252
젠더 분업이 여전한 것을 감안하면, 고용된 여성의 노동시간이 줄어든다 해도 그녀의 가정 내 노동이 늘어나 추가 시간을 금세 채워 버릴 수 있다. 현재의 가정 내 노동이 조직화된 방식이 문제시되지 않고, 고용주들이 사회적 재생산노동의 책임을 지는지 여부로 노동자들을 계속해서 차별할 수 있다면, 모든 노동자를 위한 노동시간 단축을 얻어 내지 못할 것이다/노동시간 전체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다면, 노동시간제뿐 아니라 노동윤리에까지 맞서려는 노력 역시 힘을 잃는다./강조하려는 것은 근무시간제가 -풀타임, 파트타임, 시간외근무를 포함하는-젠더화된 구조물로, 전통적 젠더 분업을 중심에 둔 이성애 규범적 가족 이상에 의존하여 수립되고 유지된다는 것이다. 253,254,256
노동윤리와 가족윤릭가 여전히 일체의 역사적.경제적.정치적.문화적 타래들로 한데 엮여 있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무급 재생산노동의 조직화와 분배를 건드리지 않으면서 임금노동의 시간제에 맞서는 시도는 언제나 근시안적인 것이 된다. 259
노동시간 단축은 “국가를 사람들의 삶으로 가지고 들어오는 게 아니라 국가 권력을 사용해 시민들이 진짜 선택을 하는 데 필요한 자원을 가질 수 있게끔 하려는 것”이다./노동시간 단축이 가족이란 이름이 아니라 자유와 자율의 이름 아래 제시될 수 있어야 한다. 261
필자들은 “스스로 관리하는 삶”이라는 전망, “외부 권위의 부과”로부터 벗어난 시간의 전망을 이야기하며 “마침내 현재와 다른 대안과 더 나은 미래의 가능성을 상상할 시간을 갖는 것”이 어떤 모습인지 그린다. / 목표는 우리 삶을 재창조할 시간, 비노동시간의 장소와 행위, 관계들을 재상상하고 ㅈㅐ규정할 시간을 요구하는 것이다/퀴어시간은 “가족, 상상, 육아의 관습에 따르지 않는 삶의 가능성에 대한” 시간성이기도 ㅎㅏ다./ 변신의 정치는 노동에 맞선 운동으로서 기존 요구를 진전시킬 기회만이 아니라 새로운 역량과 욕망, 그리고 결국 새로운 요구를 가진 새로운 주체성을 창조하는 과정으로서의 정치이다. 262
볕뉘.
0. 장시간 노동문화는 변칙적인 생활과 소비, 시장을 만들어낸다. 24시간의 휘황찬란은 맞벌이가 아니라 바톤더치의 결혼가족의 문화를 만들어냈다. 그 장시간노동의 삶이란 휴식이 아니라 나머지 시간을 늘어지게 만들거나 더 맵고 더 자극적인 것을 소비하는 악순환을 창조했다. 장시간노동사회는 정치 감도 하락, 친자본문화(기껏해야 과도한 극장문화)소비, 더많고 세세한 가사노동과 함께 굴러가고 악화시킬 수밖에 없다.
1. 8시간이 아니라 6시간의 사례는 미국 대공황시기 기업의 경우처럼 소비가 아니라 문화를 창조한다. 비노동시간이 더 생산적이고 창조성있는 활동들을 낳는다. 노동을 이야기하려면 비노동과 탈노동을 반드시 사유하여야 한다. 그래야만 죽기전까지의 삶이 도드라지고, 어떤 삶을 살아야할지 이야기 나눌 수 있기 때문이다. 일과 노동에 갇혀 사유하는 이상, 좋은 삶을 토론하고, 경제, 사회, 문화, 정치적인 제한고리를 풀어낼 수 있다. 그래야만 자본주의 밖의 다양다기한 삶의 결로 자본주의을 포위할 상상을 해낼 수 있다.
2. 부디 4장은 깊이 읽어내길 바란다.
3. 가족 - 밖에선/그토록 빛나고 아름다운 것/집에만 가져가면/꽃들이/화분이/ / 다 죽었다 - 진은영. 우리는 이미 다른 시대를 살아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