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거의 끝에 다다라서야 사회주의란 무엇인가에 대한 해답을 준다. '사회주의는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서 자신의 계급성향과 그 계급의 과업에 대한 인식에 도달한 노동자들의 사회적 요구와 자연스러운 노력의 총체이다'

필자는 이 책을 통해서 사회주의에 대해 편견을 가지고 있던 사람들, 그리고 사회주의를 알지 못하는 사람들을 사회주의의 진영으로 넘어오지는 못했을지라도 설득시켰기를 바랐다고 했다. 그러나 그건, 괜한 우려다. 사회주의의 진영으로 기꺼이 넘어가겠다고 다짐한 나 같은 독자가 있으니 말이다.( by sychaw)

과학적 사회주의는 어떻게 가능한가?(1901년)

1, 사회주의란 무엇인가? 두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특정한 사회 질서에 관한 상이며 구상이자 학설이란 것과 특정한 사회질서를 향한 운동으로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상태로 파악되든, 운동으로 파악되든, 운동으로 파악되든, 그  안에 이상주의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사회주의는 저편의 한 부분이다. 사회주의는 되어야만 하는 어떤 것이나 되어야만 하는 어떤 것을 향한 운동 가운데 있는 것이다.(30쪽)

2. 사회주의를 '협동적 상태를 향한 운동'으로 규정했고 이런 의미로 사용할 것이다.(31쪽)

3. 사회주의는 과학적 인식의 기초 위에 서 있고, 이러한 과학적 인식이 방향을 부여하는 요소임을 인정하지만, 배타적으로 과학이 되어야 하고 특정 시기에 과학으로서 완성되어야 한다는 요구를 사회주의가 강조하거나 인정한다고 보는 관념을 배제하는 사유를 말한다. 이에 적합한 명칭은 '비판적 사회주의'이다.(47쪽)

3.1  프루동 "우리 함께 사회적 삶의 법칙, 이 법칙이 관철되는 형태와 방식, 우리에게 이 법칙을 발견하게 해주는 방법을 탐구하자. 그러나 우리가 모든 선험적 독단의 체계를 분쇄하고 난 후에는, 이제 우리 편에서 민중에게 독단론을 전파하는 것을 가능한 한 경계해야 한다. 문제가 결코 다한 것이 아니라고 생각하자. 그리고 우리가 마지막 논의를 모두 끝낸 후라할지라도, 필요하다면, 능변과 아이러니를 가지고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자"(46쪽)

 4. 그리하여 나는 내 설명이, 사회주의를 아직 알지 못하는 사람들, 또 편견을 가지고 사회주의를 대했던 사람들을 사회주의 진영으로 넘어오게 하지는 못했을지라도, 적어도 설득시켰기를 희망한다. 그리고 나는 사회주의가 위대한 문화적 운동이기를, 끊임없이 지속되는 운동이기를, 그 운동이 거대한 정당으로 결집되고 노동자들 사이에서 사회적 계몽을 확산시키고, 국민 경제의 필요에 대한 이해를 일깨우고, 사회가 사회주의적 진보의 도정에서 더욱 전진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파악해야만 하는 수단의 성질에 대한 이해를 일깨움으로써 전체를 위한 최선의 것을 낳도록 영향을 미치는 그런 운동이기를 희망한다.(155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