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권의 책이 집혀들렸다. 사유의 거래와 텍스트의 포도밭이다. 어젯밤엔 1970, 박정희 모더니즘이다.

1. ‘사유‘의 거래라? 매혹하는 말이다. 회계장부라는 것도 약속된 허구이다. 나는 생각을 거래하고 싶다. 무형의 굿윌도 계정을 만들어 거래하는 것이 자본주의다. 허구다. 세상을 바꾼다면 물론 또 다른 허구를 치밀하게 밀어부쳐야 한다. 느낌을 팝니다란 우에노 지즈코의 책제목이 선정성이 있지만, 얼마든지 팔 수 있다. 허구가 현실이라고, 허구를 감이 잡히게 만드는 노력이 필요하다. ‘사유‘의 거래에 대하여란 책은 서점에 대한 얇은 책이다. 삽화로 책이 나오는 것만으로도 두근거리긴 하지만, 조재룡교수의 해제가 더 돋보이기도 한다. 서점주인을 정령으로 표현한다고 전하니, 유럽스타일이라고 대꾸한다. 텍스트의 포도밭은 책을 보는 것이 아니라 읽는 것으로부터 시작한다. 낭독과 더불어 그 책을 외우는 과정과 촛불에 비친 삽화의 우아함이 스며드는 과정 말이다. 책은 보는 것이 아니라 느끼는 과정이자 그 지혜를 꼭 안게 되는 과정이다. 포도밭의 포도즙이나 발효액까지 온몸으로 번지는 순간들로 읽는다. 이런 시기로 12세기, 인쇄혁명이 일어나기 3세기이전의 시간의 그 기간이었다는 것이다. 거꾸로 책을 보는 것에서 우리는 무엇을 잃었을까?

2. 책꽂이에 박정희 모더니즘이 손에 잡혀 읽고 있다. 경향신문 특집을 간추린 것인데, 좋은 기획인 것 같다. 지금 읽기에는....저자들은 산업-민주의 이분법 구도로 읽지 말 것을 당부한다. 현실은 그리 호락호락한 것이 아니라고 말이다. 제목과 같이 대중에게 시선을 맞춘다. 틀에 박히지 않고, 고정관념에 벗어나는 대중의 열망이 늘 숨쉬고 다음을 예비하여 왔다는 점이다. 신자유주의의 시점을 돌이켜보는 것도 신선하다. 1978년 전경련주최로 하이에크를 초청하여 강연을 하였고, 정부주도보다 민간주도의 경제의 씨앗이 그때부터 퍼졌다는 것이다. 지식인들도 오히려 강력한 자유주의에 전염된 것으로 보아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가르쳐야 하고 묶어두어야 할 청소년은 별밤으로.....텔레비젼으로 규격화하면 라디오로....끊임없이 대중은 자신들의 시공간을 만들면서 확장시켜왔다고 보아야 한다고 말한다. 2008년 촛불과 지금까지 대중의 시선으로 보면 보이지 않던 것을 다시 볼 수 있게 될지도 모르겠다. 마수미의 집합적 비등을 들먹거리지 않더라도 무수한 혁명들이 널려있는 것인지도...구체성있게 응집시키고 거꾸로 제도를 그 흐름에 맞게 새롭게 경화시켜야 되는 것이 우리의 과제인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우리 대부분의 시선은 산업화와 민주화에 경화되어 있다. 그 변증법을 유추하지 않는다. 또 다른 현실이 새롭게 맞딱뜨리고 있다. 인물에 과잉투사하는 것처럼 어리석은 일도 없다. 영웅은 필요없는지도 모른다. 대중의 숨결을 제대로 읽는 일, 틈을 비집고 나오는 열망을 읽으려는 이들. 현실은 그만큼만, 그 시공간의 자장에서 변화되는지도 모른다. 젊은 벗들이 이 시대를 함께 읽기에는 생활문화사 4권도 함께 읽으면 괜찮을 듯 싶다.

어제 온 카페에 또 들렀다. 여전히 책은 두 보따리다. 그림그리기 좋은 날 두권과 여성혐오 그 후, 우리가 만든 비체들. 어쩌면 틀에 넣을 수 없는 남녀, 계급으로 구분지을 수 없는 다른 주체를 있는 그대로 보려하는 것이 현실을 더 생생하게 포착해낼 수 있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양철나무꾼 2016-12-13 16: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여울 님 질문 있습니다.
그동안 평점에 박하시다고 생각했었는데,
권여선 ‘안녕, 주정뱅이‘ 별을 가득 채워주셨길래, 일단 장바구니에 담았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어쭙는데,
쟤네들 ‘그림그리기 좋은 날‘ 어떤가요?^^

여울 2016-12-13 18:24   좋아요 0 | URL
별점 둘입니다. 영혼을 흔들지 않으면 셋이상 안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