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생의 목적은 정이 가득차고, 기가 충만하며, 신을 왕성하게 하는 것이다. 45
훗날 도가에서는 이를 직접 정, 기, 신으로 귀납함으로써 “하늘에 세 가지 보물 해, 달, 별이 있고 땅에 세 가지 보물 물, 불, 바람이 있다면 우리 몸에 있는 세 가지 보물은 바로 정, 기, 신이다.” “약 중에서 최고의 약 세가지는 바로 정, 기, 신이다.”라고 표현하기도 했다. 48
태극도는 중화 문화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이미지로 검은색과 흰색의 두 가지 색이 맞물려 있다. 검은색과 흰색은 각각 음과 양을 상징하는데 마치 검은색 물고기와 흰색 물고기가 서로 뒤엉켜 있는 듯한 형상이다. 이를 정, 기, 신의 개념에 비추어보면 흰색은 ‘신’이며 양에 속하므로 ‘양신’이라고 부른다. 그리고 검은색은 ‘정’이며 음에 속하므로 ‘음정’이라고 부른다. 그리고 흰색과 검은색이 맞물리는 중간부분에 있는 s자 형태의 곡선은 ‘기’이다. 음과 양의 중간에 있으므로 ‘정’으로도 전환될 수 있고 ‘신’으로도 바뀔 수 있다. 다시 말해 ‘기’는 ‘정’과 ‘신’ 사이에서 교량 역할, 음과 양 사이의 중개 역할을 하는 셈이다. 이 때문에 태극도는 우주 자연의 법칙을 보여 주는 한편, 우리 몸의 생명의 법칙을 설명해주는 도식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태극도는 정, 기, 신의 특징과 교차, 증감, 변화의 법칙을 형상화하여 보여 준다. 태극도를 잘 살펴보면 흰색이 가장 많은 부분에서 검은색 부분이 시작되고, 검은색이 가장 많은 부분에서 흰색 부분이 시작됨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바로 ‘정’과 ‘신’의 변화 양상을 설명한다. ‘정’이 가장 충만할 때 비로소 ‘신’이 왕성해지고 ‘신’이 가장 왕성한 시기에 ‘정’이 충만해지기 시작한다는 말이다. 49
동의보감, 과학을 논하다.
주역에서는 “음과 양의 기운이 서로 작용하는데 무언지 제대로 헤아려볼 수 없는 것, 그것을 ‘신’이라고 한다”고 했다. ‘신’은 말 그대로 귀신이다. 귀신은 있는 것 같기도 하고 없는 것 같기도해서 제대로 알 수는 없는 것이다. 98
음식이 비위에 들어와 소화되면 여기에서 다섯 가지 맛이 나온다. 다섯 가지 맛은 요즈음 말로 하자면 영양분이다. 이는 온몸을 움직이게 하는 근본이 되며 더 중요하게는 정을 만드는 근본이 된다. 157
더욱 특이한 것은 단전을 셋으로 나누었을 뿐만 아니라 여기에 각각 정기신을 배속시키고 있다는 점이다. 구체적으로 하단전은 정, 중단전은 기, 상단전은 신을 주관하는 곳이다. 신은 기에서 생기며 기는 정에서 생긴다. 그러므로 이 세 가지 보물, 곧 정기신만 잘 다스리면 양생은 끝나는 것이다. 160
인삼은 양기를 보하는 것이다. 그런데 우리 몸은 정기신으로 되어 있다. 정과 신은 놔두고 기만 보해준다면 결국에는 균형이 깨져 병을 불러 올 것임은 자명한 이치다. 인삼은 자연에 비유하자면 태양이다. 바닷물은 놔두고 태양이 좋다고 해서 태양만 자꾸 늘려가다 보면 바닷물은 마르고 땅은 말라 버릴 것이다. 한의학에서는, 예로부터 아이들은 양기 덩어리여서 양기를 보해주는 인삼이나 부자와 같은 뜨거운 약을 함부로 쓰지 말라고 했다. 오히려 바닷물에 해당하는 것, 곧 음기를 보충해주어야 한다고 했다. 그것이 소아 치료의 대원칙이다. 204
한의학은 어떻게 보면 너무 쉽다. 몸이 차면 더운 음식이나 약을 먹으면 되고 반대로 몸이 더우면 찬 음식이나 약을 쓰면 된다. 어떤 음식의 성분이 무엇이고 열량이 어떻고 하는 것은 별로 중요하지 않다. 그 음식이 찬가 더운가, 단가, 쓴가, 한마디로 그 음식의 기미가 어떤지가 중요하다. 그래서 한의학에서는 음식을 골고루 먹으라고 하지 않고 맛을 골고루 먹으라고 한다. 예를 들어 음식을 골고루 열 가지를 먹었는데 모두 단맛이 나는 음식을 먹었다면 한의학의 관점에서는 한 가지 맛만 먹은 셈이 된다. 211
마찬가지로 어떤 약이 달다거나 쓰다고 하는 것도 단순히 입에서 느껴지는 맛이라기보다는 그것이 몸에 미치는 영향, 효과를 말한 것이다. 예를 들어 인삼은 ‘달다’고 하지만 실제 인삼을 먹어보면 오히려 약간 쓴맛이 난다. 인삼이 달다고 한 것은 인삼이 오행 상으로 토에 해당하여 토에 해당하는 단맛과 역시 토에 해당하는 장기인 비장에 작용한다는 의미가 들어 있기 때문이다. 268
숨을 내쉬면 기가 나가니 이는 양이 열리는 것이며, 들이쉬면 기가 들어오니 음이 닫히는 것이다. 이는 사람의 음양과 자연의 음양이 같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래서 호흡의 상하 운동을 잘 다스려 그것이 몸을 돌아 쉼 없이 돌 수 있게 하면 열리고 닫히며 오고가는 변통의 오묘함이 내 몸에서 실현되는 것이다. 이는 신과 같은 존재가 주재하는 것이 아니라 아무도 맡아 다스리는 이 없이 자연히 그러한 것이다. 302
외인은 몸의 밖에서 오는 것으로, 풍한서습을 들 수 있다. 풍으로 기를 상하면 통증이 생기고, 찬 기운으로 기를 상하면 몸이 떨리며 무더위로 기를 상하면 열이 나면서 가슴이 답답한 증상이 생기며, 습한 기운으로 기를 상하면 몸이 붓고 배가 불러 오며, 건조한 기운으로 기를 상하면 대소변이 잘 나오지 않게 된다. 317
소고기, 개고기가 기를 보하는 것이라면 막힌 기를 뚫어주는 것도 있다. 그 대표적인 것이 생강이다. 생강은 기 중에서도 양기를 잘 뚫어 준다. 흔히 한약을 달일 때 생강 세 쪽, 대추 두 개를 넣으라는 경우가 많은데, 생강을 넣는 가장 큰 이유는 생강에 해독작용이 있기 때문이다. 혹시라도 있을 수 있는 약의 부작용을 없애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생강은 기를 잘 흩어주므로 약효가 더 빨리 나게 된다. 341
육자기결은 호흡할 때 특정한 소리를 냄으로써기를 다스리는 방법이다. 구체적인 방법은, 입으로는 소리를 내며 숨을 내쉬고, 코로는 숨을 들이마시는 것이다. 이런 방법이 효과가 있는 것은, 발음 역시 하나의 기이기 때문이다. 휴-간, 훠-심, 후-비, 희-폐, 취-신, 히-삼초. 간의 기를 돕기 위해 ‘휴’할 때는 눈을 똑바로 뜨고, 폐의 기를 돕기 위해 ‘희’할 때는 두 손을 올리고, 심의 기를 돕기 위해 ‘호ㅓ’할 때는 이마 위에 두 손을 깍지 끼어대고, 신의 기를 돕기 위해 ‘취’할 때는 두 발을 끌어안는데 무릎이 가지런하게 하고, 비의 병 때문에 ‘후’할 때는 꼭 입을 오므려야 하고, 삼초에 열이 끼어들었을 때는 누워서 ‘히히’ 해야 한다. 343-344
황제내경의 인식론 - 사람은 모두 하늘과 땅의 기를 받아 태어난다. 하늘이 사람마다 제각각 부여한 것을 덕이라고 하고 땅이 그 사람에게 부여한 것을 기라고 한다. 이 덕과 기가 서로 작용하여 사람이 태어나는 것이다. 360 오행으로 파악된 신은 혼신의백지이다. 심은 신을 간직하고, 폐는 백을 간직하고, 간은 혼을 간직하고, 비는 의를간직하고, 신은 지를 간직한다. 여기에서 ‘간직한다’는 것은 각각의 신이 각각의 장기에 머문다는 것으로, 사실은 각 장기가 발휘하는 생명력의 표현이라고 할 수 잇다. 각 장기에 머물러 있다가 드러나는 것이다. 그리고 심장이 간직하고 있는 ‘신’은 좁은 의미에서의 ‘신’이다. 361
오장의 정이 심으로 몰리면 지나치게 기뻐하게 된다. 폐로 몰리면 지나치게 슬퍼하게 된다. 간으로 몰리면 지나치게 화를 내게 된다. 비로 몰리면 골똘히 생각하게 된다. 신으로 몰리면지나치게 무서워하게 된다.365
볕뉘. 근력운동이나 머슬매니아 등등. 마라톤을하면서 운동중독성향이 있는 분들은 사실 건강하지 않다. 감기에 몸살을 달고 다니는 사람도 많이 보아왔다. 신체는 건강할지 모르겠지만 소진되어 있는 느낌을 받을 때도 많은 것 같다. 총명한 기운도 별로 느껴지지 않고 말이다. 컨디션을 얼마나 좋은 상태로 유지하는가? 하루를 산뜻하게 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무조건 몸을 혹사시키는 것도 좋지 않은 것 같다. 간헐적 운동만으로도 충분한 근력과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고 한다. 잘 때 자고, 일어날 때 일어나고, 봄 건강은 겨울에 미리 챙겨두고...활인심방이나 정기신이란 개념을 갖고 응용하는 것도 좋을 듯하다. 과학적이지 않다고 하는 것이 아니라 감각의 확장과 축적된 상태를 보고 확인하는 것도 과학적인 태도가 아닌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