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읽)은 책. <죄와 벌> (상)

 표지 그림이 내용과 똑같다. 심리상태를 그대로 묘사한 듯. 옷도 마음도 판에 박은 듯.

 

 

 


 동학농민운동에 대한 시각에 대해서도 선생님은 보다 깊은 말씀을 전하고 있다. 단지 사회운동으로서의 동학이 아닌 삶과 생명운동으로서 그리고 하늘과 자연의 도를 추구하는 사상으로서의 동학에 대해 우리는 아는게 없다. 그 동학 2대교주 해월선생의 사상이 손병희 선생으로 3.1운동으로, 중국의 5.4운동으로, 인도의 비폭력 무저항운동으로 이어진 시대의 파장을 우리는 잘 알지 못했다.

바로 우리 옛 선현들의 깊은 혜안 속에 우리가 삶에서 추구해야 할 것들에 대해 이미 설한 바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린 너무 멀리서 그것을 찾아온 것은 아닌가 반성하게 되고 현실문제의 원인을 늘 밖에서만 찾으려 했고 진정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자신의 마음 속 들여다보기는 무관심하지 않았는지 되돌아보게 한다. 80년대에 선생께서는 자신의 호를 '일속자(좁쌀하나)'라고 하였다. 그 작은 좁쌀 하나에 이미 온 우주의 생명이 깃들어있음을 아는 지혜로 선생의 마음에 가 닿아본다 (달팽이)


 

 060110 읽다. 

 

 


책을 읽는다는 것은 아무런 목적이 없는 행동이다. 책은 시험을 치기 위해 읽는 것도, 성적을 잘 받기 위해 읽는 것도, 멋있게 보이기 위해 읽는 것도 아니다. 책을 읽는 과정은 연애와 비견될 수 있는 지극히 친밀하고 따뜻한 그 '무엇'이다. 그런데, 아이들은 그토록 좋은 책읽기를 끔찍하게 여긴다. 왜? '읽기'가 권유가 아닌 명령이 되어 버렸기 때문이다.
 * 060109 프랑스와 우리, 학부모의 일상이 다른 듯하다. 행간에 무척이나 텔레비전의 유해함에 대해 교사와 일상사까지 나눌 수 있는 여유들이 묻어있고, 아이들에게 무척이나 세심한 엄마-아빠들이 전제가 되어있는 듯하며, 부모들이 엄청 책을 많이 읽는다는 것이다.(정말?).. ... 사춘기에 입문한 아이들에게 책과 친해지게 노력하는 흔적이 우리 생활인들과 무척 간극이 있는 듯하다.  텔레비전, 인터넷의 폭력과 유해함에 방치되지 않는 노하우가 있거나 교사와 학부모의 허물없음, 그 사이 자발적인 관계-시간 안배,  우리 교육의 질적인 측면과 자꾸 비교시선이 간다.  그런 우리 생활인과 조금 다른 성숙?한 학부모들이 사춘기 아이들과 책으로 다시 사귀는 입문서인 듯하다.

 

 

2.(읽)을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