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51015

  0014  문턱값 낮추기 - 여러 모임들은 만나는 사람마다 그 성격을 달리하는데, 녹차모임, 더치페이, 일터, 전문직 등등 모임의 규모와 성격에 따라서 지출규모가 천차만별이다. 다 아는 이야기지만 여성분들이 많을수록, 골드칼라보다 블루화이트 블루칼라에 가까울수록 더치페이에 익숙하다. 여성분들이 많을수록 술문화 일방에서 다양한 시도가 이어진다. 요즘 참으로 곤란한 점은 모임의 확장도 중요하지만 전문직분들을 많이 만나면서 지출의 규모가 늘고 있다는 점이다. 돌연 그런 생각이 든다. 모임이나 단체의 접근성을 어렵게 하는는 것은 아닌가? 문턱값을 돈이라는 것으로 불쑥 높여두게 되면 할 것도 할 수 있는 것도 줄어드는 것은 아닐까? 출발선상의 평등은 될 수 있는한 낮은 문턱값에 돈을 두는 것이 아니라, 품을 제공하거나, 열정을 제공하거나, 시간을 제공하는 것이나 하는 다양함함에 귀결되는데, 생활문화의 경직성으로 활동반경을 너무 위축시키는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다.

051110

딱딱한 모임일수록 딱딱한 것으로 시작할 것이 아니라 물렁한 것으로 문을 열고 마음을 모아야한다. 노는 것으로부터 시작하여 한점, 두점 모임의 정체성을 나누다가 합류해야한다. 어설프게 딱딱하게 답답하게 갈수록 손해다. 놀자~ 놀면서 방점 한두가지만 지키자. 그렇게 물렁하게 문을 열어야 한다.

 

051016

 2200 착한엄마컴플렉스 - 근래 학부모님과 모임이 잦아들며, 착한 엄마를 많이 만난다. 아이들에게 잘해야지 남편에게 잘해야지, 통금시간은 의례있고, 집안일 잘 챙겨야지. 그런 착한 엄마에겐 내 삶이 있을까? 결혼하자마자 착한 아내이자 엄마로서 내 생활이 있는 것일까? 생활반경의 금줄은 애초에 쳐져 있던 것은 아닐까? 세상이나 사회라는 공간은 그 금줄때문에 아예 나올 수 없는 것은 아닐까? 그렇게 착해진 엄마는 남자라는 가부장적 권위에 주눅들거나 녹아있다. 부당함을 알고 있음에도 어느 누구 남자의 권위에 대해 한마디 못하는 소심함이 보태진 것은 아닐까? 그런 착한 엄마 덕에 애들은 아이대로 공부에 협박당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내 생활과 내 통금시간과 내 사회생활이 왜 가부장적 권위와 착한 엄마 강박때문에 감금당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착한 엄마에겐 사회란 그저 접근하지 못할 섬이 될 수밖에 없는 것은 아닐까? 그 금기를 깨기전엔????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파란여우 2005-10-17 12: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착한 엄마 노릇 자신 없어서 혼자 살잖아요^^

여울 2005-10-17 17: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말요?? 소문내러 다녀야겠는데요. ㅎㅎ. 여러분....여우님이...그러는데유~~ 혼자만 알고 계셔야되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