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학*예산감시학교) 050929

 1700  학군조정 회신문서로 학부모회, 운영위분들이 모여 대책위를 하다. 임시대책위원장의 장황설에 다들 어이없어 하는 표정과 권위적 태도가 내내 걸린다. 독선적 표현과 의견을 청취하지 않는 것이 익숙한 듯, 회의자리임에도 자신의 주장만 퍼부어놓고 이리저리 의견도 좌충우돌하다 입장마저 돌변한다. 갑자기 개그콘서트 생각이 났다. "이거` 저질이구만..." 사람들 많이 만나보았지만 명예욕과 내위주로 세상은 세팅되어야 한다는 강박관념으로 점철된 사람, 손바닥 뒤짚듯 입장도 원칙도 없는 부류는 접한 적이 거의 없어...황당과 황망을 오가는 느낌이다.

학부모의 이기심엔 다른 지역, 학부모들의 의견은 조금도 들어있지 않은 듯하다. 내새끼 내동네만 생각하면 되었지? 다른 입장, 다른 여건을 생각하기도 벅찬 것인지? 투쟁의지가 굳건하다. 그렇게 그렇게 하다가 좀더 단단해지고 시야가 넓어지는 것인지 모르겠으나,  나의 상식으론 이해되지 않는다. 각론을 통해 행정편의주의를 뚫는 돌파구는 생기겠지만, 원론은 동의할 수 없다. 어떤 각론이 나올 수 있는지는 학부모님들 감성 노력에서 파묻혀서나 보일까?  학부모총회에서 안건을 다루기로 하다. 학군조정 및 추진위원회구성으로...

2000 서울 교육위원의 "학교예산"에 대한 강의를 듣다. 생생한 설명과 전*조교사분들의 질의가 쏟아진다. 하지만 답답한 느낌도 교차한다. 많은 질문 속엔 전*조라는 틀만 있지 그것을 넘어 사회나, 약자나 다른 고민이 들어있지 않은 것 같다. 조합의 권익만 보장되면 되었지? 골치아프게 다른 고민까지 그것으로도 벅찬 것은 아니냐?는 항변을 느끼는 것은 과장된 것일까?

2300 "학교예산감시 학교의 개설 2강", 친구인 전 대*덕사랑주민*장과 주최측인 참* 금국장과 1강에 소홀히 하여 한담을 나누기 하다. 여러 이야길 나누다. 친구의 고민도 근황도 유사함에 놀란다. 여전히 공동체를 희망하고 준비하고, 권력을 얻더라도 바뀌지 않은 부분을 어떻게 해야하는가? 그것을 바꾸기 위해 어떻게 해야하는지? 등이 그의 고민의 중심부에 있어, 하나도 변하지 않았네. 시간이 지나 세월에 때를 묻혀 혹시나 변하지 않았을까 걱정스런 맘도 있었는데 ...다행히 한결같다.  금국장의 자치(교육,경찰), 최근 분권관련 기존정당의 담합 등 우려스러운 이야기를 듣고, 분권에 대해선 쉽게 접근할 수 없는 것은 아닌가?라는 이야기를 나누다.

 

050928

2300 "처사촌동생(대학생), 안해와 동네 선술집에서 한잔."  휴학을 하고 학비를 벌기위해 인근 연구소 알바를 하다 하루밤 묶고 간다는 연락이 와 급귀가.  존경하는 큰삼촌의 아들도 장성?하여 여러 이야길 나눌 수 있었다. 생각보다 깔끔한 성격, 스스로 해결하려는 노력들이 대견해보인다.  택시*조, 집안일 분담, 자식키우는 것 어느 하나 흉볼 수 없는 처*촌의 삶, 쏙 빼닮은 아들과 세상돌아가는 이야기를 나누며  좋은 학교, 공부에 기를 쓰며 연연해하는 것은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간결하고 아니면 아닌 것, 할 수 없으면 할 수 없는대로 자식이 스스로 알아서, 많은 경험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맞는 방법이라는 생각이 든다. 죽도록 공부하고 결혼하고, 모든 것을 자식에 목놓아 자신의 삶마저 묻어버리는 ...사회 속의 끈을 놓아버리는 생활이란 끔직하지 않을까? 

한편  손위동서 부부는 관계가 소원하다. 자식도 가지지 않고, 여러 사회관계나 활동이 전무한 상태라 끊임없는 둘 만의 갈등, 관계에서 벗어나질 못해 안스럽다. 처남과 처남댁 역시 남편바라기, 아이바라기...그러다보면 불신의 고리가 깊어지는 것은 아닐까? 작은 탈출구. 각자의 활동영역을 갖는다. 너무 많은 것은 기대하거나 강요하지 않는다. 

꼬옥 쥐려고 하면 할수록 물은 손바닥에 잡히지 않고 빠져나가는 것은 아닐까? 자식도  사람도, 

 너무 많은 벽과 성을 쌓고 있는 것은 아닐까? 내자식이나 내것만 집착하다가 남것이 보이지 않아 내것마저 잃는 것은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