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가을산님의 "생명윤리 관련, 어떻게 생각하세요?"

복잡하군요. 역시 가을산님 다운? 신선한 접근법!!!이란 느낌이 드는군요. 뼈대만 보아선 잘 모르겠어요.ㅎㅎ  설명을 들을 수 있으면 더욱 좋았을 걸..ㅎㅎ. 더욱 깊이 들어가실거죠. (다음편을 기대하면서..)

  단순하게 생각해서 인류가 불과 몇백년만에 자기 주변 것에 칼?질을 하다 이제 제 몸까지 손을 댄다. 탐구욕이 과연 그쳐질 것인가? 더구나 자본주의 시스템이란 현실에서 제어를 할 수 있겠느냐? 그럴만한 제어력이 있느냐?

기술의 속도가 선형적으로 증가하고 무모한 도전이 계속된다. 자본주의 시스템에서 제어가 가능한가? 한번도 기술과 융합한 인문-사회-제도적 시스템은 발현된 적은 없는 것은 아닌가?  기술의 위력을 소화시킬만 제도나 시스템 역시 없는 것은 아닌가?

부국을 위한 경제의 세계화는 되었으나, 정치의 세계화는 그야말로 걸음마 수준인 것처럼, 기술은 자신만의 증식을 위해 부단한 반복을 하지 않을까? 정치나 시스템을 배제하면서, 정치나 시스템은 그것을 안에 포섭할 능력마저 없고, 시도해볼 도리마저 없으므로.

생명윤리 등등 원론엔 동의하지만, 나의 존재가 기아에 허덕이는 아프리카주민이거나 고립되어 경제적 결핍을 당할 수밖에 없는 이북에 살거나, 하루하루 끼니를 걱정하고 연명할 수 있는 상황이나 시스템에 머물러 있을 수밖에 없다는 조건이 있으면 당장이라도 GMO...원자력발전, 환경..이라는데서 자유로울 수 있는가? 생존수준에 머물르는 시스템에 들어가면 모두 무력화되는 것은 아닌가?

인류가 가진 과학기술력과 경제력은 한번도 지구적인 불균일한 시스템을 해소하기 위해서 써보거나 시도해본 적도 없는 것은 아닌가? 어떤 재앙과 맞딱뜨려야 다시한번 재고를 해보려 할 것인가? 내나라 속에서 인권과 기본권이지 제3세계를 감안한 인권과 기본권은 있는가? 농산물은 내나라에서 부족분은 다른나에 적기 공급이 가능하지 않으란 법은 없지 않는가?

생존권이란 수평선아래서 어떤 논의도 무의미한 것은 아닐까?, 정치의 세계화와 기본적인 경제력을 분산하지 않으며 논의되는 틀은 어찌보면 논리의 자체완결성이라는 발목을 잡히는 것은 아닐지?  기술이라는 것이 모든 낡은 기술을 배제시키는 자본의 시스템이 아니라 낡은 기술이라더라도 기본적인 생존권 확보를 위해 발전시키거나 배분하는 것이 자본주의를 위해서도 좋고, 세계경제를 위해서도 좋은 것은 아닐런지?

저 위에 내달리고 있는 정신나간 기술의 발전이란 테마는 수평선으로 끌어내리고, 생존권이나 비혜택, 반혜택의 수준은 끌어올려 논의를 하는 것이 보다 원론에 치우치지도 않고, 현실을 고려하며 제어력을 갖게 되는 것은 아닌지? 기술과 인문-사회-정치 시스템이 호흡을 맞추지 않으면 영원한 악순환의 질곡으로 지구를 대상으로 무모한 실험을 계속하는 것은 아닐까? 보다 중요한 원흉은 자본주의라는 비겁한 시스템때문에 인류가 잘 나눌 수도 있으며 이 생고생을 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논지를 벗어난 마당이 흔적남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