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학의 역사>,정해윤,살림


  • 성공학의 정의
    종교개혁과 성공학의 시작
    아메리칸 드림
    자본주의의 성장과 변모
    현대 성공학의 성립
    소수자의 동참
    새로운 조류, 뉴에이지
    성공학의 응용 도구들
    영감을 준 기계문명
    정체한 역사의 땅, 아시아의 처세술
    21세기 한국에서의 성공학

과학은 일정한 법칙에 따라 동일한 결과를 나타낸다는 것인데, 성공학이나 부자학도 이러한 법칙을 따르면 누구난 성공하며 부자가된다는 과학이라고 주장한다. 20C 초 미국 나폴레온 힐의 "성공의 과학 science of success"이 일본으로 들어오면서 성공학으로 국내에 들어온 것이 아닌가 저자는 유추한다.

동서양 고전의 숱한 부에 대한 경고를 무릎쓰고 "부"에 대한 면죄부를 준 종교개혁 가운데 프로테스탄티즘에서 원류를 찾을 수 있다 한다. 부르조아 출현과 함께 궤를 같이하는 학문?이라고 하는데, 초기의 근면,절약,금욕에서 출발에서 아메리카 드림을 통해서 영역을 넓혀왔다고 한다.

대부분 처세나 관계론은 벤자민 프랭크린, 카아네기를 바탕으로  한다. 이는 미국자본주의 발달에 따라  대기업의 출현과 세일즈맨의 형성은 이에 대한 수요층을 한층 넓혔다고 하는데,  점점 부분적이고 잔재주 위주의 자기계발만 강조하게 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한다.

곧, 자본주의의 발전과 함께 성공학은 오히려 '부자학'이라는 피상적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다한다. 최근 스티븐 코비는 미국의 200년간 문헌을 분석하며 최근 50년동안 문헌이 이러한 경향이라하며,대공황이후 선풍을 일으켰던 처세책들은 겉만 핥고 있으며 초창기 청교도 정신으로 복귀, 성격보다는 성품, 원칙을 준수를 부르짓고 있다.  점점, 동양학이나....고전, 최신 조류의 수혈을 받으려 노력하며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