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의 경영으로의 초대>, 유재언, SERI

1. 자생시스템 모델
2. 소프트 시스템 사고
3. 담화의 지식화: 리좀시스템 사고

 

영국 링컨대에서 저자는 "경영학에 있어서 리좀시스템 사고를 향하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고 한다. 그는 들뢰즈와 푸코를 인용해 경영학에 접목시키려 하는 것 같은데, 들뢰즈 철학을 한 분들의 국내 푸대접과는 달리 잘나가고? 있는 듯하다. 소개글이 삼성전자 반도체의 구조조정과 관련된 조직 설계, 국내 기업 조직진단, 시스템과학분야에서도 활동하고 있다고 소개하고 있으니 말이다.

가슴이 뜨거운 조직을 만들지 않으면 살아나가기 힘들다는 이야기이다. 그러러면 덩치 큰 한 덩어리가 아니라 생명을 다양성?처럼 필수 다양성을 소유한 조직이 생존가능성이 크다고 한다.(자생시스템모델 VSM) 또한 참여적이고 개방적인 조직문화, 조직원의 맘을 뺏는 것이 필수이고(소프트시스템사고 SST), 자발적 학습을 일으키기 위해 '리좀시스템사고'를 통해 사고의 다양성과 차이를 만들어 내야 한다는 것이다.

조직내에 학습을 일으키는 힘 역시, "문제가 무엇이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문제로 인해 "무엇이 생기는가?"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고 한다. 문제의 틀짜기를 통해 문제를 새롭게 정의내리는 것으로 초점을 바꾸고 그로인해 담화를 만들어내고 지식화해야한다는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지식역시 형식지만이 아니라 암묵지를 총칭하는 것이다.

한가지 방법으로 조직을 즉흥적인 연기를 할 수 있는 연극무대나 극장으로 바라보는 것이라 한다. 조직을 주어진 존재라기보다 생성의 관점으로, 살아있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고 한다.

경영학이 무엇인지? 잘 모르겠으나 조금 된다싶으면 급속히 신장을 하는 느낌이 든다. 저자가 들뢰즈와 푸코를 얼마나 잘 이해했는지? 그 철학적 바탕이 경영학에 접목되어 얼마나 영,미에서 발전했는지도 잘모르겠다. 단지 필요성에 의해 담으려는 속도가 빠른 것에 겁도 나고, 순방향도 있을 것이란 느낌도 들면서, 신흥종교처럼 맹신도를 만들어내는 것은 아닌가?라는 의구심도 든다. 하지만 여러 사회단체들도 여러 도구 가운데 하나로 조직을 되짚어보는 데 써보면 어떨까?라는 마음도 깊이드는 것은 속일 수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