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빨강과 노랑 

 


그의 작품에는 빨강과 노랑, 연붉음과 연노랑의 선명하게 때론 희미하게 흔적이 남아있다. 가족사진에서 처럼 선명하기도 하지만 그를 둘러싼 특유의 애절함과 강렬함이 배여있다. 홍군과 인민복이기도 하며 칼과 손에 남겨진 노랑은 단절과 명상이기도 하다. 붉은 아기의 탯줄에 이어져 있는 책과 화면과 천안문, 그리고 윗편 희미하게 박혀있는 악보의 숫자는 또 다른 이명으로 들리게도 하는 것 같다.  회한과 기억, 망각을 번갈아 표현을 넘어서는 그 무엇이 비치는 것 같다.

 

 

 

2. 책과  전등  그리고 전통

 

 

 


처음 소비에트 교과서와 같은 판본으로 공부했다고 한다. 졸업시험도 통과하지 못해 그림을 캔버스에도 그릴 수 없어 종이에 그렸다고 한다. 전시회 출품에서도 이런저런 이유를 대면서 두점 가운데 작은 작품만 출품하라고 해서 거절했다고 한다. 표현기법이 맞는 전시회를 찾아가거나 별도의 전시회를 마음이 맞는 친구와 기획했는데 이런 교류로 다른 기법이나 영향을 많이 받았다고 한다. 한 전시회에서는 행위예술이나 파괴를 모방한 전시가 있어 도저히 이해할 수 없었다고 한다.   6.4 전시관 총기사건이후로 과연 그것이 작품일까라는 고민을 했다고 하며, 작품성을 인정하게 되었다고 한다. 미술사에 대한 공부는 대부분 책 속에서 이루어졌는데 한 계기로 과연 중국은 나에게 무엇인가라는 되물음으로 빨강과 노랑의 색조만 남겨두고 일년동안 아무런 작품 활동도 할 수 없었다고 한다. 계기가 되어 독일, 유럽의 여러 미술사조를 경험할 수 있었다하며 독일에서 장예모 감독의 영화를 보다 도저히 그것을 보고 독일사람들이 좋아하는 것을 이해할 수 없었다한다. 중국의 상업적인 것만 골라서 그런 모습을 보인 것은 아닌가하고 중국이란 나에게 무엇인가 재삼 고민하게 되었다고 한다.

 

 

 

 

 

3. 표현과 기법


혁명적? 리얼리즘과 같이 판에 박힌 미술수업은 아무것도 자신에게 가르쳐준 것이 없었다고 한다. 수업시간에 멀뚱멀뚱 자리를 지키고 있던 모습, 그리고 유럽의 표현주의 기법을 받아들이면서 작품을 남겼다고 한다. 밀레, 고흐, 달리, 피카소, 마그리트를 배우면서 습작하고 스스로 자신들의 그룹을 남서부 예술이라 칭하는데 북부예술을 접하면서 많이 익히고, 독일 등의 경험을 통해 그동안 책으로 공부해두었던 예술사조에 대해 특별하게 배웠다고 한다.

 

 

 

 

 

 

2007년 서울 가을 그는 41년전 마오저뚱의 사상집을 곁에 두고 읽고 있다.  "바른 사랑은 어디서 오는 걸까? 하늘에서 뚝 떨어지는 걸까? 아니다. 그럼 개인의 머릿속에서 가지고 있는 것? 아니다. 바른 사상이란, 사회 실천에서 오는 것이다. 사회에서 생산투쟁, 계급투쟁, 그리고 과학실험 이렇게 세 가지를 실천함에서 오는 것이다. ...인간의 사회적 존재란, 그 사람의 사상으로 결정지어진다."를 되새기고 있다.

 

 

"우리의 도시는 더욱 화려해진다. 우리의 밤은 더욱 밝아진다. 우리의 라이프스타일은 더욱 단순해진다. 우리의 사고는 더욱 즉각적이 된다. 우리의 감정은 훨씬 복잡해진다. 우리의 의사소통은 더욱 획일화된다. 우리의 기술은 더욱 명료해진다. 우리의 상상은 더욱 합리적이 된다. 우리의 소망은 더욱 통합적이 된다. 우리의 지식은 더욱 우스꽝스러워 진다. 우리의 고통은 더욱 개인적이 된다. 우리의 기억은 더욱 짧아진다. 우리의 과거는 더욱 멀어진다. 우리의 얼굴은 더욱 젊어진다. 우리의 음악은 더욱 아름다워진다. 우리의 감각은 더욱 심각해진다. 우리의 영화는 더욱 발전한다. 우리의 옷은 더욱 낡아진다. 우리의 작업실은 더욱 커진다. 우리의 전시는 더욱 빈번해진다. 우리의 저녁모임은 더욱 화려해진다. 우리는 더욱 모이기 어려워진다. 우리의 생각은 더욱 피상적이게 된다. 우리의 대화는 더욱 느긋해진다. 우리는 더욱 쉽게 운다. 우리의 잊고자 하는 욕구는 더욱 강렬해진다. 우리의 친분은 더욱 단순해진다. 우리의 가슴은 더욱 차가워진다. 우리의 의지는 더욱 확고해진다. 우리의 외로움은 더욱 깊어진다. 우리의 판단은 더욱 모호해진다."

 

그림의 이력(콕)▼

 

 

 

 

 

 

 

 

 

 

 

 

 

 

펼친 부분 접기 ▲

 

 

볕뉘. 

 

1. 일짬 잠깐 들러본다는 것이 사뭇 긴장하게 한다. 빨강과 노랑 그리고 그 흔적이 무엇일까? 돌아서 나오는 길 몇부의 복사본을 손에 쥔다. 출입구 위편에 장샤오강의 인터뷰가 끌려본다. 이력과 추구하는 것과 삶의 질곡이 읽힌다. 백년의 급진 원텐진의 논문이 겹친다. 자신의 대지에 자신의 뿌리를 내리는 자각이 겹친다. 대지에 뿌리내리는 것은 고사하고 썪지 않는 거름을 퍼다가 나르는 것이 지금-여기의 현실은 아닐까 싶은 느낌이 스민다. 반시간의 공유에 들떠있고, 어쩌면 충격이 내내 가시지 않을 것 같다. 당분간은 ... ..

 

2. 싸가지 진보로 지식인?들이 시끄럽다.  그런데 의심스럽다. 완독을 해보기나 한 것인지? 아니면 그냥 물어뜯고 컹컹거리는 것이 분간이 가지 않는다.  지식인은 에티켓은 없는가? 뜬다 싶으면 취할 것을 가려내고 짚을 것은 짚지 않고  씹는 만큼 나의 이름도 영양가도 높아질 것이라고 여겨서 그런가? 만약 그렇다면 심각한 습속이 아닐 수 없다.  뭐가 어떻다고 하면 다들 몰려들어 썩은 살점하나씩 물고 거봐 그랬잖아를 외친다.  날카로운 비판의식과 비판정신이 무서운 것이 아니라 날카로운 비난습속이 무섭다.  한점 틀린 점이 없는 신의 경지에 오른 지식인들의 문화적 굴레가 안타깝다.  아무도 진지하게 자신과 자신이 추구하는 것에 다른 지식인의 생각과 고민을 접목하려 하지 않는 것 같다.  한번이 아니라 질리도록 반복되는 퇴행이다 싶다.  잘못본 것이길 바란다. 지식인들이 너무나 확신에 가득차 있다. 자신의 오류를 돌보지 않는다.  이런 지식인의 문화에서는 아마 큰 인물이 나올 수 없는 듯싶다. 아마 죽은 뒤에나 알아주면 다행이다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