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팝나무, 밥에 대한 굶주림이었겠지. 원없이 먹고싶던 이밥! 쳐다만봐도 배부른?
그런 세상은 있을까?
원없이 그 갈증을 채워줄!
그래 없겠지.
사실 바라지도 않잖아.
마음 한점만 줘도 감지덕지야!
붓꽃도 벌써 네마음을 적어보라 봉긋 올라와 있는, 오월의 깔닥고개.
깊은 마음이라? 마음? 이성도 감성도 아닌 마음을 잡을 수 있다구?
그래 난 마음주의자다.
이성의 칼날은 늘 외롭고 감성의 눈물은 늘 푼수다.
그래서 마음을 믿는다.
손에 더 잘 잡히고 더 잘 헤아릴 수 있고 머리와 발이 아니라 가슴에 사무쳐 있어 좋다.
가슴에 마음이 머무르면 참 세상은 따듯하고 살만 할텐데. ᆢᆞ
벌써 한해의 가슴같은 오월이다.




뱀발.
몇권의 책이 겹친다. 계급, 상품, 잉여가치, 자본 등등 이론적으로 명료하게 해논 이성으로 빚은 용어들은 찬란하기는 하지만 헛점이 많은 것은 아닐까? 마음이야기를 하면 불교를 이야기할텐데. 오히려 이론에 물구나무 서 있는 친구들이 보았으면 좋겠다. 그러면 얼마나 그것들이 덜그럭거려 현실을 제대로 비추어내는지도 아마 보일 것이다.
'마음이 맞는다"란 말이 관념적으로 들리는가? 124주년 노동절에 노동도 이야기 못하는 비참이지만 거꾸로 노동만 건네려고 하기때문에 여전히 이런 것에 약간의 책임은 있어야 한다. '마음이 맞는가' 이 말은 늘 지역에 진보를 자처하는 사람들에게 물어보고 싶은 것이다. '마음이 맞으려고 해본 적이 있는가?' 늘 자신의 것이 옳다고 앎을 전달하려했지. 정녕 마음을 건네본 적이 있는가? 시간은 늘 속 마음을 읽어낸다. 지금 여기가 이 수준인 것은? 문화자본이든 상징자본, 가치의 축적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 가운데 마음의 싱크로율을 맞추려는 것이 부족한 연유도 있을 것이다.
가슴이란 열정의 수위가 맞다면 굳이 무슨 설명이 필요하겠는가? 묵묵히 열심히 제 할 일만 해도 다 우리 일인 것을... ...참 마음의 얼을 어루만지고 싶은 계절이다. 당신의 마음들을...나의 마음을 건네고 싶은 날들이다. 사실 '노동'이란 말을 더 일찍 건네고 나누고 싶은 것이 더 속내이긴 하다. 그렇다면 아직 이성의 미련을 버리지 못하고 있단 말인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