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아시아의 사상은 있는가?라는 질문을 받고 생각해본다. 그것이 과연 하나로 묶을 수 있는 것이라는 의문이 들기도 한다. 통사를 살펴본다해도 유학, 불교, 실학으로 나누기도 하지만 어떤 것이 우리 사상인가도 확연하지 않다. 한자 중심의 문화로 묶는다는 것도 모호하지 않는가?

 

  • 출발하는 것에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닌가? 우리 수준에 맞는 의미를 찾아가는 것으로 의미를 두면서 시작해보는 것은 어떤가?

 

  • 동아시아 사상이 있는가라는 물음보다는 최근 동아시아 150년에 있어서 상황에 대처하는 지적물음이나 어떤 생각을 하려했는가? 세계체제에서 어떻게 보느냐?는 과정과 상황, 지식인의 모습에 대해 살펴보는 것으로 질문을 바꾸면 어떠한가?

 

  • 아미티아 센의 살아있는 인도를 잠깐 살펴봤는데 16세기 기독교로 획일화되고 르네상스의 시기에 인도는 아티바르 국가였는데 여러 종교를 다 인정해주고, 노예폐지 등 유럽과 전혀 다른 상황이었다. 인디아대륙이라는 표현을 쓰기도 하는데 사상의 흐름은 서구와 다르게 움직였다고 봐야 한다.

 

  • 중국, 일본, 한국도 근대에 대한 수용의 역사가 다르다. 중국이 외세에 직면해서 저항한다면 일본은 자발적이었고, 한국은 또 다른 근대경험을 갖고 있다.

 

  •  근대지점을 어떻게, 언제부터로 볼 것이냐?

 

  •  박지원은 열하일기 마지막에 후삼경자로 시기를 기록하고 있는데 명나라 시작에서 180년이 지난 경자년이라고 청이 아니라 명에 대한 종주국 의식을 갖고 있는 것 같다.

 

  •  네덜란드만의 철학이 있고, 사상이 있는가?라고 볼 수 있는가?

 

  • 우리의 경우 기호학파, 영남학파 주자학의 흐름이 있지만 식민지, 전쟁을 통해 사상의 단절을 겪고 있다고 봐야 한다.

 

  • 중국의 왕우이는 조공시스템을 다른 각도에서 보고 있으며 인류학자들의 도움을 받는 것으로 알 고 있다. 동아시아를 어떻게 봐야하는지 의문이다.

 

 

뱀발. 동아시아 사상은 가능한가라는 홍보문자, 주말 늦은 시간이라 모임이 쉽지 많은 않을텐데 예비모임이라는 공지에도 여러 참고도서와 미리 책들을 읽고 온 분이 많다. 차수를 옮기며 옆자리의 멤버를 바꾸면서 얘기를 섞는다.  고량주와 사케, 막걸리와 소주, 맥주와 안주사이 말많은 멤버들의 화려한 수다와 속얘기가 끊이질 않는다. 일단은 루쉰으로 하고, 다시 한번 동아시아를 묻다라는 책으로 질문과 방향에 대한 의견을 되묻기로 한다. 다음은 140215 16시 아*** 책방.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