억압적인 사회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개인의 해방은 개인에게 득이 되는 것이 아니라 해가 된다. 사회에서 자유로워지기 위해 들인 에너지는 개인에게서 자유를 향한 힘을 빼앗아버린다. 왜냐하면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볼 경우 개인이란 아주 생생한 것이지만, 절대적인 것으로 설정할 경우 개인이란 관념은 단순한 추상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개인은 사회적으로 구성되지 않는 그 어떤 내용도 갖고 있지 않다. 즉 개인이, 사회가 그 자체의 상황을 넘어서는 데 조력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지 않고 그저 사회를 넘어서려는 충동은 전혀 갖고 있지 않다. 201
반짝 1. 개인이 사회를 넘어서려는 충동은 전혀 갖고 있지 않다. 개인의 해방은 해가 된다. 다른 사람과 관계에서 보면 개인은 아주 생생한 것이지만 절대적으로 설정할 경우 개인은 추상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막스 슈티리너는 유일자로서 개인을 상정하고 실제 그렇게 살았다. 자유라는 것이 공유-소유라는 실뿌리같은 곁을 헤아리지 않으면서 홀로 설 수 없다. 살아지는 것이 아니라 살아간다는 점을 깨닫는 것도 엄청난 일이 되기는 한다. 하지만 후기자본주의 삶 아래에서 자유라는 것은 살림살이의 편차와 왜곡된 삶에 대한 상상력이 뿌리내리지 않는 이상, 그 자유와 사랑은 생명력이 길지 못하다. 자본이 삶의 결을 나누며 만들어낸 그물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이들에게만 자유를 하사한다. 개인이 사회를 안을 수밖에 없고, 그 운신의 폭이 너로 인해 생길 수밖에 없는 것을 인지하지 시작할 때 조금은 그 공간이 넓어지는 것이다.
비변증법적 사유 - 벤야민이 우리에게 유산으로 남긴 과제는, '낯설게 하는' 사유의 수수께끼 형상들에만 맡길 것이 아니라 무의도적인 것을 개념의 왕국 속으로 가져와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즉 변증법적이면서 비변증법적으로 사유할 필요성이다. 203 - 벤야민이 역사는 지금까지 승자의 관점에서 씌어왔지만 이제는 패자의 관점에서 씌어야 한다고 말했는데 여기에 무언가가 덧붙여질 수 있다면 그것은, 즉 인식은 일련의 승리와 패배로 점철된 역사의 불행한 직선적 성격을 재현해야 하지만 동시에 그런 역동적 관계에서 빠져나간 것, 길가에 제쳐둔 것, 다시 말해 변증법에서 빠져나간 눈먼 지점들이나 폐기물들에도 눈을 돌려야 한다는 것이다...지배적인 사회를 넘어서는 것은 단지 그것이 발전시킨 잠재력뿐만 아니라 역사의 운동 법칙에 제대로 들어맞지 않는 모든 것이다. 이론은 비스듬한 것, 불투명한 것, 붙잡히지 않는 것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202
반짝 2. 진보라는 것이 있기나 한지 모르겠지만, 자칭 진보의 시선에서 보면 유행의 흐름을 되짚을 이유가 있다. 아프니까 청춘이다라는 힐링과 치유, 나꼼수를 비롯한 젊은층의 정치에 대한 관심, 김용옥의 동양고전에 대한 관심, 강신주의 인문의 세련된 소비....유행이 있고 그 꼬리표에 한계역시 점철되기 마련이다. 하지만 진보가 힐링과 치유를, 정치에 대한 각성을 이리 대중적으로, 인문에 대한 관심을 이렇게 앞서서 같이 못한 것도 인정을 해야한다. 소비와 세련된 소비, 개인에게 국한되는 치명적인 약점이 있기는 하지만 다이나믹 코리아에 되풀이 되는 또 다른 시공간의 계기는 또 있지 않을까 싶다.
순수성이 순수하지 못한 까닭은, 교환이 지배하는 사회에서 순수성은 자신이 되고자 하는 바로 그것이라고 주장하지만 그렇게 될 수 없다는데서 비롯된다. 권력을 위해 봉사하는 순수성의 사제들이 이런 순환의 메커니즘을 통달하게 되자 이 순환의 죽음을 기리기 위해 돈의 베일을 쓴 춤을 추게 된다. 208
반짝 3. 개인이 발라져 나온 뒤, 수많은 철학자들이 개인의 순수성을 가정하고 되짚었다고 아도르노는 말한다. 순수하다는 사유자체가 이 사회에서는 모순을 가질 수밖에 없는 말이다. 세속에 물들려고 하면 할수록 어쩌면 순수성을 확장시킬 수 있을지도 모른다.
아마 진실된 사회는 발전을 식상해하면서 무언가에 쫓기듯이 낯선 별을 정복하러 돌진하기보다, 가능성들을 다 쓰지 않은 채 남겨둘 것이다. 더 이상 곤경을 모르는 인류는, 곤경에 벗어나기 위해 인류가 지금까지 만들어왔던 장치, 그렇지만 풍요로움과 함께 곤경을 확대 재생산해왔던 그 모든 장치가 미친 짓이었으며 부질없는 짓이었다는 사실에 희미하게나마 생각이 미칠 것이다 즐김자체도 이러한 정황에 따라 바뀔 것이다. 그것은 현재 존재하는 즐김의 도식이 바쁘게 쫓아다니기, 계획만들기, 의지를 세우는 것, 정복하기에서 떼어내어 생각할 수 없는 것과 같다. 짐승처럼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 물위에 누워 평화롭게 하늘을 바라보는 것, '그저 존재하는 것, 그 밖에는 아무것도 아닌 것, 더 어떤 규정할 것이나 실현할 것도 없이...' - 해방된 사회의 목표가 무엇이냐는 질문을 던질 경우 사람들은 '인간적 가능성의 실현'이나 '풍요로운 삶'과 같은 답변을 듣게 된다.....그러한 의기양양한 대답이 역겹게 느껴지는 것 또한 불가피하다. 209
반짝 4. 자본주의나 신자유주의라는 말로 뭉뚱그리거나 대표해서 사회를 표현하는 것처럼 무책임한 일은 없을 것이다. 이 역시 자본주의나 신자유주의로 퉁칠 것은 어떠한 것도 없다고 가정하는 편이 낫다. 현실은 버젖이 헌법에 있는 생존권도, 노동권도 행복을 추구할 권리도 사문화시켰다. 이순간에도 죽음을 택하는 이들로 사회적 타살로 피가 흥건하다. 노동권을 주장한 합법적인 상황에도 손해배상을 들이대며 희희낙낙하는 세상이다. 우리 사회는 끼리끼리의 사회다. 그래서 삶도 들여다볼 수 없으며 보이지 않기에 아파하지도 않는다. 세상에서 10번째로 많은 돈을 가지고 있음에도 그 격차는 상상을 초월한다. 사랑하고 자유, 올곧게 서는 살아가는 개인들이 느껴야 하는 것은 소유와 공유, 살림살이의 비교로 이어지는 형평에 대한 감각이다. 세속의 벌이와 쓰임에 대한 공유에서 비롯된 절절함이 다시 오지 않는 이상 공허한 자유, 쇼윈도우에 전시된 자유와 사랑이 될 확율이 크다.
뱀발.
느낌을 붙잡으려 직접 쓰다가 날라가버렸다. 임시저장이 되었다고 여겼는데 웬일인지 조급을 감지한 듯, 피시는 그렇게 응답한다. 곰곰발님이 지적한 강신주는 세련된 자본주의 사용설명서가 되었고 세련된 소비를 하고자하는 소비자들이 있어 순환된다는 말에 부분적으로 수긍하지만, 강신주현상에 대해서는 진지하지 않기 때문에 전적인 긍정이 아니다. 살림살이와 삶의 제한된 동선, 그룹핑되어 다른 삶은 생각조차 하기 싫은 우리들에 대한 고민으로 번지는 또 다른 유행이라도 있었으면 좋겠다. 원래 유행을 믿지 않는 편이지만, 역동적으로 왜곡된 공간이라 꼭 그렇지 않다고 판단할 근거도 없다.
마립간님의 거시적인 자본주의의 경로를 생각해본다. 그것이 또 다른 자본주의여도 파국이어도 할말이 없다. 하지만 나를 한국, 중국, 유럽, 미국만이 아니라 동남아시아, 아프리카의 한곳에 냉혹하게 떨어뜨려보는 상상력이 오히려 지금여기를 그래도 낫게 만들 수 있지 않을까 위무해본다. 자본주의도 없다. 신자유주의도 없다. 안개가 짙다. 나만이 아니라 같이 빠져나가야 한다. 만들어가야 한다. 답은 저기에 없다. 여기에서 만들어야 한다. 세속의 철학인 살림살이에 푹 적신 상처받은 말과 삶이 순수하고 예쁘기만 한 말과 사람들을 너머서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