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저 읽다. 읽다나니 이옥은 연경, 담배의 모든 것의 저자이자 문체반정의 원조 조선 지식인이란 걸, 채운은 인상깊게 읽은 재현이란 무엇인가의 저자란 걸 뒤늦게 눈치챈다. 루쉰, 카프카의 글쓰기도 엿볼 수 있어 좋고 이옥이 더 읽고 싶어지게 된다. 밤이 깊어진다. 풀벌레 소리도 또렷해진다.
뱀발. 벽과 치의 시대 18세기 조선 지식인을 정민학자는 책에서 그렇게 말했다. 담배에 꽂힌 이가 이 친구였는데 잊고 있었다. 조금씩 읽다가 반납기한이 닥쳐서 마저 읽다. 참고도서 가운데 많은 부분이 겹쳤다. 사사키 아타루도, 이탁오도 만나
고 아감벤도 만나고 뒷부분으
로 갈수록 이옥의 목소리가 터뜨려져 좋았다. 그렇게 감싸던 루쉰, 카프카의 외로움도, 저자가 소개한 버지니아 울프와 파울첼란도 읽어보고 싶다. 가을에 이렇게 대면하게 되어 외롭지 않을 것 같다. 어서 이옥을 속얘기를 더 듣고 싶다.
읽어야될 책목록으로 넣는다.-- 점심, 근처 도서관에 전집이 있어 날름 빌렸다. 기쁘고 설레이는 온도가 급 상승했다. 주말이 기대된다. 아~~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