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생태론은 어느 날 갑자기 등장한 이론이 아니다. 계몽주의의 이상, 그리고 (1)지난 두 세기의 혁명적 전통이 사회적 생태론의 뿌리다. 사회적 생태론의 사회분석과 목표는 마르크스, 그리고 표트르 크로포트킨 같은 급진 사상가의 이론을 배경으로 한다. 특히 그들 이론에 내재해 있으면서도 충분히 전개되지 않은 아이디어에 근거한다. 또 사회적 생태론은 (2) 1936-37년 스페인 혁명으로 대표되는 과거의 위대한 혁명 유산이 없었다면 불가능한 이론이다. 한편 사회적 생태론은 제 사상의 신자유주의적 개량 내지 구역질나는 온건중도주의의 입장에 서서 역사적 의미를 지닌 좌파 전통을 욕되게 하는 모든 시도를 거부한다. 소위 "포스트모더니즘"과 "탈산업주의" 입장이 그런 행보를 보여왔다. 그리고 "탈유물적" 영성주의는  두말할 것도 없다. 탈유물론적 영성주의는 에코-페미니즘, 라이프스타일 아나키즘, 심층 생태론, 그리고 소위 "사회적 심층 생태론" 내지 "심층 사회 생태론"에 의해 조성되었다."  

 
"지나치게 단순한 이념인 "에코-아나키즘"과는 달리, 사회적 생태론은 친환경적으로 구성된 사회란 (3) 과거로 돌아가는 형태여서는 안 되고 앞으로 전진해야 함을 주장한다. 그래서 사회적 생태론은  전자처럼 원시적 삶, 내핍 생활, 극기 등을 강조하지 않고, 오히려 (4) 물질적 향유와 여유를 강조한다. 사람들이 즐겁게 사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5) 과학기술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사람들이 문명 창조와 정치 활동에 적극 참여하려면 지적, 문화적 자기 계발의 여유가 필요한데, 삶의 이런 여유를 마련하기 위해서도 우리는 기술과 과학을 거부하거나 경시해서는 안된다. 한마디로 행복과 여유 창조를 위해 과학기술을 적극 활용해야 하는 것이다. 사회적 생태론은 배고픔과 물질적 궁핍의 생태학이 아니라 (6) 풍요의 생태학이다. 요약하면, 사회적 생태론은 일정한 계획과 관리의 중요성, 또 민회의 민주적 절차를 통해 만들어진 각종 규율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결코 개인의 이탈행동이나 기행같은 멋대로의 행동을 예찬하지 않는다."

 

 

좀, 따분하죠. 이론적인 글이라 더욱 그렇죠!!! 이래서 지성을 믿으면 안된다나봐요. 그래도 잘 따라오셨잖아요. 중산층, 소부르주아와 함께 가야한다구요. 혹시 당신이 근본 생태주의자라구요. 그럼 더욱 잘 되었군요. 진 녹색이라?? 그렇다면 논쟁까지 마다하시는 건 아니겠죠. 아니면 근본종교주의....그래도 알고 생각 엿들어보는 것도 괜찮겠죠.  북친씨는 이렇게 물었죠. 지구에 인간이 필요없다면 환경만 지키고 필요하다면 인간을 없애는 것이 논리상으로 맞지 않느냐구요. 이런 모순에 빠져드는데 정말 당신의 순수한 열정에 의문을 품어달라고 했죠. 아마 그 책이 Social Remanking 이었죠. 이후 북친씨는 이론과 사상을 좀더 발전시켰다고 하네요. 한번 들어나보죠.

 

첫째 크로포트킨, 둘째 스페인혁명의 아나키즘과 생디칼리스트의 역사적 경험을 풍부하게 수용하는 듯 합니다. 개인적으로는 세번째가 논란이 될 수 있다고 여기는데요. 어떠신지요. '배 위에서 뛰어내려라!"라고 하나요. 잘못 이해했나요. 과거로 돌아가야한다. 모든 관계를 끊자라고 하지 않죠. 엔진을 꺼야한다고 하지 않아요. 네째, 다섯째, 여섯째 과학기술을 적극활용 하여야 된다. 물질적 여유와 풍요의 생태학이라고 하네요. 어때요. 당신이 갖고 있는 논리나 생각틀에서 벗어나나요. 양립할 수 없다구요. 마르크스주의에서 벗어나면 다 꼬리표를 붙이시나요. 아니면 누구에게 물어보셔야 하나요? 그대로 서로가 부합하는지 곰곰이 진중하게 생각해보면 안될까요?


북친씨!  오랜만에 뵈니 잊고 있던 거 있죠. 당신이 민회와 자치를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사실과 매개와 역할로서 과학기술에 대해서 말입니다. 생태론에 대해서도 이견이 많겠죠. 더 많으면 좋을텐데 말이에요. 다음에 조금 더 자세히 물어볼께요. 당신이 생각하는 과학기술하며, 풍요와 여유에 대해서도 말이죠. 조금 흥미로워지나요. 그랬으면 좋겠어요. 천천히 가죠. 오늘 급히 달렸네요. 휴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