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한 페미니즘
벨 훅스 지음, 박정애 옮김 / 큰나(시와시학사) / 200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결혼해서 철든 아줌마들의 푸념식 일상 얘기, 아니면 지극히 학술적인 수준을 넘지 못하는 많은 한국 페미니즘, 아니면 주체를 모호하게 해서 현상만 분석, 지적하고 끝내는 서적에 싫증을 느껴가면서 오히려 열심히 쏟아지는 번역판 서양페미니즘 서적에 거부감이 들었다. 왠지 악을 쓰듯 최후의 발악을 하는 듯한 한국 여자들이 쓴 책과 여유있고, 깊은 성찰에서 나오는 훨씬 성숙해 보이는 그네들의 깊은 맛이 느껴지는 책이 묘한 대조가 되어서 허탈한 마음에 눈물을 짜댄 적도 있었다. 그런데, 이책에서 그 허탈함의 실체가 잡혔다. 바로, "그저 자기가 희생되는 것에 대한 울분과 적의를 풀어놓는" 이 부분. 많은 한국 페미니즘 서적을 읽으며 내가 불편했던 감정이 바로 이 한줄에서 정리가 되었다. 자기 남편과 시부모 앞에서는 풀어내지 못하던 감정을 억누르고 억누르다 그렇게 풀어낸 책들이 불편했던 거다. 물론 결혼한 여자들끼리야 맞아맞아 나도 그래 하면서 맞장구 칠 내용들이겠지만 나로선 감당하기 짜증나는 책들이었다. 물론 그런 책에서도 부분부분 얻을 내용들이 없는 건 아니지만 전체적인 코드는 울분과 분노와 적의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었다는 데에 실망을 하게 되는 거였다. 처음엔 별 개념이 없었지만 언젠가부터 손에 잡히는 여성학관련책에 대한 인상이 이렇게 굳어져 가고 있다.

이것 말고도 내가 그동안 생각해 보지 못했던 부분들까지 이 책에서 의문이 많이 풀렸다.

저자는 어쩌면 그렇게 예리한 지 읽는 내내 가슴에 와닿는, 말그대로 ‘행복한 페미니즘’이었다. 인종문제를 뺀다면 이 책에서 말한 내용들은 한국 페미니즘에서도 역시 고민해야할 문제들이다. 이 책에서 말하는 ‘계급의 차이’가 미국에서는 ‘인종차별’로, 한국에서는 빈부의 계층 문제로 나타난 것뿐, 넓은 의미에서 보면 ‘계급의 차이’라는 점에서는 같다. 한국 페미니즘은 우리 사회 전반적인 구조적 문제를 보지 못하고, ‘여성’이라는 코드만을 읽어내는 우마저 보인다. 여성 자신을 자각하지 않은 채 언제나 남성, 사회, 가부장제 탓이라고만 외쳐대는 페미니즘이 회의가 든다. 여성 자신이 아닌 남성 때문이라는 그 ‘때문에 페미니즘’만 난무하고, ‘(~에도)불구하고 페미니즘’ 즉, 반기를 들지 않았던 여성의 모습을 반성하지 않는 모습에서 한국페미니즘에 별 희망이 없어 보인다. 여성은 피해자이기만 할까? 남성은 가해자이기만 할까? 손뼉은 마주쳐야 소리가 나고, 사랑은 이성이 있어야 이루어지듯 모든 현상은 유기적으로 맞물려 돌아간다. 한국사회가 남자만의 잘못으로 가부장제가 되었다면 도대체 여성은 그동안 어디에 숨어있었단 얘긴가! 스스로 일상에서 성차별과 가부장적 사고방식에 적응해가는 여자들이 오히려 가부장체제를 오히려 더 공고히 했던 건 아닐까? 이 부분에 대한 반성이 없다는 점에서 난 한국여성운동에 관심이 식어버렸다. 여성을 '피해자'로, 남성을 '가해자'로 설정하고 출발하는 페미니즘에선 여성 스스로 가부장적 사고를 체화하고 살아가는 여자야말로 마초에 버금가는 가부장체제를 더욱 공고히 하는 존재라는 점은 고찰 대상이 아니다. 저자의 말대로 성차별적 사고와 행동을 견고하게 유지하는 여자야말로 위협적인 존재라는 점은 남자를 적으로, 가해자로 설정하는 페미니즘에서는 고찰대상이 아닌 것이다. 내가 이런 걸 지적할 때마다 굉장히 불편해 하는 여자들을 많이 보았다. 심지어 남자에게서 들었던 욕보다 더 심한 욕까지 얻어먹은 적도 있다. 페미니스트라고 자부하는 여자의 입에서 나온 “입닥쳐!”라는 말을 어떻게 이해해야할까 몇 해가 지난 지금도 정의내리지 못하고 있다.


주목해 볼 사항이 많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내 관심을 끈 내용은 바로 이 부분이다. 모든 사람들에게 페미니즘을 가르쳐 주는, 대중적 기반의 교육 운동을 창출해 내지 못함으로써 우리는 주류의 가부장제적 매스미디어로 하여금 우리 이웃들에게 페미니즘에 대하여 부정적인 것 일색으로 학습시키도록 방조한 셈이 되었다. 벨 훅스 가 미국 페미니즘을 이렇게 염려했다시피, 모든 사람들의 고민거리가 아닌 페미니스트 그들만의 잔치가 되어버린 한국 페미니즘 역시 이 점에 고민이 필요하다.

벨 훅스는 또 이렇게 말한다. 남자들이 페미니즘의 기치를 들고 가부장제에 도전하는 것은 시급한 과제이다. 지구에서의 삶이 안전성과 지속성을 가지려면 남자들이 페미니즘을 받아들여야 한다. 왜 남자들은 페미니즘이 자신들과는 별개의 문제라고 생각할까? 이 물음이 남자에게만 던져져야한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남자들을 자극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여성이 일상에서 반기를 들지 않고 적당히 타협하면서 적응해 갈 게 아니라 여성 각자가 스스로 깨어나야 한다. 여성은 깨어나지 못하면서 남성을 깨우려는, 남성이 깨어나기를 바라는 건 박자가 맞지 않는 일이니까. 여성의 일상에서 ‘때문에’라는 언어를 거두어내면 여성 자신을 돌아볼 수 있을 것이다. 벨 훅스도 진정한 페미니즘을 실천하려면 자기의 내면화된 성차별주의와 우선적으로 맞닥뜨려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진정한 사랑이란 상대에 대한 인지와 관용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것, 사랑은 인정과 돌봄과 책임과 헌신과 지식을 결합한 것이라는 사실을 우리가 받아들일 때, 우리는 정의가 없는 곳에 사랑이 있을 수 없음을 이해하게 된다. 그러한 이해를 통하여, 사랑은 우리를 변화시킬 힘을 가지고 있으며 우리에게 지배에 반대할 힘을 준다는 사실 또한 이해하게 된다. 그러므로 페미니스트 정치학을 선택하는 것은 사랑하기를 선택하는 일이다라고 말한다. 진짜 사랑을 실천하는 남녀라면 페미니즘을 빼놓고 사랑을 얘기할 수 없다. 나는 여자든 남자든 페미니즘이라는 관문을 통과하지 않은 사람은 진짜 사랑을 모르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저자가 이 책에서 여러번 다룬 ‘페미니즘 이론: 주변에서 중심까지’라는 책이 검색되지 않는 게 좀 아쉽다. 최근에 나온 ‘사랑의 모든 것’이란 책을 읽어봐야겠다. 그리고, 이 책도 당장 주문해야겠다. 원서로 소장하고 싶은데 원서를 구하지 못해 아쉽다. 이 좋은 책을 도서관에서 볼 때마다 그냥 지나치다 이제야 손에 잡은 게 후회가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