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트) 월요일 회의자료를 보내며 중간 싹둑!



편의적 발상인지 모르겠으나,


*주) 기준은 전적인 혼자기준이구 엄밀함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세로는 점수, 가로는 참터활동과 활동반경과 폭에 따른 활동도(Activity)




 




 



 



 



 



 



 



 




 



현재 참터사업과 참터활동으로 나누어서 생각을 덧붙여보면, 참터사업을 만들기위해  사무국, 선전교육, 조직구성을 위한 활발한 활동을 벌인 것으로 보이나 초기 참터만들기에 비해 여전히 참터 본연의 활동은 부족하고, 이에 따른 참터와 회원간의 관계, 회원간의 참터로 인한 친밀도(다른 관계로 인한 내용은 제외함.)는 바닥을 치고 있다고 볼 수 있음. 그간 논의와 준비를 거듭한 참터활동을 보다 잘 하기 위해선 연구과제에 대해 현재 할 수 있는 부분, 자원활동이 진척이 되면 가속할 수 있는 부분, 과제별 유사성에 대한 분석 등 전체적인 과제를 단중장기 과제로 나누어 보아야 할 것 같고, 현재의 회원들이 잘 할 수 있는 부분(정책적인 면이 강하다고 봄. 또한 활동반경이 넓어 간접적인 참여방법을 통해야 할 것으로 봄.그룹핑도 필요함)을 중심으로 우선 진도를 나가야한다고 봄.




교육홍보 겸 대학내 제도화를 위한 활동은 가히 모범적으로 생각함. 노웨어에 대한 부분도 이젠 어느 정도 해결되었다고 봄. 하지만 본격적인 활동을 위한, 과제별 경중분석-과제별 자료조사-회원참여도의 측면에서 보면 여전히 바닥을 치고 땅을 파고 있는 듯함. 현재 수준에서 회원간의 친밀도와 현 회원의 참터에 대한 친밀도를 높이기 위해선 현 회원중심의 모둠 및 의견타진(하시오 말고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을 거쳐 단기과제-중기-장기과제를 다시 생각해봐야 할 것 같음.




그리고 성과가 날 수 있는 작은 일(단기과제)부터 그 일을 좋아하는 회원을 매개로 맡기고 진행을 해보았으면 좋겠음.(AU가 되고, 타과제가 들어오고, 팀구성의 외연을 확대하는 것은 별개의 문제임. 그것은 그때 가서 생각하면 될 것 같음.)




암튼 참터곳간에 무엇이 있는지, 잘 쓸 수 있는 쟁기가 있는지? 같이 쓰면 잘 놀 수 있는 보물이 있는지? 어떤 회원분들끼리 궁합이 맞는지? 참터 활동을 들여다보고 이것을 중심으로 현재 할 수 있는 것과 하고 싶은 것, 먼 훗날의 일들은 냉정히 해부하듯이 분석해내야 한다고 봄. 그리고 현재의 수준에 맞게 일을 모으고 아프지만 나중을 위해 보류할 것은 보따리에 싸서 참터곳간에 쳐 넣어야 한다고 여김.


.................................................................................................................................................



*) 새로 모임이 만들어지고 이제 6개월을 접어든다.  여러 회원들의 헌신적인 동선을 보면 열정과 감동이 서려있다. 하지만 주변의 충고나, 새로운 모임이 출발의 산고만큼 제대로 크려면 갓난아이처럼 손길도 필요할테고,  혼자걷기까지 험난한 세상과 많은 노력이 필요할 것 같다.  시민****센터 이름에 걸맞게 사무국****센터 --> 집행위 ***센터--> 운영위참여연구센터 ---> 회원참여연구센터,  각박하고 험하고 모진 세상에 참여를 이끌어낸다는 것이 무리수일 수 있으나, 어쩌면 참관만 하여도, 아니 후원만 하여도 감지덕일지도 모른다.  과정이나 방법이나 시도자체가 새로 발명이 되지 않으면 요원할지도 모르겠다. 집행위**센터에서 적어도 운*위**센터로 만드는 묘책은 없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