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26 참터-신,이*동,임*성,김*규




헌신해야한다는 판단으로 사무국장일을 하였는데 보다 중요한 것은 무엇을 하고 싶은지? 나에게 맞는 일은 어떤 것인지? 직업이나 생계의 문제가 아니라 활동 가운데 어떠한 일을 하고 싶은지? 여러 부문운동에 관심을 갖는다는 것은 중요하지만, 그 가운데 자신과 잘 맞는 일을 하는 것은 더 중요하지 않을까?라는 희망을 엇갈리며 던졌다.(이상동사무국장의 거취에 관련된 원서제출, 항공연 정책연구 일자리에 대한 고민이 더욱 큰 상태였음. 사무국운영에 다소 부담과 중심의 부재(위원장 출마도)에 곤란을 겪을 것 같은 느낌임. 다소 참터일을 부수적인 일로 보는 것이 아닌가하는 느낌이 들 정도로 이국장은 자신의 진로(활동을 포함한)에 참터의 필요성을 중심에 두고 사고하지는 않음)




“무엇을 하고 싶은지?“가 화두가 되어 목적이 희미한 김지부장은 연신 고민의 빛을 보이고 있고, 불쑥 무엇을 하고 싶은지? 임국장의 질문에, 언중에 보이는 맑시즘과 아직도 하방의 필요성을 이야기하는 것을 들으며 어쩌면 운동의 대의와 노동자의 대의에 너무 충실해서, 그의 원칙적인 성향과 맞아 그 외 다른 운동도 활동의 영역도 보이지 않은 것은 아닐까? 또한 이국장의 헌신코드와 맞아떨어지는데  그 열정만큼 유연하게 활동을 감싸안고 가기엔 너무 부담이 되지 않을까?하는 생각이 든다.




어제 있었던 대학포럼(“21세기 맑시즘은 유효한가?“) 참석이야기를 덧붙이게 되었는데, 스무해전으로 돌아가 선후배의 공간으로 여겨질 정도였고, 맑시즘이 유효한가라는 논의가 전개되기 보다는 혁명과 당파성에 대한 사유에 머무르는 것 같았다. 열정이 많이 바꾸고 바꿔낼 것이지만, 답변에 대답하지 못하면 안될 것 같은 분위기들이 많이 느껴진다.




여전히 활동가와 그 주변의 부채의식이 그리고 생활인과 유격이 더욱더 현실을 제대로 보지 못하게 하는 것은 아닌가? 또 한편으론 부문운동 중심성에 과도한 치우침이 폭 넓고 유연한 사고를 가로막는 것은 아닐까?하는 생각이 올라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