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번, 들어나 보자 토론회

 

먼댓글에 모임과 생각을 잇는다. 시간에 대한 맷집을 갖거나, 시간을 소유할 수 있다는 것은 시간과 공간이 균질하지 않다는 점에서 출발한다. 진보가 시간에 대한 강박을 갖지 않으려면 공간과 시간이 대한민국 땅덩어리가 다 균질하지 않다는 것을 전제한다. 자신이 몸담고 호흡하고 생각의 결을 만질 수 있는 생활의 시공간이 이질적이라는 것을 가정한다.  

 

진보의 문화적 진부함을 되새겨 보자는 것이다.  정치적 사건이 있으면  서울말, 서울평, 서울시선으로 도배될 수 밖에 없는 현실을 좀더 지역말, 지역평, 지역시선으로 진부함보다 진보의 생태에 다양성을 보장할 수 있는 방법은 없는가 하는 점이다.

 

어느 지역에 가령 활동과 몸의 흔적으로 연루된 진보활동 지향하는 사람들이 천명이라고 해보자.  선거로 인해, 선거였거나 과거의 시간을 매듭으로 만나는 공적시간은 늘 있어왔다고 하자. 그리고  나름대로 그룹이나 모둠, 크게 정파라고도 해두자.  아니면 이견이 존재한다는 가정하에 물밑 만남은 있는지 되새겨보자는 것이다. 작고 큰 조직과 정파내외의 사건으로 이런 사적시간을 공유하고 싶어하지 않을 수도 있다. 아니면 지극히 형식적인 의례적인 공적시간을 공유하거나 얼굴조차 대면하고 싶어하지 않을 정도로 서로 꼬리표를 붙이는 것이 현실이 있을 수 있다고 가정하자. 

 

사적인 시간, 비공식적인 만남, 비공식적인 교류는 어떻게 넘나들어야 하는 것일까? 퇴행하는 과거만 부여잡은 것은 아닐까? 그 과거의 시간과 공간만 품고 안아 한발짝도 너-나의 생각이나 고민의 결을 만지거나 , 그 시간이 또 다른 속도로 나아갈 수는 없는 것일까? 몸도 이력도 같은 이들만 만나 생각이나 고민이 한통속이어서 꿈마저 같이 꾸는 것은 아닌가? 정치적인 관계를 떠나 책이나 다른 고민으로 이질적인 만남의 필요성은 느끼고 있을까?

 

시간이 자라거나, 반의식을 공유해 씨앗을 만들 수 있는 것이라면 그 시작점은 어디일까? 계급장떼고 주제에 대해 정세나 정견 접근금지 시키고, 오롯이 당신의 생각을 말하고, 그 말하는 주제가 늘 거시의 정세에만 머무르지 말고, 미시로 거시를 생각하는 연습이 주류를 이룰 것이며, 답은 서울에서 구하거나 연줄을 이용하지 말고, 바로 옆의 다른 정파에게 자문을 구할 것이다라는 사소한 문화적 규칙을 만드는 것이다. 

 

시간은 자기모임을 중심에 놓고  늘 평행선을 달려 늘 이견으로 만날 수 조차 없는 것이 현실은 아닌가? 시간은 철로처럼 평행을 달려 만나지 못하는 것은 아닐까? 어느 한 곳이라도 대화와 토론의 문턱에 "이견과 다양성만 살길" "야野성 존중" "식상한 주제사절" 라고 붙여야 되는 것은 아닐까?

 

 

뱀발.

 

1. 늘 현안으로 만나고, 현안만 이야기하고, 늘 고루한 입장만 웅변하는 것은 아닐까?  사적인 시간은 왜 다른 주제나 다른 생각과 다른 고민으로 접점을 찾지 못할까? 늘 소속단체의 안전과 성장만 이야기해야 되는 것일까? 단체나 모임의 야성이 있는 주체들이 있어야 하고, 안티를 걸고 안티를 수용하는 문화는 만들지 못하는 것일까? 민주주의는 애초 불편하고, 시간이 더디다는 것을 피부로 실감해야 되는 것은 아닐까? 그래야만 불편과 더딤의 그물에서 파닥파닥 거리는 현실을 낚을 수 있고, 제대로 준비될 수 있는 것은 아닐까?  늘 과거의 시간, 옛시간의 뭉침으로 만나는 전우라면 그 전우애가 더 이상 곁과 밖을 보지 못한다는 점도 새겨야 하는 것은 아닌가? 

 

2. 87년체제라는 것이 있다면 오로지 민주만 이야기했고, 97년체제가는 것이 노동을 발화했다면, 그리고 이미 늘 점유와 근거의 폭의 넓혀왔던 자본의 손길을 뒤늦게 깨우치는 상황에서 촛불이 근본적인 정체에 대한 흔듦이라면, 애초 진보는 이 많은 현실을 발판으로 사회문화적 변화를 모색했어야 한다.

 

3. 아직도 정치적 변화만 갈망하고 전념하는 상황이라면 되짚어야 할 것이 많지 않을까? 시간은 만드는 자의 몫이고, 문화도 그 혜택을 누리는자의 몫이라면, 모임과 이견, 농익은 주제를 다변하게 넓히는 능력도 먼저 시작하는 이들이 먼저 가져가는 것은 아닐까?

 

4. 구성하지 않으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어떻게 그럴 수가 라고 말할 수 있겠다. 한치 앞을 내다보이지 않는데...), 문화적 야성과 소수의견을 시간의 자장 안에서 지키려고 하는 습속은, 소수득표에도 의원이 대리하는 정당명부의 문화적 표현이다.

 

5. 10.3%.............3.7% ........추락의 선은 어디일까?  이견을 단다는 것이 분위기도 모르고 손가락질 한다라고 읽히면 어찌할까? 그러면 이렇게 답할까? 사회문화적 저수지에 물이차고 넘치면 수혜를 입는 것은 지금우리만이 아니고 지금여기저기 두루 혜택을 입는 공기나 물과 같은 것이라고... ... 샘물이 너무 마르고, 산에 나무 몇그루없어 물을 가두어둘 수 없다고... 그래서 점점 물이 말라갔다고, 마지막 몇방울 마시나 했더니....조금 나오는가 싶더니 정작 말라버리는 샘물이었다고....그래서 또 나무한그루를 심어야 한다고... ...  여기가 바닥이라고....80년, 90년, 2000년, 2010년....그 숱한 나무들을 진보의 정원에 심지 않고  저기 야생의 정글에 키우고 말았다고...

 

 


댓글(0) 먼댓글(2)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 뻔뻔스러움과 겸손함이 조직과 민주주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from 木筆 2012-08-08 19:02 
    뻔뻔스러움과 겸손함 - 뻔뻔스러움이란 나에게 표출할 의견이 있고 그것을 발언할 권리가 있음을 아는 것이다. 겸손함이란 내가 아는 진리가 언제나 부분적이고 전혀 진리가 아닐 수도 있음을 받아들이는 것이다. 처음 세 개는 겸손함과, 나머지 두 개는 뻔뻔함과 관련 있다. 1. 우리는 이 안에서 모두 함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2. 우리는 다름의 가치를 인정할 줄 알아야 한다. 3. 우리는 생명을 북돋는 방식으로 긴장을 끌어안는 능력을 계발해야 한다.
  2. 행동 없는 사색적 삶은 공허하고 사색 없는 행동적 삶은 맹목이다
    from 木筆 2013-04-18 11:23 
    시간을 나누고 쪼개어서 아무 형체가 없는 원자로 만들어 버렸다. 삶을 쪼개고 나누어서 삶은 없어지고 일의 신민으로 삶은 해체되어 버렸다. 일만 남고 해체되어 버린 자아는 바쁘다. 일의 마수에 걸려 나는 없어졌다. 너도 너에게 삶의 흔적을 발견할 수 없다. 어떤 삶을 살고자하는지 물어보는 것이 겸연쩍다. 일의 마법에 걸려 나는 조바심이 나고 주체를 못한다. 나를 달래주는 것은 아무 생각없이 무의식적으로 손이 가는 팝콘이다. 나는 바빠 어쩔 줄 모른다. 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