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람은 모두 다르다. 다른 것은 인정받고 존중받아야한다. 단하나밖에 없으므로 소중하고 귀하다. 사람으로 대하라. 저기 벌레나 다른 류로 대하지 말라. 소중하고 귀한 것이 아니라 바퀴벌레나 다른 사물로 대하는 순간 사람으로 존엄성은 사라지고 양심도 잃고 불감한다. 가난하므로 나이가 어리므로 나이가 많으므로 장애를 가졌으므로 여성이므로 때문에를 가진 모든 것은 나의 아래있다. 사람답게 살 권리. 누구나 다. 인권은 민주주의를 닮다. 많이 안다고, 지위가 높다고, 나이가 많다고 더 인권과 민주주의의 감수성이 민감하다는 것이 아니다. 머리에 머무르고, 가슴에 잠시 뜨겁다와는 그리 많은 관계가 없다. 인권과 민주주의는 느끼고 깨닫는 것이다. 그리고 그 많은 불편을 먹고 자란다.

#2.

등록금 천만원과 등록금 50만원,80만원, 100만원, 그리고 그 안에 건강보험료와 교통비가 포함되어 있는 현실은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 교육이 기본적인 권리로 내려와 있지 않는 사회는 경제적인 능력의 문제로 환원하고 국가는 꿈적거리지 않는다.

#3.

무방비 상태의 현실과 곤혹함을 이겨내는 방법으로 조직과 공부를 이야기한다. 공부와 생각을 품은 모임만이 현실의 깜깜함을 날카롭게 그을 수 있다. 그 현실의 더 깜깜함이 드러나겠지만 그래도 그 절망의 벽을 얇게 할 수 있는 것은 그것밖에 없다. 선거와 활동, 세상을 조금 얇게하거나 무거움의 더깨가 내려앉지 못하게 하는 방법은 그것밖에 없다. 생각과 고민이 모이고 나눠지지 않으면, 그렇게 날카롭게 선 사람들이 세상을 바꿔간다. 러시아혁명도, 영국의 여성참정권도 3.1운동도 5.4운동도 나비처럼 그렇게 파급효과를 내며 세상을 바꾼다. 미국의 여성운동도 그러하며 흑인 인권운동도 그러하다. 그 뿌리에는 늘 생각하고 고민을 섞고 나누는 흐름이 있다.

#4.

500년왕조가 바뀐 것, 또 다시 절망의 오백년이 되지 않는 것 가운데 하나의 방법은 이것이다. 인권은 서로 가르칠 수 있다. 많고 적음이 아니라 불편하고 아픔을 전달하는 것이다. 너에게서 나의 아픔을 느끼는 것이다. 소비와 자본의 되먹임구조를 허문다. 70만개의 마을공화국을 주장한 간디처럼 자치의 그물망이 있어야 자본은 삶을 점령할 수 없다. 모임도 공부도 불편에 대한 각성으로 이어진다면 이는 또 하나의 작은 마을이다. 국가도 자본도 모임이란 작은 마을들의 권리를 넘볼 수 없도록 서로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  사람답게 살 권리. 네가 내가 갖고 있는 권리를 스스로 서로 주장하는 순간, 불편의 영역을 서로 보증하는 공간이 늘어나는 순간 민주주의는 숨쉴 수 있다.

#5.

인류는 그 숱한 죽음과 악몽을 거쳐 겨우 헌법이란 틀을 만들어냈다. 하지만 그 피를 먹고 자란 사람의 권리에 아랑곳하지 않고, 수족을 칭칭 자본으로 권력의 치안의 경제논리로 칼을 되꼽는다. 모법의 수족은 여전히 사람의 권리란 심장에 칼을 겨눈다. 그리고 그 숱한 악몽과 죽음을 지금도 제조해낸다.

#6.

삶안에 갇혀있는 행복을 추구할 권리. 다른 권리에 예민하지 못한 일상. 불편은 관심도 없고 힘의 자장에 안주하려는 습속.  


 

 

 

 

뱀발.  

1. 인권연대 오창익사무국장의 인권강연을 듣다. 70만개의 마을공화국은 아니더라도 불감은 격리수용하고 생각과 고민이란 프리패스여권이 내왕하는 모임공화국은 어떨까? 이야기의 9할 7푼이 돈이야기인 이땅의 화제근간을 바꿀 다른 무엇이 들어서면 어떨까? 정파공학적 활동관료들의 불감도 격리하고 그래도 불편에 그 사이에 끼여들어 이러면 안돼하고 아프면 안될까? 나누고 바라보고 아파하는 모습, 하고싶은 이야기가 겹친다. 운동의 각질을 벗기는 방법은 무엇일까? 모임의 각질을 벗기는 것은 무엇일까? 끊임없이 저 위의 이야기만 하고 나라를 들었다놓았다하는 비평만의 습속을 어떻게 벗겨낼 수 있을까? 알고 싶어 온 것일까? 느끼고 싶어온 것일까? 저 말잘하는 유명한 강사의 출현으로 기억할까?  

2. 내용을 정리할 겸, 생각을 보태본다. 인권의 끈이 느슨해지지 않으면 좋겠다. 모임의 위신이 아니라 내용에 충실하며 주위의 것을 담을 수는 없을까? 마음도 몸도 이렇게 얽혔는데 조금 생각이나 현실의 진도는 나가볼 수 없는 것일까? 

---당신의 인권감수성 지수는 얼마나 될까요?

3. 조직이란 단어와 운동이란 용어가 몸에 맞지 않는다. 업계라는 동질감도 낯설어 하지만 남성성이 강한 용어는 강직하긴 하지만 별반 영양가가 높지 않다. 모임이나 활동으로 딴지를 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