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들어진 동백꽃은 그래도 핀다.(ing)

 

  

 

 

 

 

 

 


잡감.  이책에서 지식인들에 대한 비판의 강도가 더 세다. 한차례 아렌트란 유행에 동반한 전력이 있었구. 책세상에서 나온 문고판이 인상적이어서 저자의 동선이 무척이나 궁금했던 적이 있다.

나같은 날림독서는 개념에 천착하기보다는 알랑미처럼 앎을 부유하게 하는 재주밖에 없어 건망하기 쉽상이다. 벌써 지운 듯 기억이 아련하다. 그래도 요약을 잘 해주거나 대학자의 능력으로 인해 쫓아가기가 그리 힘들지 않다. 이 책 역시 제목이 약하다 싶다. 누가 토크빌과 아렌트를 읽었다하는가? 학자들이여 지금이라도  민주주의와 활동적인 삶(인간의 조건)을  다시 당신의 연구에 끌여들려라라고 해야되는 것은 아닐지?(더 순한 표현인가?)  

아무튼 왜 우리가 동물의 삶을 살아낼 수밖에 없는가에 대한 아렌트의 고찰, 그리고 좀더 나은 민주주의에 대한 연구(프랑스의 토크빌이 26세의 나이에 9개월동안 미국에서 체류한 흔적이라 한다.)이다. 그점을 학자의 틀에 쑤셔넣는 것이 아니라 지금이란 현실에 삶에, 인간의 조건이란 맥락으로 다시 드러내어 놓는다.

읽으며 선거때만 자유만 있는 현실과, 그리스의 좋은 삶, 인간적인 삶, 정치에 대한 부분, 자본에 묻힐 수밖에 없어 생각도 꿈도 무한궤도에 장착될 수밖에 없고, 결코 다른 것을 꿈꾸지도 생각지도 못하는 생각의 감옥을 경험한다.

더구나 토크빌이 말한 결사학(학문이라 표현을 쓴다.) 대의민주주의로 매장당한 지금. 학문의 발전은 결사학의 진보에 달려있다는 그의 말은 150여년이 지난 지금 다른 울림을 가져온다 싶다.

고매한 야심도 찾아보기 힘드는 현실, 돈을 벌기위해 초조해져 아무것도 볼 수 없는 현실, 행복의 노예이자 정신의 노예란 지적이 먼나라 이야기가 아니다. 작금의 현실과 다를 것이 없어보인다. 그래서 그의 시선은 날카롭고 깊이가 있다. 문제는 아직도 그의 시선을 잇는 이가 나올 수 없다는 점이다.
 

뱀발.  

1. 아렌트의 흔적을 가르키는대로 쫓아가니 그 결이 깊고도 넓다. 그것을 다 중동내고 편취만 하려했나보다. 그래서 안내글이 필요한 듯싶다. 에둘러가기엔 벅차고 힘들고, 이렇게 돌아와보면 맥이 빠지는 경우가 많으니, 앎-삶의 안내자가 있으면 좋겠다 싶다. 그래서 좋은 선생을 찾기 마련이지만... ...독학의 어려움이 크다. 

2. 물론 두분다 그리스의 고수이다. 전 페이퍼처럼 그리스인의 삶에서 다시 시작한다. 그러니 명민해져야 할 부분, 세밀하게 보아야할 부분이 거기인 셈이다. 왜곡을 걷어내고 사회와 삶을 장착시켜 다시보는 맛도 쏠쏠하지 않을까? 피가되고 살이 되는... ... 

>> 결사에 대한 토크빌의 생각 (쿡!)----->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