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닷내음도 보름을 바라보는 달도 은은하다. 잔잔한 수평선은 얇은 물결로 달을 품어 어른거린다. 아른거리는 달을 감싸면서 치어들이 떼를 지어 노니는 것도 둥글다. 모둠모둠 둥글게 동그랗게 연못같은 보행교에 주위에 핀 파래줄기 곁을 맴돈다.
깜박이는 불빛들. 별빛들. 촘촘히 박힌 배들을 안고 있는 둥근 바닷가를 거닌다. 그렇게 거닐다 벌써 시들해진 동백꽃 주위를 맴돈다.





뱀발.
1.
* 우리의 고전읽기가 왜곡되었다면, 우리의 인문이란 것이 왜라고 묻지도 않고 지금에 대한 견해도 없어 전혀 다른 곳을 가르킨다면, 정작 왜 책을 번역하는지, 번역했는지? 지금과 아무런 비교도 없고 그저 유행에 따라 번역만 기계처럼 하는 것이라면?
** 그들이 말한 이백년전의 일들의 반추가 눈을 가리고 지금을 되새길 수 없는 능력을 갖고 몸이 시키는대로 한 일밖에 없는 것이 인문학자의 소명이라면?
*** 책들 사이를 맴돈다. 그들이 이백년 뒤라는 시점에 나는 서있고, 그들이 이백년 전이라는 지점에 서있다. 그들의 생각에 난 반론을 펼 수도 없으며, 그들의 열린 마음과 상상력, 현실을 짚어내는 놀라운 시선에 지금은 자꾸 끼어드는 것이다. 별반 달라지지도 않고 점점 단단해지는 키틴질의 각질을 느낄 수 밖에 없는 현실 속에 있음을 그들의 시선으로 확인한다.
**** 생각의 각질을 벗겨내려는 노력에도 인문의 무지는 응답이 없다. 나의 전공이 아니므로 나는 알 수 없다. 응답할 수 없다.
2.
* 책은 사치품이었는지도 모르겠다. 지식도 그러할 것이고, 기껏 돈의 자양분으로 쓰이거나 삶의 언덕에도 가보지 못하고 중도에 폐기될 위기에 처하거나...
** 처세 경영서적도 이젠 막바지에 다다른 것일까? 발라낸 개인의 영역을 넘어서 이제 개인을 문화와 역사적 맥락에 착근시킨다. 하지만 돈에 경도되거나 성공에 경도된 이들은 아마 자신의 삶과 지금에 뿌리내리지 않을 것이다. 십중팔구. 비틀어읽기는 끊이지 않을 것이기에...
*** 파란여우님의 책도, 방법이나 기술에 시선에 고정시킨 이라면 삶에 녹이려 부단히 애쓴 몸의 흔적이 별반 읽히지 않을 우려가 있다. 그 많은 책들을 연결시키는 행간을 읽으려는 노력은 고사하고...
3.
이렇게 맴도는 것이 맴도는 쳇바퀴를 벗어날 수 있을까? 그 각질의 벗겨낼 수 있을까? 그 허물을 벗겨낼 수 있을까? 어쩌면 삶이란 희망도 삶의 몸의 흔적, 상채기가, 각인이 박히지 않는다면, 벗어날 수 없는 것인지도 모른다. 생각도 끊임없이 그 배회를 넘어서지 못할테니, 삶도 그 배회를 넘어서지 못할테니 말이다. 발라낸 개인으로 어림도 없는 일일 수 있다. 아마 너
4.
시들어진 동백꽃은 그래도 핀다. 겨울내내. 아마 그러면 각질이나 허물은 점점 흐물흐물해질 것이다.란 희망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