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채호 1925 동아일보 [낭객의 신년만필]- 도덕과 주의가 이해利害에서 났느냐 시비是非에서 났느냐

"그것은 이해에서 나왔다. 그러므로 인류는 이해의 문제뿐이다. 이해 문제를 위해 석가도 나고 공자도 나고 예수도 나고 마르크스도 나고 크로포트킨도 났다."

신채호는 이해관계의 표준이 시대와 나라에 따라 다르므로, 절대적인 보편성은 없다고 했다. "중국의 석가가 인도와 다르며, 일본의 공자가 중국과 다르며, 마르크스도 카우츠키의 마르크스와 레닌의 마르크스와 중국이나 일본의 마르크스가 다 다름이다."는 것이다. 이처럼 시대와 지역에 따른 사상의 변용을 당연한 현상으로 인정한 신채호는 조선은 예외라며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

"우리 조선 사람은 매양 이해 이외에서 진리를 찾으려 하므로, 석가가 들어오면 조선의 석가가 되지 않고 석가의 조선이 되며, 공자가 들어오면 조선의 공자가 되지 않고 공자의 조선이 되며, 무슨 주의가 들어와도 조선의 주의가 되지 않고 주의의 조선이 되려 한다. 그리하여 도덕과 주의를 위하는 조선은 있고, 조선을 위하는 도덕과 주의는 없다. 아! 이것이 조선의 특색이냐, 특색이라면 특색이나 노예의 특색이다. 나는 조선의 도덕과 조선의 주의를 위하여 곡하려 한다." 

뱀발. 책을 보다나니 신채호의 [아나키즘과 역사학]이란 문단글이 눈길을 끈다. 노신의 [왔다]병과 같은 지적처럼 제도권안밖의 경도된 주의자로 인해 현실을 유연하게 볼 수 없는 것은 아닌가 한다. 그 주의 복속시키려는 시도는 특색이지만 노예의 특색이란 말이다. 시비의 문제가 아니라 이해의 문제로 보려는 노력이 중요한 것은 아닌가 싶다. 한 평생 베개처럼 끼고자고 해서 시비도 가리지 못하고 이해에 도움도 되지 않는 것은 아닐까? 인문학도 좋지만 경도되는 모습은 애초 하지 않는 것보다 못할지도 모른다. 모르는 것이 약이다처럼 말이다.  

최소한 이러한 레떼르는 벗어나는 것이 제도권 밖의 인문학은 아닐까? 벗겨내야하는 것이 시대의 소명은 아닐까? 설령 지적 유희를 넘어서 가슴 속에 이런 주의를 웅숭그려 품고 섬기고 있는 것은 아닌지 의심해보아야 한다. 대단하다 대단하다 해서 대단한 것이 아니라 대단하지 않다는 것, 주의를 가지고 별반 해볼 것이 많지 않다는 것.-외려 주의의 연대에 고심해보려는 것이 그래도 조금은 나은 선택은 아닐런지. 

-노신의 글:묘하게도 겹치네요.-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qualia 2009-09-17 10: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이것이 조선의 특색이냐, 특색이라면 특색이나 노예의 특색이다. 나는 조선의 도덕과 조선의 주의를 위하여 곡하려 한다.》

신채호 선생은 제가 가장 존경하는 분 가운데 한 분이십니다.
우리가, 우리 민족이 노예였다는 신채호 선생의 처절한 자각...
저는 큰 충격과 감명을 받습니다.
그런 노예의 굴종과 비겁을 떨치고 민족의 자존을 위해 끝까지 죽음으로 항거하고 투쟁한 신채호 선생의 삶과 정신...
저는 흠모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여울 2009-09-17 23:59   좋아요 0 | URL
단재선생의 흐름을 되짚어보고 싶네요. 아직 문밖이라..깊이나 말씀에 배인 강직이 각별합니다. 고마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