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채호 1925 동아일보 [낭객의 신년만필]- 도덕과 주의가 이해利害에서 났느냐 시비是非에서 났느냐
"그것은 이해에서 나왔다. 그러므로 인류는 이해의 문제뿐이다. 이해 문제를 위해 석가도 나고 공자도 나고 예수도 나고 마르크스도 나고 크로포트킨도 났다."
신채호는 이해관계의 표준이 시대와 나라에 따라 다르므로, 절대적인 보편성은 없다고 했다. "중국의 석가가 인도와 다르며, 일본의 공자가 중국과 다르며, 마르크스도 카우츠키의 마르크스와 레닌의 마르크스와 중국이나 일본의 마르크스가 다 다름이다."는 것이다. 이처럼 시대와 지역에 따른 사상의 변용을 당연한 현상으로 인정한 신채호는 조선은 예외라며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
"우리 조선 사람은 매양 이해 이외에서 진리를 찾으려 하므로, 석가가 들어오면 조선의 석가가 되지 않고 석가의 조선이 되며, 공자가 들어오면 조선의 공자가 되지 않고 공자의 조선이 되며, 무슨 주의가 들어와도 조선의 주의가 되지 않고 주의의 조선이 되려 한다. 그리하여 도덕과 주의를 위하는 조선은 있고, 조선을 위하는 도덕과 주의는 없다. 아! 이것이 조선의 특색이냐, 특색이라면 특색이나 노예의 특색이다. 나는 조선의 도덕과 조선의 주의를 위하여 곡하려 한다."
뱀발. 책을 보다나니 신채호의 [아나키즘과 역사학]이란 문단글이 눈길을 끈다. 노신의 [왔다]병과 같은 지적처럼 제도권안밖의 경도된 주의자로 인해 현실을 유연하게 볼 수 없는 것은 아닌가 한다. 그 주의 복속시키려는 시도는 특색이지만 노예의 특색이란 말이다. 시비의 문제가 아니라 이해의 문제로 보려는 노력이 중요한 것은 아닌가 싶다. 한 평생 베개처럼 끼고자고 해서 시비도 가리지 못하고 이해에 도움도 되지 않는 것은 아닐까? 인문학도 좋지만 경도되는 모습은 애초 하지 않는 것보다 못할지도 모른다. 모르는 것이 약이다처럼 말이다.
최소한 이러한 레떼르는 벗어나는 것이 제도권 밖의 인문학은 아닐까? 벗겨내야하는 것이 시대의 소명은 아닐까? 설령 지적 유희를 넘어서 가슴 속에 이런 주의를 웅숭그려 품고 섬기고 있는 것은 아닌지 의심해보아야 한다. 대단하다 대단하다 해서 대단한 것이 아니라 대단하지 않다는 것, 주의를 가지고 별반 해볼 것이 많지 않다는 것.-외려 주의의 연대에 고심해보려는 것이 그래도 조금은 나은 선택은 아닐런지.
-노신의 글:묘하게도 겹치네요.-
1.
"만약 공자나 석가나 예수 그리스도가 아직도 살아 있다면 그 교도들은 당황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그들의 행위에 대해 교주 선생이 얼마나 개탄할지 모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만약 살아있다면 박해받을 수밖에 없다. 위대한 인물이 화석이 되고 사람들이 그를 위인이라고 일컫는 때가 오면 그는 이미 허수아비로 변해 있다. 어떤 종류의 사람들이 말하는 위대함과 왜소함은 그들이 그사람을 이용할 때의 효과의 대소를 뜻한다. " 는 가시없는 장미는 없다. 그러나 장미 없는 가시는 많다.로 시작되는 [꽃없는 장미]의 한구절이다.
2.
[성무,(무공이 있는 황제)] - " 새로운 주의의 선전자를 가령 점화하는 사람으로 본다고 하면 상대방에게 정신적인 연료가 있어야만 불이 붙여진다....중국인에게 그런 대목이 없다. 그렇기 때문에 관계가 생겨나지 않는다. 중국 역사의 정수 속에는 실제로 어떤 사상도 어떤 주의도 포함되어 있지 않다. 그 정수는 다만 두가지 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칼과 불이다. 그리고 [왔다]가 총칭이다. 불이 북에서 오면 남으로 달아난다. 칼이 앞에서 오면 뒤로 물러난다....다른 나라를 보라. 거기서는 [왔다]에 저항한 자야말로 주의를 가진 인민이었다. 그들은 자기가 믿는 주의를 위해 다른 일체의 것을 희생하고 뼈와 살로써 상대방의 칼날을 무디게 했고 피를 쏟아 불길을 껐다. 칼과 불의 눈부신 색깔이 사라져갔을 때 비로소 밝아오는 하늘이 바라다 보였다. 그것이 새로운 세기의 서광이었다.
서광이 머리 위에 있어도 위를 쳐다보지 않으면 영원히 물질의 섬광만이 눈에 비칠 뿐이다."
|
<< 펼친 부분 접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