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일 어느 블로거가 이미 얻은 권리들을 포기하고 생계마저 막연한 마을로 돌아갔다고 치자. 그리고 그 블로거의 마음이나 삶과 고민이 배여나는 글들과 생활을 고스란히 느낀다고 치자. 가장도 아니고 과장도 아니고 그런 삶이 현실에서 가능할까 하는 의구심도 들겠지만, 숲과 현실에서 겪는 아픔과 슬픔, 기쁨을 귀동냥 마음동냥할 수 있다면, 한번쯤 아니 사회단체에 후원하는 것도 좋겠지만, 서툰 생각은 그(녀)의 삶에 회비 한점내는 것은 어떨까? 

슬그머니 회비라는 것이 그 파릇파릇 노릇노릇한 것이 아니라 - 최저생계가 환산되는 것인지 모르겠지만  - 조금 더 다른 관계의 시도는 어떨까? 밋밋하거나 그 줄타는 경계가 아니라, 당당한 밥 한점은 어떤가?  삶에 후원계좌를 만드는 일은 어떤가? 그렇다면 가상의 공간을 만들어내어 앵벌이하는 일도 생길까? 어떤 세상인데 가당찮은 생각을 하느냐구 핀잔을 받을까?  

그렇게 하는 것이 호혜일까? 간섭일까? 의도된 삶으로 살아질 우려는 없는가? 현실은 그 조건에 맞게 어떻게되든 개척해나가야 하는 것일가? 어렵고 힘든 삶이 하나 둘 있는 것도 아닌데, 그것이 경중이나 논리에 맞는 것이냐구 핀잔을 또 받는 일이 될까? 그러면 기간이 정해진 삶은 어떨까? (무슨 기획서도 아니고 삶을 흥정하다니??!!), 아니 순수한 의도를 좀더 넓혀보자. 이렇게 살아볼테니, 나의 삶에 후원을 하자고 한번 당당해볼 수 있을까? 당당한 삶의 경로와 맥락을 맛볼 수 있을 것이니, 그 삶의 숲에 딸린 떳떳함의 그늘을 함께 나누자고, 비단 돈만이 아니라 표시나지 않는 선물, 생활의 경계선은 만족시킨다는 가정하에 진도는 나가볼 수 없을까? 

모든 물건이 서로의 관계로 물들일 때, 그 선물이 맥락을 온전히 함유한 채, 다른 삶의 자원자에게 넘어갈 수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