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상이 뭔가 이상한 것 같아요. 어떻게 된 것인지? 활자중독도 아니고 도통 온몸으로 말해도 믿지를 않는군요. 어디어디 기획서나 활자로 된 것이나, 활자로된 개념으로 시작한 유행만 믿을 뿐, 도처에 문자중독의 연원은 어디일까요? 주부들의 언어와 아이들의 언어는 속도와 이해도 달리합니다. 아이들이 골치아픈 설명을 믿던가요?  그래요. 판단을 내리거나 결정을 내리거나 하는 위치는 그 뿌리에 근본적으로 치열한 아픔이나 고통이나 현실과 하고자하는 차이에 발생하는 것을 설명할 길이 없군요. 그 길로 가면 결코 잘 되지 않는다고 설명할 길이 없군요. 그들의 결정의 칼자루에는 보이는 것만 필요할 뿐 보이지 않는 것은 눈을 가리게 만드는군요.

** 우린 르네상스와 중세-고대(부활한 고대가 아니라)에 서열을 매기고 있죠. 르네상스형 인간의 개념을 부각합니다. 그리고 중세가 얼마나 암담했을까라고 르네상스의 시선에서 바라봅니다. 그런데 이를 서열이 아니라 변화에 관점에서 보면 어떨까요? 어떤 점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어떤 변화가 어디에서 연유했는지? 그 변화가 필연적으로 가져오는 것은 어떤 것인지? 이 방향성에 촛점을 두는 것입니다. 이게좋다 저게좋다라고 근거를 갖다붙이지 않는거죠.

** 그래요. 그 관점. 아니 말을 잘못했군요. 그 방향성을 엄밀하게 음미하는 것입니다. 쿠텐베르크의 인쇄술. 성서를 누구나 다 읽을 수 있다는 사실. 종교개혁의 시작. 그 인쇄술의 문자문화와 이전의 필사문화의 경계선. 인쇄보다 조금 먼저 시작한 것은 판화의 복사. 복제개념.

** 시각에 우선권을 부여한다는 사실은, 어쩌면 청각과 촉각으로 인지하거나 그 영역내에 판단하거나 알 수 있는 많은 것을 잃어버리게 할 수 있답니다.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은 모두가 인간을 향해 있던 것을 역으로 인간을 저 변두리로 몰아버렸다는 사실은 동어반복입니다. 그런데 우리는 지동설만 기억할 뿐. 인간이 저 변두리로 쫓겨난 것을 이야기하지 않죠.

** 이런 시선에 관점에 그 놀라운 통찰로 논증. 아니 논증이 아니라 놀라운 수사를 합니다. 스콜라철학의 대화로 이끌어냅니다. 구어와 문어의 간극. 문어가 기승전결의 단 하나의 주제로 묶어던지지만, 그는 하나 하나 구어로 당신의 심장을 투시하고 있습니다. 르네상스 인쇄술의 발달은 독서에도 변화를 일으킵니다. 균질하지 않은 시간과 공간을 균질하게 합니다. 묵독의 역사는 그렇게 오래되지 않습니다. 이렇게 시각 올인은 그 변화를 부족사회의 모든 균질하지 않은 공간을 변화시킵니다. 과학을 예술과 철학에서 떼어내고, 경제를 떼어내고 획일화의 작업은 비단 짧은 역사가 아닙니다.

** 기억력이 좋으시나요. 집전화번호 마저 외울 수 없게 된 것은 아닐까요? 찰라처럼 지나치는 모든 것에 당신의 불감은 어떠한가요? 그렇게 떳떳하게 마음에서 감정을 떼어내고, 감각을 떼어내 불감하게 된 연유의 뿌리를 찾을 수 있다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그의 생각을 선형으로 이해하거나 획일화시킨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울지 모른답니다. 그 생각의 시작과 이야기의 뿌리는 여기에서 시작한답니다. 늘 그렇듯이 해설서 읽지 마시고, 평전 읽지 마시고, 원전에서 시작하세요. 늘 원전이 쉽답니다. 어쩌면 이것도 구어와 문어의 차이일지도 모르지요.

** 만약, 그런 변화의 관점에서 서로 이해할 수 있다면 어떡하죠. 사람은 인간은 그렇게 필연적으로 수반한 것이 그렇다면, 오감이나 육감, 혹 입체적인 판단이나, 그렇게 잔인하게 생긴 불감증을 회복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 거죠. 그렇게 깊숙히 파헤치고 들어갔으니 아마 그점때문에 고민의 길을 내었는지도 모릅니다. 역사책들은 그것을 이야기해주지 않는데, 음 주변은 그 이야기를 해주네요. 괜히 횡재한 느낌이네요. 세익스피어와 세르반테스의 돈키호테가 왜 그런지도 어슴프레 이해가 되는 것 같아요.

** 이분법의 연원이 어디일까요? 삼차원의 인식과 이차원의 인식의 우열이 있을까요? 삼차원이 더 입체적으로 볼 수 있다구요? 그래요 볼 수 있을뿐일지 몰라요! 볼 수 있을뿐 느낄 줄을 모르죠. 이차원이 하등이라구요. 이차원에서 공간이 균질하지 않습니다. 3차원은 균질하여 모두가 똑같다라고 하여 볼 수 있지만, 이차원은 모든 공간이 다릅니다. 그 공간과 공간 사이를 사유하고 잇고 늘리고 서로의 관계에서 인식할 수밖에 없습니다. 부족사회가 문자가 없는 원시부족사회가 미련하다구요. 비논리적이라구요. 어쩌면 철저히 논리적이고 총체적인식 접근해있습니다. 미래를 장미빛으로 여기는 섣부른 논리보다 더욱 현실적이고 현실을 타개하려는 면에서 적확하고 서로의 간극을 인정하지 않을정도로 함께봅니다. 과거와 지금을 말입니다.

** 조금 진도가 더 나갔네요. 개인주의, 자본주의, 그리고 다른 무엇을 생각하기에 그의 방향성에 대한 고민과 근거는 현란할 정도인 것 같습니다. 절반의 강독으로 어줍잖은 이야기를 해서 미안합니다만 저에겐 이것만으로도 충격입니다. 홀로주체나 그 서양철학의 나르시시즘의 출발점에도 관심있는 분이라면 한번 시도해보시기 바랍니다. 손해보지는 않을 것 같아요. 알라디너의 흔적이 전혀없어 이렇게 강추해봅니다.
 

>> 접힌 부분 펼치기 >>

 


댓글(0) 먼댓글(1)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만약
    from 木筆 2009-03-13 16:03 
    맥루한이 니클라스 루만과 만났다면 무슨 이야기를 했을지 궁금해집니다.(만났나요???) 그리고 극찬을 마다않는 토크빌과 만났다면 이 세상을 나누며 무어라고 했을까? 물구나무선 사유를 하게 만들거나, 그 변화의 무한증식구조(이분법)에 대해 어떤 이야기를 나누었을까? 활자인간으로 변화가 가져오는 심리학과 정치학의 구조에 예민했던 토크빌과 어떤 이야기를 나눌까? 전복적인 사고치고는 무척이나 구체적이어서(제가 중세와 르네상스를 너무나 기계적으로 알고 있던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