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돈, 혼란 그리고 즐거우 ㅁ(作)
혼돈.
정치, 원정치,초정치,정치적인 것
불화,잘못
서발턴은 말할 수 있는가? 없는가?
자본의 관계에 대한 재정의
미학과 정치
민주주의에 대한 증오, 평등
말없는 말 토대가 상부구조를 결정한다 규정한다 계급?
언어의 순환구조, 학문의 완결욕망
과학의 자충수
혼란.
누구는 말한다. 자본의 순환고리에서 소비의 고리를 끊으면 세상이 바뀔 수 있다고, 소비자가 할 수 있는 일이, 누구는 말한다 혁명이 가능하다고 헤겔과 칸트가 다시 필요하다고, 누구는 말한다. 프로이트는 근본이 잘못되었다고, 그리고 거기에서 출발한 과학은 거기에서 토대를 쌓았으므로 무효하고. 누구는 말한다. 겨우존재하는자는 말할 수 없다고, 그 전유로 인해, 여전히 겨우존재하는 자를 위해 할 수 있는 것은 별반없다고. 그리고 삼중고-사중고로 응축되는 지점을 응시해야된다고. 누구는 말한다 나는 안다와 나는 할 수 없다라는 정식에서 출발한 어떤 것도 실패할 수밖에 없다고. 누구는 말한다 자본의 생산고리를 끊으면 세상이 바뀔 수 있다고.
그리고 지금까지 개념으로 존재한 모든 언어의 장벽에 대해 의심한다. 정치,경제,사회,문화, 예술,도덕,종교.... ...민주주의... ...
정치는 별반할 수 있는 것이 없다고 한다. 정치적인 것의 귀환을 이야기한다. 예술은 현실의 바다에서 빠져나와 현실을 이야기하지 않지만, 현실의 이야기할 수 있다고 한다. 문학은 현실의 바다에서 빠져나왔지만, 문학의 종언만은 아니라고 한다. 누군가는 이야기한다. 원자화된 개인주의화된 민주주주의는 아무것도 할 수 없다고....
겨우존재하는 것을 다룰 수 있다고 한다. 정치적주체들이 이런 것을 공동체의 미학으로 변형시키는 것. 이것이 평등이라고. 사회학을 복원시키고 ,정치를 복원시키고, 윤리를 복원시키고 또 다시 학문을 관통하며 자유롭게 사유하고 만들고 하는 흐름의 맥락을 잡을 수 있으면 좋으련만... ...
즐거우?? ㅁ
학문적맥락이 어떻게 손을 잡고, 어떤 곳에 뿌리를 내리고 합종연횡하는지? 쌓아놓은 단어들. 개념이 좌불안석이라는 것만 알겠다. 하나를 흔들면, 그로인해 단단하게 여겼졌던, 결코 넘지 못할 것이라 여겼던 상상력은 비집고 나온다. 언어에 의해 구축된 세계는 또 다른 언어를 낳고 그 말로 인해 사유의 체계가 흔들리고 있다는 것은 느끼겠다. 하지만 누가 옳은지는 관심밖이다. 어느 나라에서 어디까지 학문의 진전이 있었는지? 그로 인해 어떻게 만들어져가는지가 몹시 궁금하다. 그리고 그 새로운 것을 소개하는 분들(역할이 따로 있는 것은 아니겠지만)의 용어가 처음이 낯선것은 이해하겠는데. 여기저기 다 다르다. 기둥을 나타내는 개념이 흔들흔들하니 뒤만 돌아서면 낯설다. 입문을 하기가 이렇게 어려운 것일까?
스피박-랑시에르-울리히벡-루만-김우창 이 만난다. 당연한 것을 당연한 것으로 여기지 않는다는 점에서... ... 지젝-라이히-고진....또 다른 설계...
뱀발.
모임이 겹쳐 일요일만 온전한 시간을 쓰다
읽은 책 
읽는 책



>> 접힌 부분 펼치기 >>
메모 <감성의 분할> : 정치가 아니라 정치적인 것을 이야기하는 프랑스 학자의 흐름은 맑스정치경제학을 인정하면서. 발리바르, 랑시에르, 바디우, 라클라우-무페. 랑시에르는 알튀세르의 교훈(1974)에서 알튀세르란 장벽을 넘어서는데, 사유하기를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사유하려는 욕망을 자극하는 것이라 한다. 부르디외나 기존의 학자들이 전자의 유형에 머무르고 있음을 질타한다.
90년에 있던 무직자운동 시위(우리는 과잉이 아니라 잉여다), 무직 미혼모, 독일 유태인 등 기존의 식별 분류 틀에 이의를 제기함으로써 정치적 계쟁의 사례를 만들어내는 것이 필요하다고 한다. 불화논리-치안논리(상식적으로 생각하는 개념을 넘어선다.) 특이한 것은 평등이란 개념을 잘못(이것 역시 다른 개념임)을 다룸으로 정치적 주체들이 공동체의 미학좌표를 변형시키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러한 것이 평등개념이라고 재규정짓는 것 같다.
정치역시 원정치, 초정치, 메타정치로 재규정한다. 정치 이후로의 경향은 배제된 타자를 순수 악으로 귀환하는(홀로코스트처럼) 경향이 있어 , 더 강독해야하겠지만 아방가르드나 공동체의 미학좌표를 변형시키는 제반 시도에 대한 언급을 하는 것 같다. 정치라는 개념 역시 불화논리를 치안논리에 대립시키는 해방이라는 무질서적 과정으로 보고있다.
나는 안다/ 나는 할 수 없다가 이런 해방과정을 가로막는 적이라 하고 충분히 방법이나 과정을 달리하여 열외자를 정치적인 것으로 귀환시킬 수 있으며, 사유하려는 욕망을 자극하는- 지식과 교육은 누군가가 주는 것이 아니라 자기스스로 취하는 자유같은 것으로 규정- 방법으로 연속적인 과정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 같다.
언급된 책들은 다음과 같다.
1981 프로레타리아들의 밤 1983 평민철학자 1987 무지한 교사 1990 인민의 나라에의 짦은 여행들(계급들의 혼합을 언급) 1990 정치적인 것의 가장자리에서 1995 불화 1992 역사의 이름들 1996 말라르메 1998 말없는 말 1998 단어의 시초 2005 단어들의 공간 2007 문학의 정치
<< 펼친 부분 접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