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56 애니메이션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벤야민이 잘 알고 있었듯 계급화된 쾌락의 양태와 문화적 전파 기술을 공부하게 된다. 벤야민은 <기술 복제 시대의 예술작품>의 초기 판본에서 디즈니의 새로운 애니메이션 기술에 특별한 자리를 할당한 바 있다. “디즈니의 만화 세계는 빈곤과 가학성과 폭력의 세계다. 다시 말해, 그것이 우리의 세계다.”
146 <내 차 봤냐?>에서는 망각과 멍청함이 결합해 대안적 인식 양태를 생산하는데, 그것은 기억 프로젝트의 실증주의에 저항하고, 생각의 전승을 이해하기 위한 이성애적, 오이디푸스적 논리를 거부한다. 영화의 두 녀석은 (아무 데나 똥오줌을 싸고, 누군가가 먹이고 돌봐주어야 한다는 점에서) 유아적이지만 양육자가 없고, 아버지나 어머니(하지만 아마도 아버지)로부터 아들로 전해 내려오는 지혜가 부재한 탓에, 발전과 진보, 학습을 가로막으리라 예상되는 또래 관계에서 배운다.
148 기억과 망각에 관해 다르게 생각해보고 싶다는 말은 사실상 우리가 진보와 성과를 표시하는 데 사용하곤 하는 불가피하고 유기체적인 듯 보이는 모델에 대한 대안을 찾아야 한다는 뜻이며, 변화가 어떻게 일어나는지, 일어난 적은 있는지 주의 깊게 봐야 한다는 뜻이다. 우리는 어떻게 변화를 확인하고 알아차리는가? 변화가 모든 것을 끝장냈다거나(죽음) 변화가 아무 의미 없는 것이었다고(근본적으로 바뀌지 않음) 말하지 않고서 그것을 알아차리는 게 가능할까? 옛것을 버리지 않고서 새것을 알아차릴 수 있을까? 시간과 변혁의 여러 구조를 동시에 고수할 수 있을까?
150 자신을 스스로 돌볼 수 없을 때 우리는 누구에게 의탁할까? 사회보장제도가 축소되거나 사라지고 직장이 연금 기금을 삭감한다면, 더는 일하지 못하게 됐을 때 우리는 어떻게 될까? 이런 각본에서 가족은 경제적 안정이 공공에서 사적 네트워크로 이동하는 가운데 유일한 자원이 되면서 새롭게 중요성을 갖게 된다. 두건과 킴은 게이 레즈비언 활동가들이 혼인권 요구에 매달리기보다 가구 구성의 다양성을 인정하는 다른 진보적 가치들을 주장해야 한다고 제언한다.(대안적 친족관계)
166 도리는 니모의 어머니 대리자도 말린의 새 아내도 아니고, 그들 중 누구와의 관계도 기억을 못하며, 따라서 기꺼이 5분마다 관계를 새롭게 만들어낸다. 오랫동안 망각은 급진적 행동 및 현재와 혁명적 관계와 연관되어 왔다. 상황주의자들은 스스로를 ‘망각의 파르티잔’이라고 이해하며 ‘과거를 잊고’ ‘현재를 살아간다.“ 게다가 그들은 망각이 과거를 갖지 못한 채 선택지라곤 오직 항상 ’지금이 아니면 결코‘뿐인 프롤레타리아들이 가진 무기라고 여긴다.
247 4등으로 들어오는 선수들과 마찬가지로 틀리고, 잃고, 지는 것에는 무언가 강력한 힘이 존재하며, 우리가 각자의 실패를 한데 모은다면 잘 연습해서 승자를 충분히 끌어내릴 수 있음을 알려준다. 실패를 연습한다는 개념은 어쩌면 우리가 내면의 좀생이를 발견하고, 부진아가 되고, 기준에 못미치고, 정신 산만해지고, 우회하고, 한계를 만나고, 길을 잃고, 잊어버리고, 장악하지 못하며, 벤야민의 말대로 “승자에의 감정이입은 예외 없이 지배자를 이롭게 한다.”는 사실을 깨닫게 할지도 모른다. 모든 루저는 앞선 루저들의 계승자다. 실패는 다른 실패를 환영한다.
269 저는 삶이란 어려운 것이며 그건 어쩔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행복 추구에는 전혀, 결단코 조금의 관심도 없습니다. 긍정성 추구에도 마찬가지입니다. 제가 관심 있는 건 진실을 추구하는 것이고, 그 진실은 종종 행복보다는 그 반대의 것에 가까워 보입니다. 킨케이드의 소설은 실제로 해피엔딩을 내놓지 않는다. 그는 식민주의가 가능성을 제거해버린 탓에 결코 번영하거나 사랑하거나 창조할 수 없는 캐릭터들을 형상화함으로써 식민주의 서사에 섬세한 음영을 그려낸다. 킨케이드는 이런 말을 끝으로 인터뷰를 마친다. “모든 사람을 조금 덜 행복하게 만드는 게 제 임무처럼 느껴집니다.”
볕뉘
1. 작은 책방에서 세미나 책으로 선정했다고 들어서 사들인다. 최신 만화영화에 대한 새로운 관점이기도 하다. 니모, 치킨 런, 윌리스와 그로밋, 스폰지밥,로봇, 헷지, 몬스터주식회사, 꼬마돼지베이브 등등
102 픽사 반란 영화들은 주된 관객이 어린이라는 점, 그리고 어린이는 어른이 몰두하는 것에 별로 관심 두지 않는다는 점을 알고 있는 듯하다. 어린이들은 커플을 이루지도 로맨스를 품지도 않고, 종교적 도석성을 갖고 있지 않으며, 죽음이나 실패를 겁내지 않고, 다만 집단적 존재이며, 지속적으로 부모에게 맞선 반란 상태에 있고, 자신들의 영역세서 주인이 아니다. 아이들은 실수하고 갈팡질팡하고 실패하고 넘어지고 다친다. 아이들 주변엔 온통 다름이 있으며, 아이들은 자신의 몸을 통제하거나 삶을 책임지지 못하고, 자신이 직접 만든 것이 아닌 스케줄에 따라 살아간다. 픽사반란 영화는 꼬마들을 위한 승리의 애니메이션 세계를 선사하는데, 그것은 아버지의 비지니스 세계와 어머니의 가사 영역에 맞서는 혁명이다.
이렇게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그 행간행간 사이사이 굴직한 사상서들의 징검다리가 있기도 하다.
2. 실패할 권리, 모임에서 나갈 권리를 이야기하기도 하는 움베르또 마뚜라나의 책은 또 다른 결이기는 하지만 그 연장선상에서 읽어도 좋을 책이다.
3. 실패에서 앞서 작은 실수들의 기쁨을 맛 보는 법도 아셔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