Ⅸ. 사람들은 왜 자진해서 종속하기 위해 싸우는가?


Ⅹ. 무엇을 할 것인가?



(3) 일원론과 이원론

 

푸코가 알아냈다. 두 편성이 갖는 공통원인으로서 권력과 권력과 앎이 협동한다는 것을 말이다. 권력과 앎은 서로 직접 포함한다. 앎을 전제하지 않는 권력관계도 권력관계를 전제로 하지 않는 앎도 없다는 것이다. 이처럼 푸코에 있어서 앎과 권력이 이원론적으로 대등한 관계다. 들뢰즈는 여기서 앎에 대한 권력의 우위, 앎의 관계에 대한 권력관계의 우위읽어내려 한다. 들뢰즈는 이원론을 인정하지 않는다. 이원론이란 필시 사태의 발생 후의 모습이고, 발생을 묻지 않는 한 전제 가능한 것이다. 푸코는 기존(데카르트, 칸트, 스피노자, 베르그송)의 이원론을 뛰어넘었다. 저작에 이원론이 보인다해도 준비적으로 어떤 분할을 전제하고 있다. ‘외관상의 이원론에 지나지 않는다. 1.5원론. 근저에는 일원론적 원리가 발견되는 것이다. 권력이야말로 그 원리이다.

 

앎의 의지

 

권력은 도처에 있다. 모든 것을 통괄하기 때문은 아니다. 도처에서 생기기 때문이다. 권력은 소유 가능한 것이 아니라 불평등하고 가동적인 승부 속에서 행사되는 것이다. 권력관계는 다른 관계들(경제적 과정, 앎의 관계, 성관계) 밖에 있는 것이 아니라 거기에 내재하고 있다. 권력은 밑에서 오는 것이고, 권력관계의 원리에는 지배자/피지배자라는 대립은 없다. 권력관계는 의도는 있지만 비주관적이다. 즉 목적은 갖고 있지만 권력자와 같은 자의 결정에서 유래하지 않는다. 권력이 있는 곳에는 저항이 있지만, 저항은 권력에 대해 외측에 위치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이렇게 푸코는 권력의 개념을 철저하게 생각해왔다. 모든 행위는 권력의 행위에 의해 유발되는 행위이다. 권력이라는 행위에 대한 행위가 행위라는 것의 전부를 메우고 있다. 어떤 막다른 길처럼 보인다. 권력이 삶을 대상으로 할 때에는 반드시 권력에 저항하는 삶을 폭로하고 유발한다. 저항의 횡단적 관계들이 재지층화되고 권력의 여러 매듭들을 만나면 대체 무엇이 일어날 것인가? 푸코는 여기에 대한 대답이 없다. 그는 슬그머니 그리스 로마시대의 윤리에 관해 말한다. 그는 분명 권력론을 버리고 윤리학을 지향했다.

 

(4) 욕망과 권력

 

권력론이라는 틀로 사물을 생각하고 있는 한 푸코와 같이 될 수밖에 없다. 권력론은 우리를 반드시 어떤 막다른 길로 몰아넣는다.

 

욕망과 쾌락- 1977년 들뢰즈가 푸코에게 보낸 편지.

 

미시 장치와 다이어그램의 관계: 전자는 개개의 구체적인 장치(, 가족이나 공장이나 학교나 군대 등), 후자는 그것들이 작동하는 양태를 가리킨다. 다이어그램이란 그 자체로서 결코 알려질 수 없는 권력관계가 실제로 작동할 때의 양태이고 사회적 영역의 총체를 망라하는 추상기계라 할 수 있다. 푸코는 미시 장치에 관해서는 뛰어난 분석을 남겼지만 다이어그램으로서 제시되는 권력관계그 자체의 차원에 관해서는 고찰이 불충분하지 않았는가? 힘의 관계들, 미셸은 이것을 더 밀고나가지 않았다. 다이어그램의 관점은 후퇴하고 -정치라는 조잡한 개념을 등장시켜 미시 분석의 풍부함도 축소시키고, 거시/미시라는 흔한 대립의 한쪽을 맡는 것으로 격하되어버렸다.

 

여기서부터 미셸과 차이로 옮겨가려 한다. 욕망의 배치에 관해 말하는 것은 여러 미시 장치들이 권력이라는 용어로 그려질 수 있는 것인지 그렇지 않은지 확신을 가질 수 없기 때문이다. 민중들이 잔혹한 처형장면을 보러간다고 해보자. 지금도 그러할까? 이 욕망은 자연적인 결정작용도 자발적인 결정작용도 아닐 것이다. 이것은 복수의 요소가 조합되고 어떤 특정 욕망의 배치가 이루어져 특정 권력양식을 발생시킨다고 생각해야만 한다. 학교의 시험은 그 제도가 있어서 학생이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 속에 원래 나만 뒤처지고 싶지 않다라는 욕망이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러한 욕망의 배치가 널리 사회에 미치고 있을 때에만 이 권력장치는 작동한다.

 

기율형 사회 대신에 통제사회통제는 지배가 아니라 체크를 의미한다. 감시에 의해 사람들에게 행위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체크포인트를 설치하여, 기준을 만족한 인간만을 앞으로 보내는 것이 통제사회의 작동양식이다. 이처럼 어떤 권력양식이든 일정 욕망의 배치를 전제로 하고 있다. 권력장치는 배치의 다양한 구성요소 속에 위치해야만 한다. 이렇게 보면 권력장치란 배치의 한 구성요소가 되는 것이다.

 

권력은 어떻게 욕망될 수 있는가?그것을 물어야만 한다. 권력은 욕망의 변양이다. 권력이 왜 발생하는가를 물어야만 한다.

 

권력이란 개념은 어쩔 수 없이 어떤 주체가 존재하고 있고 그것이 행위를 하게 된다는 도식을 전제하고 있다. 반드시 어디서부턴가 무언가로 작용한다. 잘 살펴보자. ‘정말로 하고 싶은 것실제로 하게끔 되고 있는 것이 권력이란 개념 속에서는 구분될 수 없다. 이 개념으로 보면 무언가를 하고 있는 것은 사라지고 무언가를 하게끔 되고 있는 것만 나타난다. 욕망은 주체에 내재하는 힘이다. 그리고 그 내재하는 힘이 여러 요소들과 조합되어 욕망의 배치가 구성된다. 권력의 개념은 욕망 배치의 선단, 즉 결과밖에 다룰 수 없다. 그래서 권력장치 분석은 이차적의미만을 갖는다. “권력에 대한 욕망의 우위라는 시각이 없으면 사회현실에 접근조차 할 수 없다. 이제서야 자기 자신의 억제, 착취나 모욕, 노예상태를 참는, 자기자신의 억제를 욕망하게 되는가를 명백하게 알 수 있다. 단지 욕망이라는 것과 사회라는 것만이 존재하고 그 이외의 어떤 것도 존재하지 않는다. 들뢰즈=가타리는 정신분석가가 환자 일반이 아니라 개개의 환자를 대하듯이 하나하나의 구체적인 권력장치, 그것을 작동시키는 다이어그램, 그리고 무엇보다도 우선 그 전제에 있는 욕망의 배치를 분석할 것을 주장한다. 그래서 다음과 같은 질문이 다시 열린다.


왜 사람은 자유롭게 될 수 없는가? 왜 사람은 자유롭게 되려고 하지 않는가? 어떻게 하면 자유를 추구할 수 있게 되는가?


5. 정 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