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기 생빅투아르산을 보게. 그것이 어떻게 솟구치는지, 그것이 얼마나 초지일관 태양을 갈망하는지 말일세. 그리고 그것의 모든 무게가 푹 가라앉는 저녁이면 그것이 얼마나 구슬픈지도...이 덩어리들은 불로 만들어졌고 여전히 내부에 불을 간직하고 있지...그게 바로 묘사할 필요가 있는 것이네. 알아야 할 필요가 있는 것이네. 


말하자면 그건 경험의 용기라서 감광판을 담가야하는 곳이 바로 거기지. 하나의 풍경을 잘 그리기 위해서는 우선 그것의 지질학적 구조를 발견할 필요가 있네. 대지의 역사란 두 개의 원자들이 만났던 때로부터, 두 개의 소용돌이가, 두 개의 화학적 춤이 한데 모였던 때로부터 시작된다고 생각해보게. 


루크레티우스를 읽을 때, 나는 그 최초의 커다란 무지개들에, 그 우주적 프리즘들에, 공허 위로 떠오르는 인류의 새벽에 흠뻑 젖는다네. 옅은 안개 속에서, 나는 새로 태어난 세계를 들이마시지. 나는 색의 차이를 극도로 예민하게 알아차리게 되었네. 나의 무한의 모든 색조에 흠뻑 젖어 있는 것처럼 느끼는 바로 그 순간, 나와 그림은 하나가 되지. 


우리는 보는 각도에 따라 달라지는 푸른 색을 함께 만들어내지. 나는 모티프와 대면하고 그 속에서 나를 잃는다네...나는 이런 관념을, 이 분출하는 감정을, 보편의 불 위를 맴도는 이 삶의 증기를 붙들고 싶어. 


내 캔버스가 묵직해지기 시작해. 내 붓에 무게가 가해지고 있어. 모든 것이 떨어지고 있어. 모든 것이 지평선 아래로 떨어지고 있어. 내 두뇌에서 캔버스로. 내 캔버스에서 땅으로. 무겁게. 공기는 어디에 있으며, 그 농밀한 가벼움은 어디에 있는가? 천재적인 솜씨가 있어야 이 모든 요소들이 공중에서, 똑같은 솟구침으로, 똑같은 욕망으로 만나는 걸 환기할 수 있으리. 548-549 주)142 <<지각의 정지>>







볕뉘.


1. 


생에 말년의 세잔이 종종 자신을 "감광판"이라고 불렀으며 그는 "기록하는 기계"가, 그것도 "빌어먹게 좋은 기계"가 되기를 열망했다는 이야기가 있다...기관은 사실 눈이 아니라 뇌다. 인간-기계 이분법의 분명한 조건들을 넘어서는 자동적 작동 양식의 가능성이다. 이런 면에서 세잔은 역사적,개인적 흔적들의 저장소이면서 부동의 기능성을 지닌 무덤덤한 기계 장치로 상상할 수 있던 세잔을 떠올려볼 필요가 있다. "질질 끄는 작업, 숙고, 연구, 고통과 기쁨...옛 거장들이 활용했던 방법들에 대한 끊임없는 숙고"를 통해 "기록하는 기계"가 되는 데 필요한 온갖 수련을 다했다고 단박에 주장할 수 있었던 세잔 말이다. 547


2.


이 것은 인간적 지각의 근간이 되는 조건들로부터 해방을 추구하고 있다는 걸 말한다. 다시 말해 형상/배경, 중심/주변, 근경/원경이라는 조건들을 벗어나 세계를 확고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장치가 되기를 추구하는 것이다. 548


3.


말년의 세잔과 관련해 널리 회자되었던 '고립'(계급적 고립, 지리적 고립, 공동체로부터 고립, 노련으로 인한 고립)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선연히 빛나는 그의 선캄브리아기적 무정형의 이미지들은 사실 자본주의의 탈영토화 과정 및 그 지각적 쇄신의 원칙들에 상응하고, 그 흐름에 부합하는 뿌리 뽑힌 '방향성 없는'주체에 상응했다. 549


4.


세잔은 "사물 속에 있을 " 눈을, "보편적인 변화, 보편적 상호작용"을 기록할 수 있는 눈을 구성하기를 꿈꿨던 첫 인물이다. 556


5.


세계란 본질적으로 관계들의 세계다. 어떤 조건에서 그것은 어디서든 다른 양상을 보인다. 그 존재는 본질적으로 어디서든 다르다고 한 니체. 세잔에게서도 관건이 되는 것은 관점의 복수성이 아니라 각각의 관점을 이루는 힘들과 강도들의 특별하고 생생한 관계를 경험하는 일이다. 567


세기 전환기의 세잔은 자기-변형, 자기-갱신이라는 모순적 기획의 화신이다. 56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