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펼쳐둔 <<괴델,에셔,바흐>> 책에 짬짬이 눈길이 간다. 대략 몇 장을 읽을 수 있었는데, 관심가는 대목을 밑줄긋기를 해 본다.  이 대목은 선문답(공안이라고 써있다.) 부문이기도 하고, 사둔 조주록이 기억

나기도 한다.



-1.


가을 볕과 하늘이 좋아 이동중 문득 아버지 생각이 난다. 그리고 아차 싶었다. 어쩌면 아버지는 보고싶은 할아버지 할머지 삼촌....친구들 다 만나고 계실 줄 몰라. 참 기분좋은 시간들이겠네. 정작 놓아주지 않는 건 나였지. 그렇군 했다.


-2.


데이비드 봄의 <<전체와 접힌 질서>>라는 책이 겹친다. 부분은 전체에서 나온 것이고, 전체를 염두에 두지 않아 자본주의를 살아내는 우리들이 불행한 것이다라는 얘기까지 번지는 책이다. 물론 양자역학의 지름길이 되는 책이기도 하다. 검색해보니 반갑게도 두 권의 책이 나와있다. <<봄의 창의성>> <<대화란 무엇인가>> 번역서가 없어 아쉬웠는데, 가을을 매듭짓기에 좋은 책들이 될 것 같다.


1. 괴델,에셔, 바흐의 대위법을 갖춘 책은 자기-순환구조에 빠진 그물에서 어떻게 벗어날 것인가란 문제의식을 가진 책이고 아마 이십년에 걸쳐서 만들어진 체계가 있는 책이다. 


2. 깨달음은 얕은 것이기도 하다. 깨달음의 깨달음. 그 껍질은 계속 얇아지기도 하지만, 그렇게 만만한 것이 아니다. 지식이 아니라 지혜. 앎이 아니라 삶의 농도를 고민하는 이라면 대면할 수밖에 없는 문제이기도 하다. 밑줄을 다시 새겨보는 것도 의미있을 것이다.


-3. 오랜만에 작업실에서 늦도록 작업한다. 여러가지가 물밀듯 들어올 때가 있다. 조주간만은 차이의 원인은 잘 모르겠지만 달이 차오를때가 있다. 몸도 아이디어도 차 오를 때가 있기도 하다. 잘 기다려야 한다. 꼼지락거리며 뭐라도 하면서... .. 어젠 달이 조금 기울기 시작했지만 그래도 나에겐 만월이었다.


볕뉘


긴장된 깊이 읽기. 동-서, 서-동, 서양-동양의 사고라는게 있다면 말이다. 플랑크길이에서 시작되어 공간과 시간이 만들어진다는 얘기나 애초에 모든 것이 점에서 시작되고, 시공간을 지나 얽힘으로 만들어지는 것이라면??? 쓸데없는 생각을 해보다가 접는다. 접자... ...앙꼬없는 찐방, 찐빵없는 앙꼬. 뭐 이런 느낌이라고나 할까. 동.서서.동라는게 있다면 말이다.



사물들은 한 각도에서 보면 복잡하게 보이지만, 다른 각도에서 보면 단순해 보이기도 하지. 과수원에서 어느 방향으로 보면 전혀 질서가 없어 보이지만, 다른 특정한 각도에서 보면 아름다운 규칙성이 나타나지. 보는 방식을 바꿈으로써 같은 정보를 다시 정리하는 것이지. - P317

논리로부터 벗어날 경우에만 깨달음으로 도약할 수 있다. 이원론은 세계를 개념적으로 나누어 범주화하는 것이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이원론을 벗어날 수 있는 인상을 주지만 세계를 범주들로 쪼개는 것은 사고의 위층 훨씬 아래에서 일어난다:사실 이원론은 개념적으로 나누는 만큼이나 세계를 지각적으로 나누어 범주화하는 것이다. 바꾸어 말하자면, 인간의 지각은 본질적으로 이원론적 현상이며, 이것은 깨달음의 추구를 힘겨운 투쟁으로 만든다.전혀 과장이 아니다. 그래서 말에 대한 의존을 극복하는 투쟁이기도 하다. 이로서 깨달음의 적이 논리라고 하는 것은 아마 틀린 것이고, 그 적은 오히려 이원론적이고, 언어에 의한 사고이다. 그런데 사실, 언어에 의한 사고보다 더 기본적인 것이 있는데 바로 지각이다. 지각하자마자 대상과 세계 사이에 경계선을 긋는다: 세계를 부분들로 쪼개며 그로 인해 진정한 길을 놓치는 것이다. - P339

그 길은 보이는 사물에 속하는 게 아니다. 안 보이는 사물에 속하는 것도 아니다. 그것은 아는 사물에 속하지 않는다. 모르는 사물에 속하지도 않는다. 참된 길을 찾지 말아라. 공부하지도 말아라. 이름 붙이지도 말아라. 참된 길 위에 있는 네 자신을 발견하려면 네 자신을 하늘과 같이 활짝 열어두거라. - P343

그것 자체가 영원인 죽음은 눈송이가 깨끗한 대기속에서 녹아 사라지는 것 같은 것이다. 한때 우주 속에서 식별할 수 있는 하위체계였던 눈송이가 이제는 한때 그 눈송이를 포함했던 더 큰 체계 속으로 사라져 들어간다. 구별된 하위체계로는 더 이상 존재하지 못하겠지만 그것의 본질은 어떻게든 여전히 남아있고 앞으로도 남게 될 것이다. 그 눈송이는 딸꾹거리지 않는 딸꾹질과 읽히지 않는 이야기 속의 주인공들과 함께 세계를 떠돈다...... - P345

조사의 관문: 때가 되면 익는 과일처럼 너의 주관성과 객관성은 자연스럽게 하나가 된다. 그것은 마치 꿈을 꾼 벙어리와 같다. 자기만 알 뿐 다른 사람에게 말할 수 없다. 이 상태에 이르면, 자아의 껍질이 박살나고 하늘을 흔들고 땅을 움직일 수 있다. 그는 날카로운 칼을 가진 위대한 전사와 같다. 부터가 그의 길을 막으면 부처를 베어 쓰러뜨릴 것이고 조사가 장애가 되면 조사를 죽일 것이다. 그리고 생사의 길에서 자유로울 것이다. - P35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