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마 상식이 잘못되었다는 얘기가 여기저기. 귀쫑긋 하던 참인데 마침 책이 나왔다. 살펴보기로 한다. 


린마굴리스의 책들을 이어보고 있던 참에 같은 제목이어서 마저 읽는다. 저자는 중간중간 가족사와 학력을 슬쩍 넣었다. 그가 만약 이 나라에서 생활했다면 그는 역으로 아무 것도 이루지 못했을 가능성이 크다. 조부모의 손에서 컸고, 고졸에다가 효모 관련 실험실 잡일을 하다가 대학교에 특채되었다는 사실. 한 가지 연구에만 몰입하고 주변에서 매진하도록 배려하는 분위기는 사뭇 이곳 연구실의 분위기와 문화가 다르다. 논문 저자에 숟가락 얻는 것을 밥먹듯이 하는 관행과 다르게 많은 역할을 했음에도 사양하는 연구 습속은 차이가 많다 싶다. 이 나라에서 연구원이나 성별차이는 끊임없이 끌어내리는 힘으로 작용하지 연구에 더욱 매진하게 하는 배려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 같다. 아니 확연한 차이다. 하고싶은 것은 하게 하는 암묵지가 없다 싶다.


글들을 쫓아가면 린마굴리스가 점점 집중하고 미세하게 들어가게 하는 데 반하여, 큰 그림들을 그려줘 통찰하기가 쉬워진다. 잘게 잘게 있었던 지식들을 이어준다는 느낌이 든다. 완독하면 기본적인 밑그림이 그려진다고 할 수 있겠다. 그렇게 다섯장을 말하고 6장은 유전자 편집이나 조작으로 대별되는 가능성을 이야기 한다. 


그런데 다소 불편했다. 과학 기술이 자본에 봉사하는 것은 누구나 다 아는 일인데 여러군데에서 반대에 부딪치면 이렇게 말한다. 가난한 사람들이나 아픈 사람들을 위해 이 기술이 정말정말 필요하다고 한다. 그래서 꼭 개발되어야 한다고 말이다. 기술에 대한 우려보다는 아픈이와 가난한 이들을 위해서라고. 변명일까 아닐까. 과학이 기술이 언제 그렇게 경제를 생각하고 정치를 생각하고 인문이 몸에 배이는 활동을 해왔단 말인가? 평소의 모습과 너무 다른 사람이 흔히 하는 핑계는 아닐까 하는 그런 의문들이 생긴다. 그리고 마지막장은 생명이란 무엇인가 총괄편이다. 물론 책 제목은 아시다시피  슈렌딩거의 책 제목에서 나온 것이다. 6장에서 하고자 하는 말씀은 알겠지만 빼도 좋을 듯싶은 미련이 들었다.


볕뉘.


출근 길 라디오에서 특강을 해서 든다. 최열 이사장이 비닐 슈트를 입고 나왔다거나 대만이 페트 회수율이 95%인데 우리는 65%라거나, 비닐을 소각하는 방법에서 기후 이야기까지. 하지만 소빙하기도 있듯이 자신은 탄소배출이 식물들로 흡수가 가능하다. led로 24시간 식물팜을 하는데 어쩌구  사업가로서 급히 하지 않으면 안되어 쫓기는 느낌의 두서없는 강의에다가 기후위기 회의론을 슬며시 섞는다. 기후위기로 여기저기 다니지 않는 데가 없으며 하물며 그 일로 돈까지 벌면서, 관점은 아직도 정리되지 않은 채로... ...뭐하는 꼴이람.....그래 그게 내모습 같겠다. 그 꼴. 어정쩡한 그 모습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종이달 2022-02-11 00: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