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보와 생명의 개체화: 개체는 ˝자신을 구성한 활동성의 변환적 관계이며, 그 활동성의 결과인 동시에 동인˝이다. 120 개체는 형성과정의 결가이다. 그것은 완벽한 축약이며 광대한 군을 다시 낳을 수 있다. 개체의 존재는 이러한 증폭하는 전이의 작용이다. 121 ˝개체의 경계들은 실질적으로 신경계의 경계들이다˝ 물론 반드시 중추신경을 거치지 않는 반사활동이라 해도 자율적 활동이 존재하면 부분적으로 개체성을 갖는다고 말할 수 있다. 피부의 색소침착, 국지적인 소름돋음, 미생물 침입에 의한 국지적 방어반응...˝국지적 개체성˝이라고 특징짓는다. 122 변태는 존재자 자신으로부터 일어나는 일종의 생식이다. 그것은 증식없는 생식, 유사성 없는 단일성과 자기동일성의 재생산이다. 그것이 일어나는 동안 존재자는 하나의 개체로 남아 있으면서도 다른 것이 된다. 124 극성이 생겨날 때마다, 비대칭성과 방향성과 질서가 나타날 때마다 개체성이 준비된다. 개체화의 조건은 타성적이든 생명적이든, 물질로 하여금 극성화될 수 있게 해주는 퍼텐셜의 존재 안에 있다. 126 정보의 전달은 어떤 수준에서 일정한 에너지의 문턱에 도달하지 못하면 제로값에 상응한다. 물론 이보다 하위의 문턱을 갖는 연결부가 작동할 경우 정보는 그 안에서 ‘전부 아니면 무‘라는 법칙이 작동한다. 이는 수준들 간의 불연속성을 야기하는 양자적 특징을 말한다. 127


[ ] 정보와 개체발생: 개체발생은 항상성을 넘어서는 역동성을 필요로 한다. 시몽동은 개체발생을 설명하기 위해 ‘내적 문제상황‘(또는 문제제기‘)라는 개념을 소개한다. ˝개체발생은 해답에서 해답으로 완전한 안정성 즉 성체에 이를 때까지 도약하는 항구적인 문제제기˝이다....막 개체화된 존재자는 상반되는 요소들의 짝들의 형태 아래서 정보를 담지하는 체계로 간주될 수 있다. 이 짝들은 내적 공명으로부터 응집을 갖게 되는 개체화된 존재자의 일시적 통일성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128 개체발생은 형태의 자기구성적 과정으로서 불균등하게 남아 있는 요소들로부터 구조와 기능들이 체계적으로 통일성을 얻는 과정이다. 긴장의 무화는 죽음에 이를 뿐이고 완전한 균형에 이른 안정적 평형은 개체의 빈약화, 퇴화에 지나지 않는다. 생명체가 문제를 해결한다는 것은 문제들을 무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그것들을 ˝준안정성의 평형 속에서 보존˝하고 ˝긴장들을 양립가능하게˝하는 것이다. 129 기관들의 대칭이라는 이원성과 발달 방향의 일원성 혹은 통일성 사이의 긴장이다. 시몽동은 이러한 이원성이 유전 기제에서도 나타난다고 본다. 그는 유전 기제를 정확하게 제시하지는 못하지만 ‘유전적 특징은 미리 결정된 요소가 아니라 해결해야할 문제가 아닐까˝라고 말한다. 즉 그것은 ˝불균등화 관계에 있는, 서로 구분되면서도 통합된 두 요소들의 쌍˝이라는 것이다. 시몽동의 생각에서 중요한 것은 이러한 불균등화 관계를 극복하면서 즉 문제를 해결하면서 나타나는 새로운 차원은 ‘의미작용‘을 산출한다는 것이다. 130 지각은 공통적인 것을 보존하려는 것이 아니라 특수한 것들을 보존하고 그것들을 전체 안에 통합시킨다. 그래서 ˝지각은 두 개의 특수한 것들 사이의 갈등을 이용하여 그것들을 통합하는 더 우월한 체계를 발견한다. 지각적 발견은 환원적 추상이 아니라 통합이고 증폭시키는 작용이다.˝ 131

[ ] 진화는 엄밀히 말해 완성이 아니라 통합이고, 퍼텐션들을 축적하고 구조들과 기능들을 모으면서 자기 자신 위에 점점 더 의존하게 되는 준안정성의 유지이다.˝ 134 성숙한 개체는 집단적인 것 안에서 ˝지금, 여기를 넘어서는˝ 의미를 구현한다. 136

[ ] 정신적 개체화: 이는 독립적인 개체화가 아니다. 그것은 생명적 개체화의 연장인 동시에 집단적 개체화라는 또 다른 생성과 짝을 맺고 있다...생명은 계속되는 문제상황에 대한 해결로서만 나타나기 때문에 절대적 완성이 없는 개체화들의 연속이며 정신적 개체화는 그러한 생명적 문제상황에 대한 하나의 독특한 해결로서 나타난다. 그런데 정신적 개체화의 커다란 특징은 집단적 개체화를 동반한다는 점이다. 140 생명적 개체에서 정신적 개체로 전달되는 개체초월성은 구체적으로는 정념적 특징, 즉 ‘정념성‘을 의미하는데 이는 막연한 느낌의 차원을 넘어서서 생명적 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퍼텐셜 정도로 볼 수 있다...정신적 개체화를 ‘내적‘ 개체화라 하고 집단적 개체화를 ‘외적‘ 개체화라고 묘사한다....시몽동에 의하면 정신과 신체는 형상과 질료의 관계(아리스토텔레스)도 아니고 두 개의 다른 실체(데카르트)도 아니며 평행관계(스피노자)도 아니다. 연속적인 모든 개체화가 그러한 것처럼 ˝정신적인 것은 생명체의 개체화의 지연으로서, 생명적 생성의 최초의 상태의 유형성숙적인 증폭으로 개입한다.˝...˝개체화는 전체나 무의 법칙을 따르지 않는다. 그것은 양자적 방식으로 갑작스런 도약에 의해 수행된다.˝ 141 정신적 개체화는 하나인 것이 아니라 다수의 또 다른 개체화들의 결합이다...정신의 활동으로 거론되는 감각, 지각, 상상, 추론 등은 질료적 다양성 및 능동적으로 인식하는 주체라는 이분법적 구도에서 이해해서는 안 되고 동일한 생명적 개체가 새로운 공리계에서 문제를 해결하는 차원들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각각의 정신적 활동은 그만큼의 개체화들이며 정신적 개체화는 이 다양한 개체화의 통합으로 나타난다.....생명체는 항구적인 변화에 대처하는 일정한 구조적 장치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정념이 가진 선호와 배제라는 특성에서 유래한다. 캉길렘에 의하면 생명체는 쾌락을 추구하고 고통을 회피하는 ‘역동적 양극성‘에 따라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는데 이에 따라 각 생명체에 고유한 규범들이 만들어진다. 142


[ ] 지각대상이 수동적 종합의 결과가 아니라 통일성과 역동성을 가진 에너지적 상태...지각이 결국 유기체의 문제라면 전체성으로 파악되는 것은 당연하다고 여긴다. 144 지각작용이 일어나기 전에 주체와 환경 간에는 긴장과 갈등이 준안정적 퍼텐셜로 존재하며 그 양립불가능성의 상황을 해결하는 것이 바로 지각작용이다. 지각은 ˝양립가능성의 발견˝인 동시에 ˝형태의 발명˝이다....어린아이들의 맹수에 대한 지각은 단순한 기하학적 도식에 가까운 형태들이 아니라 공포와 공감을 야기하는 ‘신체적 도식‘에 가깝다는 것을 보여 준다. 즉 지각에서 중요한 것은 ˝전체적 정향과 극성˝ 그리고 ˝긴장, 퍼텐셜˝과 같은 역동적 내용이다. 145 지각은 단지 고정된 형태의 파악이 아니라 시간적 과정이기도 하다. 145 시몽동은 정보의 질과 양 아래에는 ˝강도로서의 정보˝가 존재한다고 한다. ‘강한 명암의 대조‘나 형태들의 ‘비규칙성‘ 같은 것이다. 그런데 이는 ˝생명적 역동성에 의해 방향이 잡힌 주체를 가정한다.˝..이때 안내자의 역할을 하는 것은 신호의 양이나 기하학적 형태들이 아니라 빛과 색, 어둠, 냄새, 열 등 감각적 자극들의 ‘구배‘를 따라 주체에게 느껴지는 강도이다. 147 자극의 강도는 상응하는 정념을 낳고 정념은 지각에 반비례한다. 가령 눈에 들어오는 빛의 강도가 너무 강렬할 경우 명확한 지각을 할 수 없다. 148 강도는 주체와 세계의 관계장에서 유래하기 때문에 완전히 물리적인 차원이라고는 할 수 없다. 또 두려움, 강렬한 욕망 등으로 인해 지각체계의 양립불가능성과 긴장이 높아질수록 지각의 호소력은 강해진다. 151


[ ] 정념-감동성: 일반적으로 정념성이란 생명체가 명료한 의식을 가진 주체가 되기 전에 막연히 쾌와 불쾌, 호감과 반감 등을 나타내는 감정의 특징이다. 여기서 감정으로 표현된 것은 내면의 동요, 동적인 성질을 나타내는 점에서 감동의 산물이다. 따라서 이를 상대적으로 정적인 정서와 구분해야 한다. 사실 감정은 어느 정도 의식적인 것인데 정념은 감정 이전에 그것을 형성하는 의식, 무의식적 재료를 이루는 내적 상태들이라고 할 수 있다. 시몽동은 특히 정념성에 의식과 무의식의 매개라는 특징을 부여한다....정념성은 의식과 무의식을 매개할 뿐 아니라 주체와 다른 주체들 그리고 주체와 세계를 매개한다... 시몽동은 의식과 무관하게 ˝주체의 행동 능력에 해당하는 무의식의 근본적인 층˝이 있음을 주장한다. 이는 생리적 무의식에 가까운 것으로서 자네의 잠재의식이 바로 그러한다. 그 다음 그는 ˝의식과 무의식 사이의 경계에 잠재의식의 층이 있는데 그것은 본질적으로 정념성이자 감동성이다˝라고 주장한다. 152


[ ] 정념적 의사소통: 소통은 언어적이거나 신체적일 수도 있지만 시몽동에 의하면 그것은 기본적으로 잠재의식들의 소통이다...정념-감동성의 영역이 소통의 기반이라면 죽음이나 영원성의 문제에 대한 표상과 개념규정도 달라질 수밖에 없다. 우선 영원한 것이 있다면 그것은 개체로서의 개체가 아니라 정념-감동적 기반을 가지는 변환적 존재자이다. 153 살아있는 개체들은 ˝개체성의 구멍들˝ 즉 ˝상징˝이자 ‘음적 존재‘들이며 이것을 채우는 것이 정념성과 감동성이다. 이 비유는 개체의 자기의식이 상호주관적인 정념-감동성을 재료로 하여 서서히 구성되는 것임을 보여 준다. 즉 ˝개체는 단지 자기 자신만으로 구성될 수는 없다.˝ 154

[ ] 지각 역시 양립불가능한 강도차를 해결하는 것인데 이 역시 행동으로 나타난다. 이때 말하는 행동은 감정과 달리 세계와 관계하는 행동이다. 정념적 문제를 해결하는 감정(행동) 그리고 지각의 문제를 해결하는 행동은 ‘평행‘ 관계에 있다. 행동과 감정은 ˝양립가능성이라는 우월한 질서의 발견, 공조의 발견, 준안정적인 평형의 보다 상승한 수준에서 일시적인 해결의 발견˝이라는 공통점을 갖는다. 다른 말로 하면 행동은 지각을 의미화하고 감정은 정념성을 의미화한다. 156 주체는 개체와 달리 정신성이 나타날 때 비로소 구성되며 따라서 집단적인 것과의 통합을 필요로 한다....자기의식을 가진 주체는 개체가 자신 안에 내재하는 전개체적 실재성을 의식할 때 가능하다. 주체가 세계 속에서 자신의 방향을 설정함으로써 이 세계는 하나의 방향, 약동을 갖게 된다. 주체가 방향을 갖는 것은 바로 감정에 의해서이다.....감정은 행동의 형태로 세계 속으로 연장된다. 마치 행동이 감정의 형태로 주체 속으로 연장되는 것과 같다.˝ 157


[ ] 감각이 아직도 신체적인 차원에서 나타나는 성질이라면 정념은 이와 혼합되어 있으면서도 이를 넘어서서 막연한 감정적인 특질로 이행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은 쾌락과 고통이라는 차원을 통과하며 이것이 생명체의 실존을 구성한다. 감각의 양극성은 무수한 ‘미분적 구배‘들을 포함하고 생명체는 이에 대하여 자동반응이 아니라 굴성에 따라 자신의 방향을 정한다. 그것은 감각의 양극단을 종합하는 것이 아니라 ˝미분적 감성의 최대치에 상응하는 중심 위로 모인다. 하나의 중심이 있고 이와 관련하여 각 유형의 실재에 대한 관계가 전개된다..생명체는 구배 속에서 최적의 구역을 찾아 헤맨다. 그것은 종합이 아니라 변환이다. 가장 뜨거운 것과 가장 차가운 것은 중심과 관련하여 대칭적으로 전개된다. 159

[ ] 정념은 단지 느껴진 것이 아니라 ˝스스로 변화할 수 있는 힘을 가진 생리적 상태˝로서 ˝주체의 생성 안에 삽입˝되며 ˝시간적 구조들로 통합된다.˝ 160


[ ] 개체화 이전에 존재하던 신호들은 개체화와 더불어 의미작용으로 전환된다. 긴장은 구조 속에 반영되어 상대적 안정을 찾는다. 과거에 양립불가능했던 시간성과 공간성은 새로운 시공적 체계 속에서 ‘호환‘된다. 공간적 존재는 순서를 갖는 존재가 되고 시간적 존재는 조직화된다. 구조와 발생이 상호전환되는 것이다. 161 개체화된 존재자는 처음에는 하나의 영혼이나 하나의 신체를 갖지 않는다. 그것은 개별화되면서, 단계적으로 분할되면서 그와 같이 구성된다. 엄밀히 말해 정신적 개체화는 없고 신체적인 것과 정신적인 것을 낳는 생명체의 개별화만 있다. 164


[ ] 심리적 개체성: 신경증은 단지 사회부적응의 문제이기보다는 자기 자신과의 관계 문제인 경우가 대부분이다...물리적 영역에서부터 심리적 영역에 이르기까지 시몽동이 강조하는 것은 연속적인 동시에 불연속적인 질서의 공존, 즉 변환적 차원이다...생성과 존재를 조화시키고자 하는 시몽동은 둘 간의 관계로부터 심리적 개체를 정의한다. 심리적 개체는 ˝변환성을 가진 한 영역의 정합성˝으로 이루어진다. 그것은 변환적 실재이고 변환이란 영역을 달리 하면서 구조화하는 생성이다. 구조는 동시적인 것들의 관계이고 생성은 순차적인 것들의 관계이다. 그래서 ˝심리적 영역에서 존재의 가치를 갖는 관계는 동시적인 것과 순차적인 것의 관계이다.˝.166 심리적 개체성의 영역은 스스로를 부양하고 유지하는 ‘자가구성적인 역동성‘이다. ..정신적 개체는 문제에 대한 반성적 자각을 통해 해결을 시도할 때 나타난다. 개체는 소여인 동시에 해결의 요소로서 이중의 역할을 하며˝ 이 이중의 역할에 의해 그는 자기 자신을 문제삼게 된다..심리적 개체는 고유한 공간을 갖지 않고 어떤 ‘양가적‘ 관계에 속해 있다. 그것은 동시성과 순차성을 연결하는 동시에 내재성과 외재성의 교착 지점에 있다. 167 이런 의미에서 심리적 세계는 차라리 ˝개체초월적인 우주˝이다. 168


[ ] 집단적 개체화: 사회는 ˝자신의 현존을 미래와 과거 사이의 상관관계의 형태로 소유˝하는 생성의 한 양태이다....사회는 ˝개체적 행동이 통과해야 하는 일정한 상태들과 역할들의 조직망을 제시˝하며 개인은 이를 통해 자신의 미래를 사회에 투사한다. 개인은 사회적 과거 속에서 ‘진정한 기억보다는 이러저러한 행동을 향한 경향과 추진력˝ 그리고 ˝자신의 미래의 역동성과 연합할 수 있는 것˝을 이끌어 내는 데 주력한다....사회는 개체들의 단순한 공존이 아니라 개체화된 존재자와 사회적 관계의 복잡한 양태를 창출하는 집단적 개체화로부터 이해되어야 한다. 171 심리적 특징으로 사회적 특징을 설명하려는 심리학주의는 개체가 ‘적응성‘이나 ‘문화변용의 능력‘과 같은 ˝개체적 실존을 넘치는 심급들˝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지 못한다. 사회학주의는 이러한 전개체적 특징을 사회적 특징으로 간주한다....노동을 정치경제학적인 관계를 통해 즉 사회 안에서 자연에 대한 인간의 착취로 본다. 노동은 사회적 관계 속에서 ‘교환가치‘로 실체화되면 사회적 관계는 외집단으로 고려된 계급들 간의 갈등관계로 환원된다. 계급은 내집단을 구성하는 사회체의 내재성을 반영하지 않는다. 173(인간학주의:관계적 활동의 원리)


[ ] 관계적 활동의 원리: 노동은 상업이나 전쟁이 그러한 것처럼 내집단과 외집단 사이의 연관을 전제한다. 한편으로 각각의 외집단은 서로와 관련하여 어느 정도는 개체처럼 취급될 수 있지만 다른 한편 각각의 내집단은 원자적 개체들의 집합이 아니라 개체적 인격들의 복잡한 착종이다. 174 이미 만들어진 개체적 인격들이 집단 내에서 회복된다는 것이 아니고 개체와 집단이 갈등과 긴장 속에서 동시에 문제를 해결하면서 스스로 안정화된다는 것이다...개체들은 언제나 집단의 개체들이며, 반대로 집단은 언제나 개체들의 집단이다. 양자는 동시적이며 독립적이지 않다. 집단은 개체상호적 실재가 아니라 ˝더 넓은 층위에서의 개체화의 보충˝이다....집단의 실재성은 오로지 그것이 생성임에 기인한다. 모든 개체화하는 생성이 그러하듯이 집단은 ˝구조를 작용으로 작용을 구조로 상호전환할 수 있다는 것을 수용하지 않으면, 그리고 관계적 작용이 존재의 가치를 갖는 것으로 고려되지 않으면 생각될 수 없다.˝ 175 집단은 개체의 불완전함을 보여 준다기보다는 관계 활동의 양태이다. 인간의 경우 군집생활과 독립생활이 모두 가능하다. 175 개체들은 마치 퍼텐셜들과 준안정성, 기대와 긴장을 포함하는 체계의 요소들과 같다....개체초월적인 것은 마치 개체에서 개체로 가듯 개체 안을 관통한다.....개체초월성은 적극적으로 집단과 정신의 동시적 개체화를 가능하게 하는 힘으로 작용한다. 177 개체초월성의 힘은 개체적인 것도, 사회적인 것도, 생명적인 것도 아니다. 그것은 생명적 개체화를 선행하는 퍼텐셜이며 이는 물리적 개체화 이전에 아낙시만드로스의 무규정자로까지 거슬러 올라가기 때문에 생명적으로 한정할 수 없다. 178 집단의 노화는 집단의 현재를 유지하고 집단의 신체와 영혼의 결합을 유지하게 해주는 신념, 의견 등이 더 이상 현실적 의미를 산출하지 못할 때 일어난다. 179


[ ] 성은 개체초월성을 반영하면서도 어떤 방식으로 구조화되어, 개체에 내재하는 특징이다. 그것은 개체화가 이중의 양태로 나타나게 함으로써 개체화를 ‘미결상태‘로 내버려 둔다...성은 존재자로 하여금 그것이 존재하기 위해 타자를 필요로 하지 않는 완벽한 ‘자기성‘을 갖고 있지 않다는 것을 상기시켜 줌으로써 집단을 향한 운동을 자극한다...시몽동에 의하면 성적 특징은 주체로부터 이해되어야 한다. 주체는 언제나 집단과 세계를 향해 있으며 자신 안에 개체화된 상태와 전개체적 하중을 동시에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심리적 긴장의 균형을 찾는 것은 집단의 다른 주체들 속에 있는 개체초월적 본성을 마주하여 의미작용을 발견하는 것이다. 182

[ ] 극단의 항들과 중간지대, 감정: 영혼과 신체, 개인과 사회 등의 이원성도 마찬가지로 ‘존재자를 구성하는 실재의 모든 스펙트럼˝을 양분하는 ‘가공물‘들이다. 집단적인 것은 이러한 극단적 항들 간의 관계가 아니라 그러한 항들로 분리되기 이전의 실제로부터 개체화되는 생성, ˝스펙트럼으로 전개되는 존재 자체˝이다. 이렇게 존재자를 그 ‘활동의 중심‘에서 출발하는 것으로 보는 시각이 ‘변환적‘ 시각이다. 이 활동은 관계의 활동, 즉 ˝정보와 인과성의 교환의 상호적 체제˝이자 내적 공명에 기초하는 관계맺음의 활동이다. 183 중간지대는 다름 아닌 전개체성의 영역이고 집단적 개체화의 관련하여 구체적으로 지시한다면 감정이다. 감정은 개인적인 것만도 아니고 사회적인 것만도 아니다..개체 안에 잔존하는 전개체적인 것의 퍼텐셜로부터 이해해야 한다. 183

[ ] 사회는 고정된 것이 아니라 ˝관계를 내포하고 그것을 부양하는 체계˝이다. 188


볕뉘

며칠 전 대전을 오고가는 길에 뒷부분을 읽어내었는데, 마음이 걸려 담는다. 생각보다 밑줄을 많이 그어 시간이 제법 걸렸다. 입추다. 여름이 무르익어 가벼워질테고 가을은 밀도가 높아 내려오고 있는 중일 것이다. 미리 성급한 녀석들은 가을바람이라 이름붙이고 제법 홀릴 듯 가을의 전령이 될 것이다. 어깨가 뻐근하고 눈이 침침한 요즘이다.

통일성과 역동성, 긴장과 퍼텐셜을 축으로 그는 생명을 설명해나간다. 뒷 부분에서는 베르그송이 심리적 원자론에 그처 변환과 존재를 미흡하게 본다고 지적한다. 생성의 통합된 관점, 변화에 대한 입체적 조망, 정념과 감정이 차지하는 영역, 진정한 소통이 어디에 맞닿아야 하는지 따로 따로 노는 것들을 일목요연하게 보여주는 장점이 있다. 당분간 시몽동 읽기가 이어질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